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심리적 안정감과 신체적자기개념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Safety and Physical Self-Concept on Ego-Resilience in Nursing College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422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safety and physical self-concept on ego-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This data collected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21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166 nursing students at M University in Jeolla Southern Province. For data proces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the self-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with psychological stability and physical self-concept(r=.480, p<.001, r=.426, p<.001). The factors affecting the ego-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were psychological safety(β=0.352, p<.001) and physical self-concept (β=0.236, p<.001),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26%.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psychological safety and physical self-concept in order to increase the ego-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guide programs that enhances psychological stability for nursing students, and to provide education and facilities so that they can have a healthy body and mind, not only academic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safety and physical self-concept on ego-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This data collected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21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166 nursing studen...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safety and physical self-concept on ego-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This data collected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21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166 nursing students at M University in Jeolla Southern Province. For data proces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the self-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with psychological stability and physical self-concept(r=.480, p<.001, r=.426, p<.001). The factors affecting the ego-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were psychological safety(β=0.352, p<.001) and physical self-concept (β=0.236, p<.001),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26%.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psychological safety and physical self-concept in order to increase the ego-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guide programs that enhances psychological stability for nursing students, and to provide education and facilities so that they can have a healthy body and mind, not only academic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심리적 안정감과 신체적자기개념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2021년 9월부터 11월까지 전라남도 M대학의 간호대학생 16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은 심리적 안정감과 신체적자기개념에 유의한 양의 상관(r=.480, p<.001, r=.426, p<.001)이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리적 안정감(β=0.352, p<.001), 신체적자기개념(β=0.236, p<.001)이었고, 설명력은 26%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을 높여주기 위하여 심리적 안정감과 신체적자기개념을 높여 줄 필요가 있다. 그 방안으로는 간호대학생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높이는 가이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며, 학업만이 아닌 건강한 신체와 정신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과 시설의 제공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심리적 안정감과 신체적자기개념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2021년 9월부터 11월까지 전라남도 M대학의 간호대학생 166명을 대...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심리적 안정감과 신체적자기개념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2021년 9월부터 11월까지 전라남도 M대학의 간호대학생 16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은 심리적 안정감과 신체적자기개념에 유의한 양의 상관(r=.480, p<.001, r=.426, p<.001)이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리적 안정감(β=0.352, p<.001), 신체적자기개념(β=0.236, p<.001)이었고, 설명력은 26%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을 높여주기 위하여 심리적 안정감과 신체적자기개념을 높여 줄 필요가 있다. 그 방안으로는 간호대학생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높이는 가이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며, 학업만이 아닌 건강한 신체와 정신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과 시설의 제공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금순 ; 윤영주,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 전공만족도가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융합학회 11 (11): 244-253, 2021

      2 이건우 ; 원미애,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참여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자아탄력성과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18 (18): 147-161, 2013

      3 정민, "체육계열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대인관계 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발육발달학회 25 (25): 459-466, 2017

      4 전주나 ; 이승희, "종합병원 신입간호사가 인식하는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 간호근무환경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27 (27): 292-300, 2021

      5 김수현 ; 박희옥, "종합병원 간호사의 자아탄력성, 간호전문직관 및 공감능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 26 (26): 101-110, 2020

      6 유성경 ; 심혜원, "적응 유연한 청소년들의 심리적 보호요소 탐색"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189-206, 2002

      7 양야기, "자아탄력성과 업무환경이 정신과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신간호학회 24 (24): 226-235, 2015

      8 이은영 ; 강현숙,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자아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7 (27): 1-11, 2020

      9 김영욱 ; 오수학, "운동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행복감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체육학회 56 (56): 179-191, 2017

      10 최수형 ; 이정미, "심리적 안정감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잡 크래프팅(Job Crafting)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영경제연구소 11 (11): 79-94, 2020

      1 김금순 ; 윤영주,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 전공만족도가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융합학회 11 (11): 244-253, 2021

      2 이건우 ; 원미애,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참여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자아탄력성과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18 (18): 147-161, 2013

      3 정민, "체육계열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대인관계 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발육발달학회 25 (25): 459-466, 2017

      4 전주나 ; 이승희, "종합병원 신입간호사가 인식하는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 간호근무환경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27 (27): 292-300, 2021

      5 김수현 ; 박희옥, "종합병원 간호사의 자아탄력성, 간호전문직관 및 공감능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 26 (26): 101-110, 2020

      6 유성경 ; 심혜원, "적응 유연한 청소년들의 심리적 보호요소 탐색"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189-206, 2002

      7 양야기, "자아탄력성과 업무환경이 정신과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신간호학회 24 (24): 226-235, 2015

      8 이은영 ; 강현숙,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자아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7 (27): 1-11, 2020

      9 김영욱 ; 오수학, "운동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행복감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체육학회 56 (56): 179-191, 2017

      10 최수형 ; 이정미, "심리적 안정감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잡 크래프팅(Job Crafting)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영경제연구소 11 (11): 79-94, 2020

      11 방호진, "심리적 안전분위기의 팀 성과 및 팀 몰입에 대한 효과: 팀 성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 27 (27): 1269-1284, 2014

      12 윤희철 ; 이지항 ; 강현우, "신체활동 정도가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4 (54): 163-172, 2015

      13 김세환 ; 김진성 ; 추종호, "생활체육 스노보드 동호회 참가자들의 신체적 자기개념, 인지된 자유감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55) : 433-443, 2014

      14 권영임 ; 차수정, "무용전공대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및 무용능력성취와의 관계" 한국무용연구학회 34 (34): 1-32, 2016

      15 강진영 ; 김매이,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긍정적 착각,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3 (53): 353-364, 2014

      16 이건철, "대학생 여가스포츠의 참여동기, 신체적자기개념, 대학생활만족과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20 (20): 357-366, 2019

      17 정점숙 ; 정미조 ; 유일영,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감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 20 (20): 27-36, 2014

      18 이경혜,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전공만족도와 임상수행능력 간의 융합 관련성" 한국융합학회 10 (10): 297-306, 2019

      19 오윤정 ; 이은선 ; 박명숙 ; 이은미,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셀프리더십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자료분석학회 23 (23): 787-797, 2021

      20 김경숙, "간호대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495-505, 2017

      21 A. C. Edmondson, "Psychological Safety and Learning Behavior in Work Teams" 44 (44): 350-383, 1999

      22 H. W. Marsh, "Physical Self-Description Questionnaire: Psychometric properties and a multitrait-multimethod analysis of relations to existing instruments" 16 : 270-305, 1994

      23 "Korean Nursing Association"

      24 Block, J., "IQ and ego-resiliency :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70 : 349-361, 1996

      25 C. D. Ryff,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57 : 1069-1081, 1989

      26 B. J. Ki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hysical Self - Description Questionnaire ( PSDQ )" 12 (12): 69-90, 2001

      27 M. S. Kim, "Analyses on the Construct of Psychological Well-Being(PWB)of Korean Male and Female Adults" 15 (15): 19-39, 2001

      28 H. W. Marsh, "Age and gender effects in physical self-concepts for adolescent elite athletes and nonathletic: A multicohort-multioccation design" 20 : 237-259, 1998

      29 "A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hospital nursing staffplacement" Hospital Nursing Society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2-06-01 평가 등재학술지 취소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디지털정책연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3-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디지털정책학회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5 1.34 1.61 0.6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