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Transformative Learning  :  Sojourners' Experiences in Intercultural Adjustment = 다문화적응과정을 통한 전환학습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6530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적응을 토대로 외국 유학생들의 의미구조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동아시아에서 온 대학원학생들을 대상으로 의도적인 샘플링을 25명 선정하여 질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외국대학원생들에게서 다문화적응을 통해 전환학습이 발생하였고, 의미구조의 본질은 메지로우(Mezirow)의 전환이론에 좀 더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였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미국의 개인주의와 학문구조를 포함하는 사회 문화적인 상황배경이 학생들에게 좀더 자기중심적인 삶을 살도록 촉진하였고, 그들이 좀더 자신의 삶에 집중함으로써 자신들의 정체성을 발견하였다. 학문구조를 통하여 학생들은 자기가치(self-esteem)가 증진되었고 이는 그들의 관점의 변화를 촉진시켰다.
      또한 이 연구에서 관점전환(perspective transformation)을 야기하는 주관적 요인들의 중요성을 발견하였다. 모델링과 친구관계를 포함하는 사회적 관계가 중요한 변화의 요인이었다. 긍정적인 감정들을 통하여 주로 동화학습을 통해 그들의 의미체계(meaning schemes)들을 변화시켰다. 축적된 의미체계의 변화들은 학생들에게 관점전환을 야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부정적인 감정들은 학생들에게 비판적인 자아성찰에 빠지게 하여 관점전환을 촉진시켰다. 비판적 성찰과 감정이 상호 작용하여 학생들에게 가정에 대한 비판적 성찰에 참여하게 하여 관점전환이 발생하도록 하였다. 동화 및 전환학습은 학생들에게 새로운 자아상(self-image)을 형성하도록 하였는데 이는 열린 관점, 자신감의 증진, 가치 변화, 그리고 새로운 방식 하에서의 생각과 삶이다.
      이 연구는 다문화적응을 통하여 전환학습이론의 본질에 좀더 통합적인 시각을 제공하는데 기여했다. 주관적 요인들과 사회 문화적 상황의 역할의 중요성을 인정함에 따라 전환학습이론은 점차 확대되고 확증되고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적응을 토대로 외국 유학생들의 의미구조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동아시아에서 온 대학원학생들을 대상으로 의도적인 샘플링을 25명 선정하여 질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적응을 토대로 외국 유학생들의 의미구조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동아시아에서 온 대학원학생들을 대상으로 의도적인 샘플링을 25명 선정하여 질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외국대학원생들에게서 다문화적응을 통해 전환학습이 발생하였고, 의미구조의 본질은 메지로우(Mezirow)의 전환이론에 좀 더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였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미국의 개인주의와 학문구조를 포함하는 사회 문화적인 상황배경이 학생들에게 좀더 자기중심적인 삶을 살도록 촉진하였고, 그들이 좀더 자신의 삶에 집중함으로써 자신들의 정체성을 발견하였다. 학문구조를 통하여 학생들은 자기가치(self-esteem)가 증진되었고 이는 그들의 관점의 변화를 촉진시켰다.
      또한 이 연구에서 관점전환(perspective transformation)을 야기하는 주관적 요인들의 중요성을 발견하였다. 모델링과 친구관계를 포함하는 사회적 관계가 중요한 변화의 요인이었다. 긍정적인 감정들을 통하여 주로 동화학습을 통해 그들의 의미체계(meaning schemes)들을 변화시켰다. 축적된 의미체계의 변화들은 학생들에게 관점전환을 야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부정적인 감정들은 학생들에게 비판적인 자아성찰에 빠지게 하여 관점전환을 촉진시켰다. 비판적 성찰과 감정이 상호 작용하여 학생들에게 가정에 대한 비판적 성찰에 참여하게 하여 관점전환이 발생하도록 하였다. 동화 및 전환학습은 학생들에게 새로운 자아상(self-image)을 형성하도록 하였는데 이는 열린 관점, 자신감의 증진, 가치 변화, 그리고 새로운 방식 하에서의 생각과 삶이다.
      이 연구는 다문화적응을 통하여 전환학습이론의 본질에 좀더 통합적인 시각을 제공하는데 기여했다. 주관적 요인들과 사회 문화적 상황의 역할의 중요성을 인정함에 따라 전환학습이론은 점차 확대되고 확증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examined the nature of changes in meaning structures among sojourners through the framework of intercultural adjustment.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was employed. Twenty-five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from East Asia were selected through a purposeful sampling procedure.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constant comparative approach was employed for data analysis.
      The major findings indicated that the sojourners experienced transformative learning through intercultural adjustment. The nature of changes in meaning structures provided more diverse perspective in the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This study also found the significant role of subjective factors that brought perspective transformation. The role of social relationship including modeling and friendship was a significant factor.
      Both assimilative and transformative learning resulted in the building of a new self-image among the sojourners characterized by openness, self-confidence, changed values, and new ways of thinking and life.
      Through the framework of intercultural adjustment, this study revealed more integrated perspectives on the nature of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The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was enlarged and validated by acknowledging the significant role of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subjective factors.
      번역하기

      This research examined the nature of changes in meaning structures among sojourners through the framework of intercultural adjustment.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was employed. Twenty-five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from East Asia were selected...

      This research examined the nature of changes in meaning structures among sojourners through the framework of intercultural adjustment.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was employed. Twenty-five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from East Asia were selected through a purposeful sampling procedure.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constant comparative approach was employed for data analysis.
      The major findings indicated that the sojourners experienced transformative learning through intercultural adjustment. The nature of changes in meaning structures provided more diverse perspective in the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This study also found the significant role of subjective factors that brought perspective transformation. The role of social relationship including modeling and friendship was a significant factor.
      Both assimilative and transformative learning resulted in the building of a new self-image among the sojourners characterized by openness, self-confidence, changed values, and new ways of thinking and life.
      Through the framework of intercultural adjustment, this study revealed more integrated perspectives on the nature of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The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was enlarged and validated by acknowledging the significant role of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subjective facto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Literature Review
      • Objectives
      • Methodology
      • Sampling and Data Collection
      • Research Procedure
      • Literature Review
      • Objectives
      • Methodology
      • Sampling and Data Collection
      • Research Procedure
      • Findings
      • Perspective Changes in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rea
      • Personal and Socio-cultural Factors
      • Transformative Learning through Catalytic Experience
      • The Role of Emotions
      • Discussion
      • Subjective Aspect of Transformative Learning
      • Significance of Social Relationship
      • The Significant Role of Context
      • Conclus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