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혼합연령, 팀티칭 학급에서의 교사역할 : 문화기술적 연구 : 발도르프 교육원리의 의미에서 '애정 어린 권위자'(Loving Authority) 로서의 역할수행을 중심으로 = An Ethnography of the Role of the Team Teachers in Mixed Age Classroom as the "Loving Authority" in terms of Waldorf principl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293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argeted at the role of the team teachers in mixed age classroom, specially as the 'loving authority' in terms of Waldorf prin- ciples.
      An ethnographic study method was used to observe the teachers and to interview them. As a result, their experience about the mixed age group and team teaching could be analyzed and the special feature of the role as the 'loving authority' could be exam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way of a effective class operation in mixed-age, team teaching classroom, For this, two issues of the research were established:
      1. What is the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the mixed age grouping and team teaching, and what is the meaning of the teacher's role under this circumstance?
      2. What is the teacher's role in mixed age, team teaching classroom, and especially what is their role as the 'loving authority' in terms of Waldorf principles?
      This research took place in at Haet-nim kindergarten in Songpa-ku, Seoul, Korea. It was mainly based on the 2 mixed age class called Dal-nim, Byeol-nim. The objects of study were 4 teachers and 48 children. To obtain the valuable data, 120 times of participant observation and 8 times of both formal and informal interview had taken place in the time period from August to October, 2007. The researcher had made a manuscript of voice recordings and video taping of the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and field notes,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This is how the study is summarized:
      First of all, the bringing up of children by mixed age grouping in Haet-nim kindergarten demanded the another teacher's role different from the same age group. The teachers must make contact personal the more individually moving children, because their discrepancy of age is 3-4 years. For this, the teacher's duty is to observe children individually better and to make an class atmosphere, where the personal difference of children can be respected.
      Second of all, the share of role and work, the cooperation between team teachers in Haet-nim kindergarten was demanded in order to observe each children with much circumstance. It became clear, that team teaching increased the efficiency of the education process in mixed age group.
      Third of all, team teachers in mixed age class of Haet-nim kindergarten must carry out the task as an 'loving authority', that Rudolf Steiner had mentioned. This was related to Waldorf education principles, for example, a imitation and a model that were used as the education program of Haet-nim kindergarten.
      Lastly, as a analysis results of the experience and the concrete task of the team teachers in mixed age classroom, the teacher's role as an 'loving authority' were categorized into the teacher, who respect the children's self, and the teacher, who support the children's activity, and the teacher, who give trust and stability to the children.
      As a result, the teacher's role as an'loving authority' was understood in a narrow sense as an educational guidance for children, who can learn through their own experience, in a broad sense as an educational principle that is necessary to educate a human for a such free being, as R. Steiner had mentioned.
      번역하기

      This Study is targeted at the role of the team teachers in mixed age classroom, specially as the 'loving authority' in terms of Waldorf prin- ciples. An ethnographic study method was used to observe the teachers and to interview them. As a result,...

      This Study is targeted at the role of the team teachers in mixed age classroom, specially as the 'loving authority' in terms of Waldorf prin- ciples.
      An ethnographic study method was used to observe the teachers and to interview them. As a result, their experience about the mixed age group and team teaching could be analyzed and the special feature of the role as the 'loving authority' could be exam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way of a effective class operation in mixed-age, team teaching classroom, For this, two issues of the research were established:
      1. What is the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the mixed age grouping and team teaching, and what is the meaning of the teacher's role under this circumstance?
      2. What is the teacher's role in mixed age, team teaching classroom, and especially what is their role as the 'loving authority' in terms of Waldorf principles?
      This research took place in at Haet-nim kindergarten in Songpa-ku, Seoul, Korea. It was mainly based on the 2 mixed age class called Dal-nim, Byeol-nim. The objects of study were 4 teachers and 48 children. To obtain the valuable data, 120 times of participant observation and 8 times of both formal and informal interview had taken place in the time period from August to October, 2007. The researcher had made a manuscript of voice recordings and video taping of the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and field notes,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This is how the study is summarized:
      First of all, the bringing up of children by mixed age grouping in Haet-nim kindergarten demanded the another teacher's role different from the same age group. The teachers must make contact personal the more individually moving children, because their discrepancy of age is 3-4 years. For this, the teacher's duty is to observe children individually better and to make an class atmosphere, where the personal difference of children can be respected.
      Second of all, the share of role and work, the cooperation between team teachers in Haet-nim kindergarten was demanded in order to observe each children with much circumstance. It became clear, that team teaching increased the efficiency of the education process in mixed age group.
      Third of all, team teachers in mixed age class of Haet-nim kindergarten must carry out the task as an 'loving authority', that Rudolf Steiner had mentioned. This was related to Waldorf education principles, for example, a imitation and a model that were used as the education program of Haet-nim kindergarten.
      Lastly, as a analysis results of the experience and the concrete task of the team teachers in mixed age classroom, the teacher's role as an 'loving authority' were categorized into the teacher, who respect the children's self, and the teacher, who support the children's activity, and the teacher, who give trust and stability to the children.
      As a result, the teacher's role as an'loving authority' was understood in a narrow sense as an educational guidance for children, who can learn through their own experience, in a broad sense as an educational principle that is necessary to educate a human for a such free being, as R. Steiner had mention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유아보육의 현장에서 혼합연령학급의 성공적인 교육을 위하여 혼합연령 집단구성 및 팀티칭에 의한 교수․학습과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교사의 역할, 특히 발도르프 교육원리의 의미에서 '애정 어린 권위자'(loving authority)로서의 역할수행의 실제는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햇님어린이집 교사들과의 면접과 관찰을 통하여 혼합연령집단, 팀티칭에 대한 그들의 경험을 분석하였고'애정 어린 권위자'로서의 역할수행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영유아보육기관에 혼합연령 집단구성, 팀티칭에 따른 효과적인 학급운영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유아보육과정에서 혼합연령 집단구성, 팀티칭 실행에 대한 교사인식은 어떠하며, 그것이 교사역할에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
      2. 혼합연령, 팀티칭 학급에서의 교사역할, 특히 발도르프 교육원리의 의미에서'애정 어린 권위자'로서의 역할수행의 실제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 송파구에 소재한 영유아보육기관인 햇님어린이집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혼합연령학급인 달님반과 별님반의 팀티칭 교사 4명과 영유아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예비연구와 본 연구를 설정하여 진행됐으며, 예비연구 기간 2007년 3월부터 7월까지, 본 연구는 2007년 8월부터 11월 초까지 진행되었다. 본 연구 기간에서는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에 따른 참여관찰, 심층면담, 현장일지 기록, 문서자료 수집, 영유아 및 학부모 면담, 사진촬영, 동영상 녹화, 오디오 녹음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예비연구 기간까지 합쳐 총 120회 이상의 참여관찰과 교사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을 총 8회 실시하였으며, 총 100회분 이상의 동영상을 촬영하였고 유아 및 학부모 면담을 수시로 실시하여 연구 자료를 보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보육기관 햇님어린이집에서 혼합연령 집단구성에 의한 학급편성과 영유아보육과정의 실현은 동일연령반의 교사역할과는 다른 교사역할을 요구했다. 햇님어린이집의 혼한연령학급에서는 3-4년에 걸친 영유아들의 연령차 때문에 보다 개별화되어 활동하는 영유아들을 개별적으로 접촉하고, 지도해야 하는 교사의 과제가 주어졌으며, 이를 위해 교사의 임무는 우선적으로 개별적 유아들을 잘 관찰하여 개인적 차별화를 존중해 가는 학급분위기를 만드는 것이다.
      둘째, 햇님어린이집 혼합연령학급에서는 개별적 영유아들의 세밀한 관찰을 위하여 팀티칭을 실현하는 동료교사와의 업무분담, 역할분담, 긴밀한 소통 등이 요구되었다. 혼합연령집단이 적절한 교육적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영유아의 연령별 적정 인원과 함께 이를 뒷받침하는 집단교수 형태로서의 팀티칭이 교육과정을 효율화하는데 있어서 적절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셋째, 햇님어린이집 혼합연령학급 팀티칭 교사들은 아름다운 협력을 실천하고, 보이지 않는 주도적인 교사역할을 위해 Steiner가 언급했던 바의 '애정 어린 권위자'(Loving Authority)로서의 과제를 수행해야 하였다. 이는 햇님어린이집 영유아보육 프로그램이 갖는 모방과 본보기란 발도르프 교육원리와 관계하였다. 이때 영유아에게 모방의 대상은 교사의 내면임에 유의하여 교사 자신에게는 보육과정에서 본보기가 되는 언행일치적인 태도, 아이와의 깊은 관계 유지, 직무에 대한 자신감, 자기수양과 자기교육 등이 요구되었다.
      넷째, 햇님어린이집 혼합연령학급 팀티칭 교사들의 구체적 교수과제와 경험을 분석한 결과, '애정 어린 권위자'로서의 교사역할은 영유아의 개별적 자아를 존중하는 교사, 영유아의 자발적 활동을 지원하는 교사, 영유아에게 신뢰감과 안정감을 주는 교사로 범주화되었다. 아동 주도 방식의 교수․학습방법이 강조되는 혼합연령학급에서도 교육의 확실성, 교사로서의 사고의 명확함, 행동의 정확성, 내적 확신을 갖는 교사역할이 필요하며, 여기에는 '애정 어린 권위자'로서의 과제를 수행하는 교사의 임무가 강조되었다.
      이상과 같은 분석 결과 중, 혼합연령학급에서 애정 어린 권위자로서의 교사역할은 선행연구의 지적과 일치되는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교육철학적으로 볼 때 교사의 임무란 직접적으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유아가 원래적으로 가지고 있는 자연적인 힘을 '이끌어내는 것'이라는 지적에서 근본적으로 차이가 난다. 흔히 교재가 없는 발도르프 학교에서 교사가 관찰을 통해 학생들의 지적 발전 수준에 맞게 창의적으로 수업을 이끌어나가는 과정에서 안내자와 조언자와 같은 역할수행을 하는 것을 '애정 어린 권위자'로서의 과제를 수행한다는 뜻으로 받아들인다. 즉, '애정 어린 권위자'로서의 교사역할은 좁은 의미에서 유아가 스스로의 경험을 통해 배울 수 있도록 이를 교육적으로 안내해주는 역할로 파악되었으며, 넓은 의미에서 '애정 어린 권위자'로서의 교사역할은 R. Steiner의 언급처럼, 인간을 자유로운 존재로 교육하는데 필요한 교육원리로 간주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영유아보육의 현장에서 혼합연령학급의 성공적인 교육을 위하여 혼합연령 집단구성 및 팀티칭에 의한 교수․학습과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교사의 역할, ...

      본 연구는 영유아보육의 현장에서 혼합연령학급의 성공적인 교육을 위하여 혼합연령 집단구성 및 팀티칭에 의한 교수․학습과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교사의 역할, 특히 발도르프 교육원리의 의미에서 '애정 어린 권위자'(loving authority)로서의 역할수행의 실제는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햇님어린이집 교사들과의 면접과 관찰을 통하여 혼합연령집단, 팀티칭에 대한 그들의 경험을 분석하였고'애정 어린 권위자'로서의 역할수행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영유아보육기관에 혼합연령 집단구성, 팀티칭에 따른 효과적인 학급운영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유아보육과정에서 혼합연령 집단구성, 팀티칭 실행에 대한 교사인식은 어떠하며, 그것이 교사역할에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
      2. 혼합연령, 팀티칭 학급에서의 교사역할, 특히 발도르프 교육원리의 의미에서'애정 어린 권위자'로서의 역할수행의 실제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 송파구에 소재한 영유아보육기관인 햇님어린이집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혼합연령학급인 달님반과 별님반의 팀티칭 교사 4명과 영유아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예비연구와 본 연구를 설정하여 진행됐으며, 예비연구 기간 2007년 3월부터 7월까지, 본 연구는 2007년 8월부터 11월 초까지 진행되었다. 본 연구 기간에서는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에 따른 참여관찰, 심층면담, 현장일지 기록, 문서자료 수집, 영유아 및 학부모 면담, 사진촬영, 동영상 녹화, 오디오 녹음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예비연구 기간까지 합쳐 총 120회 이상의 참여관찰과 교사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을 총 8회 실시하였으며, 총 100회분 이상의 동영상을 촬영하였고 유아 및 학부모 면담을 수시로 실시하여 연구 자료를 보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보육기관 햇님어린이집에서 혼합연령 집단구성에 의한 학급편성과 영유아보육과정의 실현은 동일연령반의 교사역할과는 다른 교사역할을 요구했다. 햇님어린이집의 혼한연령학급에서는 3-4년에 걸친 영유아들의 연령차 때문에 보다 개별화되어 활동하는 영유아들을 개별적으로 접촉하고, 지도해야 하는 교사의 과제가 주어졌으며, 이를 위해 교사의 임무는 우선적으로 개별적 유아들을 잘 관찰하여 개인적 차별화를 존중해 가는 학급분위기를 만드는 것이다.
      둘째, 햇님어린이집 혼합연령학급에서는 개별적 영유아들의 세밀한 관찰을 위하여 팀티칭을 실현하는 동료교사와의 업무분담, 역할분담, 긴밀한 소통 등이 요구되었다. 혼합연령집단이 적절한 교육적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영유아의 연령별 적정 인원과 함께 이를 뒷받침하는 집단교수 형태로서의 팀티칭이 교육과정을 효율화하는데 있어서 적절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셋째, 햇님어린이집 혼합연령학급 팀티칭 교사들은 아름다운 협력을 실천하고, 보이지 않는 주도적인 교사역할을 위해 Steiner가 언급했던 바의 '애정 어린 권위자'(Loving Authority)로서의 과제를 수행해야 하였다. 이는 햇님어린이집 영유아보육 프로그램이 갖는 모방과 본보기란 발도르프 교육원리와 관계하였다. 이때 영유아에게 모방의 대상은 교사의 내면임에 유의하여 교사 자신에게는 보육과정에서 본보기가 되는 언행일치적인 태도, 아이와의 깊은 관계 유지, 직무에 대한 자신감, 자기수양과 자기교육 등이 요구되었다.
      넷째, 햇님어린이집 혼합연령학급 팀티칭 교사들의 구체적 교수과제와 경험을 분석한 결과, '애정 어린 권위자'로서의 교사역할은 영유아의 개별적 자아를 존중하는 교사, 영유아의 자발적 활동을 지원하는 교사, 영유아에게 신뢰감과 안정감을 주는 교사로 범주화되었다. 아동 주도 방식의 교수․학습방법이 강조되는 혼합연령학급에서도 교육의 확실성, 교사로서의 사고의 명확함, 행동의 정확성, 내적 확신을 갖는 교사역할이 필요하며, 여기에는 '애정 어린 권위자'로서의 과제를 수행하는 교사의 임무가 강조되었다.
      이상과 같은 분석 결과 중, 혼합연령학급에서 애정 어린 권위자로서의 교사역할은 선행연구의 지적과 일치되는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교육철학적으로 볼 때 교사의 임무란 직접적으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유아가 원래적으로 가지고 있는 자연적인 힘을 '이끌어내는 것'이라는 지적에서 근본적으로 차이가 난다. 흔히 교재가 없는 발도르프 학교에서 교사가 관찰을 통해 학생들의 지적 발전 수준에 맞게 창의적으로 수업을 이끌어나가는 과정에서 안내자와 조언자와 같은 역할수행을 하는 것을 '애정 어린 권위자'로서의 과제를 수행한다는 뜻으로 받아들인다. 즉, '애정 어린 권위자'로서의 교사역할은 좁은 의미에서 유아가 스스로의 경험을 통해 배울 수 있도록 이를 교육적으로 안내해주는 역할로 파악되었으며, 넓은 의미에서 '애정 어린 권위자'로서의 교사역할은 R. Steiner의 언급처럼, 인간을 자유로운 존재로 교육하는데 필요한 교육원리로 간주되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A. 연구의 필요성 = 1
      • B.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 = 7
      • C. 용어의 정의 = 8
      • 1. 혼합연령집단(mixed age group) = 8
      • Ⅰ. 서론 = 1
      • A. 연구의 필요성 = 1
      • B.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 = 7
      • C. 용어의 정의 = 8
      • 1. 혼합연령집단(mixed age group) = 8
      • 2. 팀티칭(team teaching) = 8
      • 3. 인지학(Antroposophie) = 8
      • 4. 발도르프교육(Waldorf education) = 9
      • 5.'애정 어린 권위자'(loving authority) = 9
      • Ⅱ. 이론적 배경 = 10
      • A. 혼합연령 집단구성과 교사역할 = 10
      • 1. 혼합연령 집단구성의 의미 = 10
      • 2. 혼합연령 집단구성의 교육적 효과 = 12
      • 3. 혼합연령 집단구성이 교사역할에 주는 의미 = 14
      • B. 혼합연령집단의 교수전략과 팀티칭 = 15
      • 1. 혼합연령집단의 교수전략 = 15
      • 2. 팀티칭 = 16
      • 3. 혼합연령집단에서 팀티칭 실행의 의미 = 17
      • C. 발도르프 교육에서‘애정 어린 권위자’로서의 교사역할 = 18
      • 1. 슈타이너의 인지학적 관점에서 아동발달단계 = 18
      • 2.'애정 어린 권위자'로서의 교사역할 = 20
      • Ⅲ. 연구방법 = 24
      • A. 연구대상 = 24
      • 1. 연구기관 및 교사 = 24
      • 2. 학급운영의 특징 = 27
      • a. 교육철학 = 27
      • b. 영유아 = 30
      • B. 연구절차 = 34
      • 1. 연구기간 = 34
      • 2. 자료수집 = 34
      • a. 참여관찰 = 35
      • b. 심층면담 = 36
      • 3. 자료처리 = 36
      • 4. 자료분석과 신뢰도 = 37
      • VI. 혼합연령, 팀티칭 학급에서‘애정 어린 권위자’로서의 교사역할 = 38
      • A. 혼합연령집단에 대한 교사인식 = 38
      • 1. 다양한 관계맺음을 통해 자아를 확립하는 집단 = 38
      • 2. 사회성, 인지, 언어발달에 교육적 효과 = 39
      • 3. 개별적 지도와 동료교사와의 협력 필요 = 42
      • B. 팀티칭에 대한 교사 인식 = 43
      • 1. 교사협력이 좋으면 상호작용이 안정적 = 44
      • 2. 교사협력이 불편하면 아이들 활동도 불안정 = 46
      • 3.?몸은 두 개이지만 감각은 함께 가야? = 48
      • C. 혼합연령, 팀티칭 학급에서 교사역할 = 50
      • 1. 본보기의 대상은 교사의 내면 = 50
      • 2. 애정과 권위의 사이 = 52
      • 3. 균형의 추:‘애정 어린 권위자’ = 55
      • D. '애정 어린 권위자?서의 교수방법 = 60
      • 1. 개별적 자아를 존중하는 교사 = 60
      • a. 첫 번째 과제·관찰? = 60
      • b. 개별 접촉과 개별지도 = 63
      • 2. 자발적 활동을 지원하는 교사 = 65
      • a. 지원하기와 안내하기 = 65
      • b. 긍정적 또래강화의 촉진 = 70
      • 3. 신뢰감과 안정감을 주는 교사 = 73
      • a. 영유아와 리듬생활 = 73
      • b. 리듬생활은 교사 스스로의 생활 = 77
      • VII. 논의 및 결론 = 80
      • A. 논의 = 80
      • B. 결론 및 제언 = 85
      • 〈참고문헌〉 = 88
      • 국문초록 = 94
      • Abstract = 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