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토함산석굴의 11면관음보살상 연구 = Study on Eleven-Headed Avalokitesvara of Mt. Toham Cave Temp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7666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토함산석굴 十一面觀音菩薩像은 주실 내 가장 성스러운 곳, 토함산의 맑고 깨끗한 감로수가 용출하는 신성한 샘 위에 조성되었다. 이 샘물은 .慶州邑誌.(1933 년 발행)에서 東嶽神인 탈해왕 ...

      토함산석굴 十一面觀音菩薩像은 주실 내 가장 성스러운 곳, 토함산의 맑고 깨끗한 감로수가 용출하는 신성한 샘 위에 조성되었다. 이 샘물은 .慶州邑誌.(1933 년 발행)에서 東嶽神인 탈해왕 설화에 나오는 遙乃井이라고 밝혀, 석굴암이 신라 고유 재래 신앙이 깃든 聖所에 자리하였다는 것을 알 수있었다. 또한 샘물이 가장 많이 용출하는 곳에 11 면관음을 배치하여 온 누리에 충만한 만물생성의觀音力을 淨水, 즉 치유와 정화의 매개체인 물로 상징하였다. 11 면관음보살상 외에도 정병을 든 십대제자상과 범천상이 조성된 곳 역시 샘물이 용출하는 곳이어서 토함산석굴의 입지를 호국사상이 깃든 이곳에 정하면서 존상들의 도상과 자연환경까지 고려한 신라인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었다. 주실 판석의 보살상 중 가장 고부조로 조각되어 본존불에 버금가는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11 면관음보살상은 문수 . 보현보살상과 정삼각형의 배치구도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 삼존의 도상 배치의 예를 경전과 『삼국유사』, 실제 조상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다라니집경』에서 11 면관음보살은 諸보살중에서도 주도적인 首位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삼존의 본존으로 조성될 가능성은 충분하다. 『삼국유사』중생사 관음 기록에서도 11 면관음상과 함께 문수의 사자좌와 보현의 코끼리좌를 지칭하는 獸座(동물대좌)를 암시하는 기록이 있어 삼존상 조성 기록으로 추론해보았다. 『삼국유사』에서 11 면관음보살은 승려 혹은 여승으로 화생하여 중생의 고난을 구제하는데 비해, 관음이나 문수보살은 여인이나 거사의 모습으로 등장하여, 11 면관음이 한 단계 격이 높은 승려의 모습으로 化現한다. 실제 조상례는 천룡산 9 굴, 돈황 321 굴 동벽 북측 벽화, 돈황 334 굴 벽화 등에서 삼존의 본존불로 조성한 예를 찾아볼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leven-Headed Avalokitesvara of the Mt. Toham Cave Temple was formed at the most holy place in the main hall with a sacred spring where clear and pure sugared water of Mt. Toham spouts out. This spring is called Yonaejeong (遙乃井) in Gyeongju Chro...

      Eleven-Headed Avalokitesvara of the Mt. Toham Cave Temple was formed at the most holy place in the main hall with a sacred spring where clear and pure sugared water of Mt. Toham spouts out. This spring is called Yonaejeong (遙乃井) in Gyeongju Chronicle (慶州邑誌. published in 1933) that appears in the myth of King Talhae that became Dongakshin (god of Mt. Toham) after death, which means the cave temple is located at sanctum where an indigenous religion of Silla Kingdom``s indwells. In addition, Eleven-Headed Avalokitesvara is placed where spring water spouts the most, which symbolizes capacity of Avalokitesvara with pure water, the medium of healing and purification. Other than Eleven-Headed Avalokitesvara, where Ten Disciples of Buddha and Brahma holding Kundika are formed is also with spring water, which implies Silla people``s wisdom to consider natural environment as well as icons of the sacred images upon deciding the position of Mt. Toham Cave Temple. Holding a position as important as Sakyamuni for being carved in the highest relief among various Bodhisattva in the main hall, Eleven-Headed Avalokitesvara forms an equilateral triangle with Manjusri and Samantabhadra and this study examines that arrangement of Bodhisattva Triad through scriptures, Samguk-yusa (History Book of the Heritage of the Three Kingdoms) and actual cases of statuary. According to Dharani Sutra, Eleven-Headed Avalokitesvara holds the foremost position of all Bodhisattva and it is very likely that it is formed as Bodhisattva Triad. In Avalokitesvara of Jungsaeng Temple on Samguk-yusa, there is a record inferring animal-shaped thrones which refer to lion throne of Manjusri and elephant throne of Samantabhadra along with Eleven-Headed Avalokitesvara, which this study infers as a record on formation of Bodhisattva Triad. In Samguk-yusa, Eleven-Headed Avalokitesvara is transformed as a Buddhist monk or a nun to relieve people``s suffering while Avalokitesvara or ManjuSri appears as a woman or a grhapati, which means Eleven-Headed Avalokitesvara comes to the world as a Buddhist priest of higher class. Actual cases of Bodhisattva Triad statuary include Tianlongshan Grotto 9, the north side mural of the east wall in Dunhuang Grotto 321, Dunhuang Grotto 334, etc.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숙희, "통일신라시대 밀교계 도상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4

      2 文明大, "천룡산석굴의 현상과 불상양식의 연구" 197 : 1993

      3 남동신, "천궁(天宮)으로서의 석굴암(石窟庵)"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13) : 84-127, 2014

      4 강희정, "중국 관음보살상 연구" 일지사 2004

      5 배재호, "연화장세계의 도상학" 일지사 2009

      6 국립춘천박물관, "양양 낙산사 관동팔경 기획특별전 Ⅱ"

      7 성낙주, "석굴암-그 이념과 미학" 개마고원 2000

      8 강우방, "석굴암 불교조각의 도상적 고찰" 국립중앙박물관 56 : 1995

      9 허형욱, "석굴암 梵天, 帝釋天像 도상의 기원과 성립" 한국미술사학회 (246) : 5-46, 2005

      10 남동신, "북한산 僧伽大師像과 僧伽信仰" 14 : 2000

      1 이숙희, "통일신라시대 밀교계 도상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4

      2 文明大, "천룡산석굴의 현상과 불상양식의 연구" 197 : 1993

      3 남동신, "천궁(天宮)으로서의 석굴암(石窟庵)"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13) : 84-127, 2014

      4 강희정, "중국 관음보살상 연구" 일지사 2004

      5 배재호, "연화장세계의 도상학" 일지사 2009

      6 국립춘천박물관, "양양 낙산사 관동팔경 기획특별전 Ⅱ"

      7 성낙주, "석굴암-그 이념과 미학" 개마고원 2000

      8 강우방, "석굴암 불교조각의 도상적 고찰" 국립중앙박물관 56 : 1995

      9 허형욱, "석굴암 梵天, 帝釋天像 도상의 기원과 성립" 한국미술사학회 (246) : 5-46, 2005

      10 남동신, "북한산 僧伽大師像과 僧伽信仰" 14 : 2000

      11 岩本裕, "관음의 표정" 談交社 1968

      12 權相老, "관음예문강의" 普成文化社 2001

      13 강희정, "관음과 미륵의 도상학" 학연문화사 2006

      14 김동하, "경주 낭산 출토 불⋅보살상 재검토 -석조십일면관음보살입상과 석조약사불좌상의 관계에 대하여-" 대구사학회 100 : 1-29, 2010

      15 金東華, "韓國歷代高僧傳" 삼성문화문고 1973

      16 金煐泰, "韓國密敎思想硏究" 韓國密敎思想硏究, 동국대학교출판부 1986

      17 佛敎文化硏究院, "韓國密敎思想硏究" 동국대학교출판부 1986

      18 高翊晋, "韓國密敎思想硏究" 동국대학교출판부 1986

      19 張忠植, "韓國密敎思想硏究" 동국대학교출판부 1986

      20 정태혁, "韓國佛敎의 密敎的 性格에 대한 考察" 동국대불교문화연구소 18 : 1981

      21 後藤大用, "觀音菩薩の硏究" 山喜房佛書林 1958

      22 "續高僧傳"

      23 金理那, "統一新羅時代 前期의 佛像彫刻樣式" (154․155) : 1982

      24 鄭炳三, "統一新羅 觀音信仰" 서울대학교 8 : 1982

      25 文化財管理局, "石窟庵修理工事報告書" 文敎部 文化財管理局 1967

      26 黃壽永, "石窟庵" 藝耕出版社 1989

      27 金相鉉, "石佛寺 및 佛國寺의 硏究-그 創建과 思想的 背景" 2 : 1986

      28 申榮勳, "石佛寺 石室金堂 構造論" 한국학중앙연구원 15 (15): 1992

      29 배진달, "石佛寺 圖像 考: 華嚴 佛身觀의 신라적 해석" 미술사연구회 (22) : 55-72, 2008

      30 "海東高僧傳"

      31 黃永眞, "梵文解說 觀音經" 寶蓮閣 1980

      32 松田誠一郞, "東京國立博物館保管十一面觀音像(多武峯傳來)について (下)"

      33 姜仁求, "昔脫解와 吐含山, 그리고 石窟庵" 24 : 2001

      34 金相鉉, "新羅中代 華嚴學僧 表訓考" 14 : 2013

      35 金南允, "新羅中代 法相宗의 成立과 信仰" 11 : 1984

      36 印權煥, "新羅 觀音說話의 樣相과 意味" 6 : 1989

      37 文明大, "新羅 神印宗의 硏究" 震壇學會 41 : 1976

      38 金鎔濟, "慶州邑誌" 津津堂 1933

      39 朴亨國, "慶州 石窟庵 諸佛像에 관한 佛敎圖像學的 考察" 21 : 2000

      40 文明大, "慶州 石窟庵 佛像彫刻의 比較史的 硏究" 2 : 1985

      41 佐和隆硏, "密敎美術史" 便利堂 1955

      42 李裕群, "天龍山石窟" 科學出版社 2003

      43 남동신, "大城孝二世父母條에 보이는 孝와 善" 30 : 2009

      44 宮本正尊, "大乘佛敎の成立史的硏究" 1954

      45 金善卿, "唐代 阿彌陀三尊佛의 圖像과 長安 光宅寺 七寶臺 阿彌陀三尊像"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46 文明大, "吐含山石窟" 한국언론자료간행회 2000

      47 金石蘭, "十一面觀音像의 硏究: 그 成立과 初期의 展開樣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9

      48 副島弘道, "十一面觀音像․千手觀音像-日本の美術4" 至文堂 1992

      49 水野淸一, "十一面觀世音像" 每日新聞社 10 : 1950

      50 金鉉埈, "元曉의 懺悔思想-六乘六情懺悔를 中心으로" 한국불교연구원 2 : 1986

      51 中村元, "佛陀의 世界" 김영사 1984

      52 文明大, "佛國寺 佛敎美術의 綜合的 硏究-佛國寺 佛敎建築美術論" 12 : 1999

      53 李淑姬, "中國 四川省 川北지역 石窟의 初期密敎 造像" 13 : 1999

      54 辛鍾遠, "三國遺事에 실린 芬皇寺觀音菩薩 說話 譯註" 20 : 1999

      55 이재호, "三國遺事" 솔출판사 1997

      56 "三國遺事"

      57 한정호, "『三國遺事』 석굴암 창건기록의 미술사적 타당성 검토"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6 (26): 99-127,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6-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불교미술사학 -> 강좌미술사
      외국어명 : BULKYOMISULSAHAK -> The Art History Journal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6 0.3 0.589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