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찰공무원과 같은 특수직종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구강보건프로그램 개발과 향후 구강보건사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일부 농어촌 지역 경찰서·지구대·파...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과 같은 특수직종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구강보건프로그램 개발과 향후 구강보건사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일부 농어촌 지역 경찰서·지구대·파출소에 근무하는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2017년 7월부터 일주일간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작성이 미완성되거나 응답이 불분명한 자료를 제외한 총 559부의 설문지를 회수, 분석하였다.
치아우식증은 연령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50대 이상이 30대, 40대 보다 높았다. 학력에서는 음식요인과 세균요인에서 고졸 이하가 대졸 이상, 전문대졸보다 높았다. 소득에서는 유전요인에서 310-400만원이 410만원, 250만원 미만보다 높았고, 세균요인에서 260-300만원이 410만원 이상 보다 높았으며, 전체에서는 260-300만원, 310-400만원이 410만원 이상 보다 높았다. 치주건강은 연령의 경우 구강원인과 치료에서 30대, 40대가 50대 이상보다 높았고, 전체는 20대, 30대가 50대 이상보다 높았다. 결혼여부는 구강변화, 전체에서 미혼이 기혼보다 높았고, 학력은 구강변화 및 구강원인과 치료에서 전문대졸이 대졸 이상, 고졸 이하보다 높았다. 소득에서는 구강변화에서 250만원 미만이 410만원 이상, 260-300만원 보다 높았고, 구강원인과 치료에서는 250만원 미만, 260-300만원이 410만원 이상 보다 높았다. 예방진료에서 연령은 불소영향에서 30대, 40대가 50대 이상보다 높았고, 전체는 30대가 50대 이상보다 높았다. 학력은 불소영향에서 고졸 이하가 대졸 이상, 전문대졸보다 높았고, 불소종류와 실란트 영향은 고졸 이하가 대졸 이상, 전문대졸보다 높았으며, 전체는 고졸 이하가 대졸 이상, 전문대졸보다 높았다. 소득은 불소영향에서 250만원 미만이 410만원 이상 보다 높았고, 260-300만원이 410만원 이상, 310-400만원, 250만원 미만 보다 높았으며, 종교는 불소영향, 불소종류와 실란트 영향, 전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경찰공무원의 대표적인 구강질환인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집단의 특성에 맞는 선호도가 높은 구강보건교육 및 지원환경을 구축하여 구강질환을 예방한다면, 구강건강을 증진시켜 업무의 효율성도 더불어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