담낭 결석은 수의학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드문 질환이지만 최근 영상의학의 발달로 인하여 진단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임상증상을 보이지 않으나 담낭염, 담낭점액종, 췌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945354
대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1
학위논문(석사) -- 忠南大學校 大學院 , 수의학과 임상수의학 전공 , 2021. 8
2021
영어
636.089 판사항(22)
대전
담낭결석에 이환 된 개에서의 선택적 담낭절제술의 임상 결과: 후향적 연구
42p.: 삽화; 26 cm.
충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정성목
참고문헌: p. 34-39
I804:25009-00000008631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담낭 결석은 수의학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드문 질환이지만 최근 영상의학의 발달로 인하여 진단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임상증상을 보이지 않으나 담낭염, 담낭점액종, 췌장...
담낭 결석은 수의학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드문 질환이지만 최근 영상의학의 발달로 인하여 진단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임상증상을 보이지 않으나 담낭염, 담낭점액종, 췌장염, 감 외 담관 폐쇄 등의 이차적인 질병을 유발할 수 있으며, 간 외 담관 폐쇄와 같은 경우에는 초기에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한다면 개가 폐사 할 수 있는 응급상황이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명확한 치료 기준이나, 치료 방법 등이 연구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담낭 결석환자들의 의료 기록을 토대로, 담낭 절제술이 예방적으로 시행되었을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임상적 예후를 연구하여 담낭 결석에 이환 된 개에서 예방적 담낭 절제술의 치료의 기준 및 효율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충남대학교 수의과대학 부속동물병원에서 담낭결석에 이환 된 170마리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담낭결석의 유병률, 환자의 나이, 성, 임상증상, 담석의 크기, 영상진단 결과, 혈액검사 결과, 동반 질환, 생존율, 무병기간 및 임상적 예후에 대하여 부정적인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총 2,667마리의 개중 170마리가 담낭결석을 가지고 있었으며 (6.17%) 과반수 이상의 개에서 (70.47%)우연히 발견되었다. 말티즈, 시츄, 요크셔 테리어 품종에서 호발하는 양상을 보였다.
담낭 결석이 이환 된 개에서 부정적인 요인을 주는 요소로는 빈혈, 혈청 빌리루빈 증가, 확장된 총담관이 있었다. 그 외 다른 혈액검사 결과나 동반 질환의 경우 인의나 기존 수의 논문과는 달리 임상적 예후에 별다른 영향이 없었으나 이 결과는 조심스럽게 받아들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예방적 담낭 절제술을 실시한 개에서, 비열등성 검정을 통하여 예방적 담낭 절제술이 다른 치료법들보다 열등한 치료법이 아니라는 것이 밝혀졌으며 무병생존률의 경우 다른 치료법들보다 우월하다고 밝혀졌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담낭결석이 진단된 개에서 예방적 담낭절제술에 대한 근거가 될 수 있으며 특히 식욕이 없는 환자의 경우 예방적 담낭절제술을 실시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이나, 실제 임상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수의 코호트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