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뉴 노멀-교육의 비판적 담론 분석을 통한 국어교육의 방향 모색 =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n the New Normal-Education and Implication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552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social awareness of new normal in education through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n news articles featu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ew normal and education. The followings are examined. First, in an aspect of textual practice, new normal-education discourse is primarily focusing on describing COVID-19 pandemic as an opportunity, emphasizing instructional method to overcome the crisis ans proposing prospects of future education after the pandemic. Second, in an aspect of discourse practice, this discourse is intertwined with the 2008 financial crisis-new normal discourse, distance education discourse an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iscourse. Lastly, in an aspect of social practice, it is identified that practicality of disaster, innovativeness of distance education and conformity of future education are naturalized as an educational attitude towards the pandemic. The analysis results were meaningful in that it shows the recognition condi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new normal and secures a reflective perspective on it.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social awareness of new normal in education through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n news articles featu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ew normal and education. The followings are examined. First, in an aspect of textual prac...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social awareness of new normal in education through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n news articles featu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ew normal and education. The followings are examined. First, in an aspect of textual practice, new normal-education discourse is primarily focusing on describing COVID-19 pandemic as an opportunity, emphasizing instructional method to overcome the crisis ans proposing prospects of future education after the pandemic. Second, in an aspect of discourse practice, this discourse is intertwined with the 2008 financial crisis-new normal discourse, distance education discourse an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iscourse. Lastly, in an aspect of social practice, it is identified that practicality of disaster, innovativeness of distance education and conformity of future education are naturalized as an educational attitude towards the pandemic. The analysis results were meaningful in that it shows the recognition condi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new normal and secures a reflective perspective on i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뉴 노멀과 교육의 관계를 다룬 뉴스를 분석 자료로 삼아 교육 분야의 뉴 노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비판적 담론 분석의 방법으로 검토하였다. 뉴 노멀-교육 담론의 주제를 현실 인식, 교육적 대응, 미래 전망으로 나눈 후, 각 차원의 담론 구성을 텍스트 층위, 담론적 실천 층위, 사회문화적 실천 층위로 나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텍스트 층위에서 이 담론은 코로나, 위기, 온라인, 원격, 기술, 변화, 미래 등의 어휘, 위기는 곧 기회, 비정상화의 정상화, 결코 돌아갈 수없는 과거라는 표현, 르네상스를 꽃피운 흑사병, 미네르바 스쿨 등의 인용을 통해 코로나19 팬데믹의 재난을 기회로 묘사하고 위기를 극복할 교육 방법을 부각하며 팬데믹 이후의 미래 교육을 전망하고 있으며, 둘째, 담론적 실천 층위에서 이 담론은 금융위기의 뉴 노멀 담론, 원격 교육 담론, 4차 산업혁명 담론과 결합하고 있으며, 셋째, 사회문화적 실천 층위에서 이 담론은 재난의 실용성, 원격 교육의 혁신성, 미래 교육의 순응성을 팬데믹 시대의 교육적 태도로 자연화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팬데믹 이후의 국어교육을 모색하는 데 있어 뉴 노멀에 기반을 둔 국어교육 논의의 인식 조건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성찰적 시각을 확보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뉴 노멀과 교육의 관계를 다룬 뉴스를 분석 자료로 삼아 교육 분야의 뉴 노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비판적 담론 분석의 방법으로 검토하였다. 뉴 노멀-교육 담론의 주제를 현실 ...

      이 연구는 뉴 노멀과 교육의 관계를 다룬 뉴스를 분석 자료로 삼아 교육 분야의 뉴 노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비판적 담론 분석의 방법으로 검토하였다. 뉴 노멀-교육 담론의 주제를 현실 인식, 교육적 대응, 미래 전망으로 나눈 후, 각 차원의 담론 구성을 텍스트 층위, 담론적 실천 층위, 사회문화적 실천 층위로 나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텍스트 층위에서 이 담론은 코로나, 위기, 온라인, 원격, 기술, 변화, 미래 등의 어휘, 위기는 곧 기회, 비정상화의 정상화, 결코 돌아갈 수없는 과거라는 표현, 르네상스를 꽃피운 흑사병, 미네르바 스쿨 등의 인용을 통해 코로나19 팬데믹의 재난을 기회로 묘사하고 위기를 극복할 교육 방법을 부각하며 팬데믹 이후의 미래 교육을 전망하고 있으며, 둘째, 담론적 실천 층위에서 이 담론은 금융위기의 뉴 노멀 담론, 원격 교육 담론, 4차 산업혁명 담론과 결합하고 있으며, 셋째, 사회문화적 실천 층위에서 이 담론은 재난의 실용성, 원격 교육의 혁신성, 미래 교육의 순응성을 팬데믹 시대의 교육적 태도로 자연화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팬데믹 이후의 국어교육을 모색하는 데 있어 뉴 노멀에 기반을 둔 국어교육 논의의 인식 조건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성찰적 시각을 확보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흥식, "흑사병과 중세 말기 유럽의 인구문제" 한국서양사학회 (93) : 5-32, 2007

      2 이강옥, "화쟁과 치유의 국어교육" 국어교육학회(since1969) (75) : 291-316, 2021

      3 우신영, "팬데믹 시대, 문학교육 앞의 질문들에 대하여" 한국문학교육학회 (71) : 43-69, 2021

      4 남미자, "코로나19로 촉발된 원격수업에 대한 소고" 비판사회학회 (128) : 106-133, 2020

      5 박영민, "치유적 글쓰기를 활용한 국어교육 방안" 청람어문교육학회 (53) : 37-55, 2015

      6 이경호, "제4차 산업혁명시대 학교교육 혁신방안 탐색 : 미국 ‘미네르바 스쿨’ 혁신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6 (26): 179-199, 2020

      7 이재기, "재난의 일상성, 독서를 통한 자기 돌봄의 탐색" 한국독서학회 (60) : 37-61, 2021

      8 김보경 ; 소숙, "자기구조화학습환경과 미네르바스쿨이 학교 온라인 수업설계에 주는 시사점" 한국열린교육학회 29 (29): 1-30, 2021

      9 이지연 ; 이재경, "이러닝의 개념화를 위한 일 고찰" 한국성인교육학회 8 (8): 1-31, 2005

      10 조진옥, "위험사회속 자살기사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페어클로(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35 (35): 385-410, 2016

      1 박흥식, "흑사병과 중세 말기 유럽의 인구문제" 한국서양사학회 (93) : 5-32, 2007

      2 이강옥, "화쟁과 치유의 국어교육" 국어교육학회(since1969) (75) : 291-316, 2021

      3 우신영, "팬데믹 시대, 문학교육 앞의 질문들에 대하여" 한국문학교육학회 (71) : 43-69, 2021

      4 남미자, "코로나19로 촉발된 원격수업에 대한 소고" 비판사회학회 (128) : 106-133, 2020

      5 박영민, "치유적 글쓰기를 활용한 국어교육 방안" 청람어문교육학회 (53) : 37-55, 2015

      6 이경호, "제4차 산업혁명시대 학교교육 혁신방안 탐색 : 미국 ‘미네르바 스쿨’ 혁신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6 (26): 179-199, 2020

      7 이재기, "재난의 일상성, 독서를 통한 자기 돌봄의 탐색" 한국독서학회 (60) : 37-61, 2021

      8 김보경 ; 소숙, "자기구조화학습환경과 미네르바스쿨이 학교 온라인 수업설계에 주는 시사점" 한국열린교육학회 29 (29): 1-30, 2021

      9 이지연 ; 이재경, "이러닝의 개념화를 위한 일 고찰" 한국성인교육학회 8 (8): 1-31, 2005

      10 조진옥, "위험사회속 자살기사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페어클로(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35 (35): 385-410, 2016

      11 이정민 ; 정제영, "수저계급론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교육불평등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치학회 27 (27): 73-96, 2020

      12 김성희 ; 이준웅, "소통연구 관점에서 본 재난과 위험인식의 재개념화: ‘환경 재난 담론모형’의 제안" 한국언론학회 15 (15): 46-104, 2019

      13 이병규, "새 일상(new normal) 시대, 국어 교육의 새 기준(new normal)" 초등교육연구원 32 : 29-42, 2021

      14 정희모, "비판적 담화 분석의 문제점과 국어교육에의 적용- 페어클러프와 푸코의 방법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35) : 161-194, 2017

      15 안새롬, "미디어 담론으로 본 농촌유학의 의미 구성과 실천: 다큐멘터리 ‘시골 학교, 도시 아이들’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한국환경교육학회 31 (31): 224-240, 2018

      16 김동환, "문학치유의 서사적 장치로서의 병치" 한국문학치료학회 31 : 139-159, 2014

      17 김혜영, "문학교육의 문화적 지향 고찰" 교육연구소 24 (24): 205-220, 2018

      18 정재찬, "문학교육을 통한 개인의 치유와 발달" 한국문학교육학회 (29) : 77-102, 2009

      19 강희숙, "동아시아 재난에 대한 인문학적 담론의 모색" 인문학연구원 (59) : 9-32, 2020

      20 최규홍, "뉴 노멀 시대, 초등 국어과 교육의 방향"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71) : 333-351, 2021

      21 옥현진, "국어교육 질적 연구 동향에 대한 일고찰" 한국어교육학회 (132) : 249-268, 2010

      22 박휴용, "교육과정 이념으로서의 세계시민주의 (Cosmopolitanism)에 대한 비판적담론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3 (13): 1-27, 2010

      23 서덕희, "“적정규모 학교”라는 담론의 질서: 농촌 교육정책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29 (29): 195-233, 2019

      24 최소희 ; 임상훈 ; 유영만, "‘미래교육’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에 관한 신문 담론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007-1034, 2019

      25 Mohamed A. E., "When markets collide : investment strategies for the age of global economic change" McGraw-Hill 2008

      26 Rhee, J., "Throw away the slogan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Kyunghyang Shinmun

      27 Cho, S., "The meaning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ustainable university education" 85-103, 2018

      28 Cho, S.,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Education in Korea in the Future" 19 (19): 3-39, 2021

      29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SAGE Publications 2013

      30 Park, J., "Futuristics and education" 4 : 97-110, 1998

      31 Kim, M., "Education after Covid-19"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Press 39-80, 2021

      32 Fairclough, N., "Discourse as Social Interaction" SAGE Publications 258-284, 1997

      33 Stockwell, P., "Cognitive Poetics: An introduction" Routledge 2003

      34 Maeng, M., "AlphaGo Shock and the Spread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iscours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7

      35 Park, J., "A study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s for improving competency in news understanding :focusing on frame recogni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6

      36 Jeong, Y., "A Critical Review on the Concept of “Education”in Distance Education Discours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2

      37 장수빈, "5·31 교육개혁 이후의국가 교육과정 총론 텍스트의 비판적 담론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36 (36): 71-96,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3-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Instruction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 Instruc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7 1.43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