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박테리아를 김치로부터 분리하였고 16S rRNA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Bacillus amyloliquefaciens로 동정되었다. 박테리오신 생산을 위한 최적배양조건은 LB(Luria-Bertani), pH 8, 37℃,...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박테리아를 김치로부터 분리하였고 16S rRNA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Bacillus amyloliquefaciens로 동정되었다. 박테리오신 생산을 위한 최적배양조건은 LB(Luria-Bertani), pH 8, 37℃,...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박테리아를 김치로부터 분리하였고 16S rRNA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Bacillus amyloliquefaciens로 동정되었다. 박테리오신 생산을 위한 최적배양조건은 LB(Luria-Bertani), pH 8, 37℃, 36 hr이었다. 박테리오신은 일부 그람 양성 병원성세균 특히, Bacillus cereus KCCM 11204와 Staphylococcus aureus sbsp. aureus KCCM 40050의 생장을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박테리오신의 물리화학적 특성조사를 위해 열안정성, pH안정성, 가수분해효소 내성, 유기용매 내성, detergent 내성등을 조사하였다. 박테리오신은 60℃에서 120분 까지 안정하였고, 100℃에서 60분까지 항균활성이 유지되었다. 그리고 pH 6에서 10까지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단백질가수분해효소에 의해 활성이 없어지는 것으로 보아 박테리오신은 단백질성 물질로 생각된다. 항균활성에서 박테리오신은 모든 유기용매와 detergent에 안정성을 보였다. 박테리오신의 저장성을 확인한 결과 4℃와 -20℃에서 3개월 이상 박테리오신 활성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Mode of action결과, bactericidal로 확인되었고, 밥과 햄을 이용한 식품보존성 실험에서 박테리오신이 병원성 그람양성세균에 대해 저해활성을 보였다. 부분정제된 박테리오신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시험균의 감수성(sensitivity)을 확인한 결과, Micrococcus luteus IAM1056이 가장 sensitivity함을 확인하였다.
박테리오신 정제는 황산암모늄 농축 후, 이온교환크로마토그래피, Sep-Pak C18와 역상 HPLC(reverse-phase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해 수행되었다. 박테리오신의 분자량은 Tricine SDS-PAGE로 추정하였고, MALDI-TOF mass spectrometry에 의해 3401.435 Da으로 확인되었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B. amyloliquefaciens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은 생물보존제 또는 항균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생각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