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충무공 이순신의‘유비무환 나라사랑’정신 = Admiral Yi s spirit of Prevention is better than cur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충무공 이순신의‘유비무환 나라사랑’정신은 기존의 성웅사관에서 주로 강조해 왔던 것이다. 그런데 그의 이런 정신은 실제 임진왜란 시기 국난 극복을 위한 여러 가지 전력 건설의 기반...

      충무공 이순신의‘유비무환 나라사랑’정신은 기존의 성웅사관에서 주로 강조해 왔던 것이다. 그런데 그의 이런 정신은 실제 임진왜란 시기 국난 극복을 위한 여러 가지 전력 건설의 기반이 되었다. 본고에 서는 임란의 세 시기로 나누어 이순신의 수군력 건설 과정과 각각의 시기에 나타난‘유비무환 나라사랑’정신을 보여주는 기록을 함께 살펴보았다. 임진왜란 발발 이전, 이순신은 전쟁을 대비하기 위해 수군력을 건설하였다. 무엇보다 전선(戰船)을 건조하고 거북선[龜船]을 창제하는 등 무기체계를 갖추었고, 수군 병력을 규정대로 모집하여 훈련시켰다. 이 외에도 전쟁에 대비하는 여러 방안을 세웠기 때문에 전쟁 초기 해 전에서의 전승(全勝)을 거둘 수 있었다. 두 번째 시기인 강화교섭기에는 조선 수군 역시 군량부족과 전염병의 치성 때문에 곤란을 겪었다. 가장 심각한 문제는 병력부족이었는데, 최대 22000여 명이던 것이 1595년 봄에 4190명 수준으로 약 80% 감소하였다. 이런 상황에서도 통제사 이순신은 조선 수군의 전력 건설 을 위해 250척의 전선건조, 어염(漁鹽)과 둔전(屯田) 등을 활용한 군량확보, 모든 수단을 동원한 병력충원, 그리고 무기제작과 훈련 등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정유년(1597) 8월 3일, 통제사로 재임명된 이순신은 10여 척의 전력으로 칠천량해전 2개월 후에 치러진 명량해전에서 극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칠천량해전 이후 그는 조선 수군을 재건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우선 고하도 통제영에서 월동을 하면서 전선건조와 군량확보 등 수군력 건설을 위해 시급한 문제들을 서둘러 추진하였다. 이어 무술년 (1598)년 2월 17일, 고금도 통제영으로 이동한 후에는 호남 연해안의 전력을 기울여 수군력 건설에 매진하였고, 그 결과 마지막 노량해전에 서 승리할 수 있는 전력을 갖출 수 있었다. 이순신은 각각의 시기마다 남긴 일기나 한시(漢詩) 등을 통해 위기에 처한 나라를 걱정하는 절절한 마음을 표현하였다. 이런 기록들에 남겨져 있는 그의‘유비무환 나라사랑’정신은 조선 수군 전력 건설의 기반이 되었던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dmiral Yi s mind of loving his country has been emphasized from Hero-view of history (聖雄史觀). In fact the this spirit of him from Hero-view of history has helpe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during Imjinwaeran. Here, we divided Imjinwaeran in ...

      Admiral Yi s mind of loving his country has been emphasized from Hero-view of history (聖雄史觀). In fact the this spirit of him from Hero-view of history has helpe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during Imjinwaeran. Here, we divided Imjinwaeran in to 3 periods to watch over how Admiral Yi has empowered the naval force and how record shows his spirit of Prevention is better than cure . Before Imjinwaeran, Admiral Yi has prepared for the war and empowered the naval force. He constructed the battle line, building turtle ships, weaponized systems, regularly recruited soldiers and trained them. Admiral Yi also had other more plans which lead us to win sea fights. In the second period during negotiation, Chosun Navy had a rough time due to lack of food and infectious diseases. The most serious problem was the number of soldiers. The most soldiers Chosun Navy had was 22,000 soldiers however, spring 1595 it decreased by 80% to 4190 soldiers. Under this circumstances Admiral Yi built 250 warships, used fish and salt(漁鹽) and farm cultivated in the area by troops(屯田) to secure food, used any possible way to increase number of soldiers and build more weapons. On August 3rd, 1597(丁酉年) When Admiral Yi has reassigned as the commander of the three seas has claimed a dramatic victory with only 10 warships 2 month after the sea battle of Chilcheonryang(漆川梁海戰) . After sea battle of Chilcheonryang He tried to rebuild Chosun Navy. He immediately reconstructed the battle line secured food during passing the winter in Gohado-headquater(高下島 統制營). In Febuary 17th, 1598(戊戌年) after he moved to Gogeumdo-headquater (古今島 統制營), he putted a lot of effort in to building a strong navy around Honam(湖南) coast. As a result he was able to posses the strength that lead to victory in Noryang naval battle. In each period, Admiral Yi wrote about how he cared about his country during the darkest times. These records of his spirit of Prevention is better than cure have been the foundation for the Chosun Nav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임진왜란 발발 이전 수군력 건설과 우국충정
      • Ⅲ. 강화교섭 시기의‘유비무환 나라사랑’정신
      • Ⅳ. 정유재란 시기의 통제영 운영과 수군전력 건설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임진왜란 발발 이전 수군력 건설과 우국충정
      • Ⅲ. 강화교섭 시기의‘유비무환 나라사랑’정신
      • Ⅳ. 정유재란 시기의 통제영 운영과 수군전력 건설
      • Ⅴ. 맺음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