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무한방향흐름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도 평가 = Estimation of Landslide Risk based on Infinity Flow Dire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291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it was conducted a broad-area landslide analysis for the entire area of Kyungsangbuk-do Province based on spatially-distributed wetness index and root reinforcement infinity slope stability theory. Specifically, digital map, soil map an...

      In this study, it was conducted a broad-area landslide analysis for the entire area of Kyungsangbuk-do Province based on spatially-distributed wetness index and root reinforcement infinity slope stability theory. Specifically, digital map, soil map and forest map were used to extract topological and geological parameters, and to build spatially-distributed database at 10m×10m resolution. Infinity flow direction method was used for rain catchment area to produce spatially-distributed wetness index. The safety level that indicates risk of a broad-area landslide wa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The result showed that areas with a high estimated risk of a landslide coincided with areas that recently went through an actual landslide, including Bonghwa and Gimcheon, and unstable areas were clustered around mountainous areas. A comparison between the estimation result and the records of actual landslide showed that the analysis model is effective for estimating a risk of a broad-area landslide based on accumulation of reasonable paramet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전체를 대상으로 공간분포형 습윤지수와 뿌리보강무한사면안정해석 이론을 활용한 광역적인 산사태 분석을 실시하였다. 해석을 수행하기 위해 수치지도와 정밀토...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전체를 대상으로 공간분포형 습윤지수와 뿌리보강무한사면안정해석 이론을 활용한 광역적인 산사태 분석을 실시하였다. 해석을 수행하기 위해 수치지도와 정밀토양도, 임상도 등을 이용하여 지형・지질학적 매개변수를 추출하고 10m×10m 해상도의 공간분포형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공간분포형 습윤지수를 생성하기 위한 비 집수면적은 무한방향흐름기법을 적용하였다. 광역적인 산사태 위험도 평가를 위한 안전율은 4개 등급으로 구분하여 도시하였다. 위험도 평가결과, 산사태 위험지역은 봉화와 김천 등 실제 최근의 산사태 발생지역과 유사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산지와 인접한 지역에 unstable 지역이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산사태 기록과 비교해본 결과, 본 해석모형이 합리적인 매개변수의 축적을 통해 광역적인 산사태 위험성을 평가하는 유효한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동건, "풍화토 지반 얕은기초의 저항편향계수 분석"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0 (10): 197-211, 2014

      2 한지영, "토양수분 예측을 위한 수치지형 분석과 동역학적 습윤지수의 개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3

      3 이사로, "지리정보시스템(GIS)를 이용한 산사태 취약성 분석 기법 개발 및 적용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4 이창우, "역사기록서 고찰을 통한 조선시대 산사태 특성 분석" 한국방재학회 13 (13): 161-165, 2013

      5 최정렬, "생태수문모형과 사면안정모형을 이용한 내린천 유역의 잠재 산사태 위험도 평가"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1

      6 e-나라지표, "산사태피해현황"

      7 김민구, "뿌리보강 모델을 활용한 GIS 산사태 위험도 작성 방법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5

      8 이기하, "비 집수면적 산정기법에 따른 사면 안정성 비교·분석" 한국수자원학회 45 (45): 643-656, 2012

      9 이승우,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산사태 위험도 예측식 개발" 한국지반공학회 28 (28): 23-33, 2012

      10 오성렬, "공간분포형 습윤지수를 이용한 유역규모의 사면안정해석" 한국지리학회 3 (3): 111-126, 2014

      1 김동건, "풍화토 지반 얕은기초의 저항편향계수 분석"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0 (10): 197-211, 2014

      2 한지영, "토양수분 예측을 위한 수치지형 분석과 동역학적 습윤지수의 개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3

      3 이사로, "지리정보시스템(GIS)를 이용한 산사태 취약성 분석 기법 개발 및 적용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4 이창우, "역사기록서 고찰을 통한 조선시대 산사태 특성 분석" 한국방재학회 13 (13): 161-165, 2013

      5 최정렬, "생태수문모형과 사면안정모형을 이용한 내린천 유역의 잠재 산사태 위험도 평가"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1

      6 e-나라지표, "산사태피해현황"

      7 김민구, "뿌리보강 모델을 활용한 GIS 산사태 위험도 작성 방법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5

      8 이기하, "비 집수면적 산정기법에 따른 사면 안정성 비교·분석" 한국수자원학회 45 (45): 643-656, 2012

      9 이승우,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산사태 위험도 예측식 개발" 한국지반공학회 28 (28): 23-33, 2012

      10 오성렬, "공간분포형 습윤지수를 이용한 유역규모의 사면안정해석" 한국지리학회 3 (3): 111-126, 2014

      11 정규원, "경상북도 산사태의 발생특성 및 위험예측도 작성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12 Quinn, P., "The prediction of hillslope flow paths for 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ling using digital terrain models" 5 : 59-79, 1991

      13 O’Callaghan, J. F., "The extraction of drainage networks from digital elevation data, Computer Vision" 28 : 328-344, 1984

      14 Pack, R. T., "The SINMAP aproach to terrain stability mapping" 157-165, 1998

      15 Baum, R. L., "TRIGRS A Fortran Program for Transient Rainfal Infiltration and Grid-Based Regional Slope-Stabilty Analysis" U.S. Geological Survey 27-, 2002

      16 Wu, T. H., "Strength of tree roots and landslides on prince of wales Island, Alaska" 16 (16): 19-33, 1979

      17 Ray, R. L., "Slope stability analysis using GIS on a regional scale : a case study from Dhalding, Nepal" 57 (57): 1603-1611, 2009

      18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Slope Failure Disaster Research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80-, 2003

      19 O’Loughlin, E. M., "Prediction of surface saturation zones in natural catchments by topographic analysis" 22 (22): 794-804, 1986

      20 Rawls, W. J., "Prediction of soil water properties for hydrologic modeling, Watershed Management in the Eighties" 293-299, 1985

      21 Simoni, S., "Modeling the probabilty of ocurence of shallow landslides and channelized debris flows using GEOtopFS" 220 : 532-545, 2008

      22 Rawls, W. J., "Greenampt infiltration parameters from soil data" 109 (109): 62-70, 1983

      23 양인태, "GIS를 이용한 강우조건에 따른 산사태 취약지 평가" 대한공간정보학회 15 (15): 39-46, 2007

      24 Acharya, G., "Assessing landslide hazard in GIS : a case study from Rasuwa, Nepal" 65 (65): 99-107, 2006

      25 Borga, M., "Analysis of topographic and climatic control on rainfalltriggered shallow landsliding using a quasi-dynamic wetness index" 268 : 56-71, 2002

      26 Lee, I. M.,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vegetation roots on slope stability of hillside slopes" 7 (7): 51-66, 1991

      27 Anderson, M. G., "Advances in Hillslope Processes" Wiley 79-821, 1996

      28 Beven, K. J., "A physically based, variable contributing area model of basin hydrology" 24 : 43-69, 1979

      29 Montgomery, D. R., "A physically based model for the topographic control on shallow landsliding" 30 (30): 1153-1171, 1994

      30 Tarboton, D., "A new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flow directions and upslope areas in grid digital elevation models" 33 : 309-319,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6 0.26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 0.19 0.46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