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of prepositions in cognitive linguistics,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preposition πρός in John 1, 1-2, which is often translated as “together” or “beside”, should be translated as “towards”, which is...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of prepositions in cognitive linguistics,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preposition πρός in John 1, 1-2, which is often translated as “together” or “beside”, should be translated as “towards”, which 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of prepositions in cognitive linguistics,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preposition πρός in John 1, 1-2, which is often translated as “together” or “beside”, should be translated as “towards”, which is the original meaning. In order to provide a logical basis for this proposal, this paper first reveals that the movement of a trajector towards the landmark is the prototypal meaning of πρός, and that the alternative meaning and metaphorical extension of πρός take the archetypal meaning as a cognitive reference. Through this, we move away from the existing view that different prepositions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hen they are used indifferently and explain that from a cognitive linguistic point of view, each word has its archetypal meaning as a cognitive reference point, so even if they seem to mean the same thing, they are actually bound to reveal their own subtle differences. Based on this, it is argued that the πρός in Jn 1:1-2 should not be translated as “together” or “beside” as in the previous translation, but as “towards”, revealing its own meaning. This explanation would reveal the relational dynamics between the Word and God much more clearly.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인지언어학의 전치사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함께”, 혹은 “곁에” 라고 번역하곤 하는 요한 1,1-2의 전치사 πρός를 본래의 원형적 의미인 “향하여”로 번역해야 한다고 제언하�...
본고는 인지언어학의 전치사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함께”, 혹은 “곁에” 라고 번역하곤 하는 요한 1,1-2의 전치사 πρός를 본래의 원형적 의미인 “향하여”로 번역해야 한다고 제언하는 논문이다. 제언의 논리적 근거를 마련하기위하여 본고는 먼저 탄도체가 지표를 향해 이동하는 이동 관계가 πρός의 원형적 의미임을 밝히고, πρός의 다른 변이적 의미와 은유적 확장이 원형적 의미를 인지적 참조점으로 삼는다는 점을 밝힌다. 이를 통해 구조주의적 관점에서 볼 때 서로 다른 전치사가 혼용되는 시점에 서로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여기던 기존 견해에서 벗어나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각 단어는 그 원형적 의미를 인지적 참조점으로 하기 때문에 서로 동일한 의미인것처럼 보이더라도 실제로는 나름의 미묘한 차이점을 드러낼 수밖에 없음을설명한다. 이를 토대로 요한 1,1-2의 πρός를 기존 번역처럼 ‘함께’, 혹은 ‘곁에’라고 번역해서는 안 되고 그 고유한 의미를 드러내는 “향하여”라고 번역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렇게 설명하는 것이 말씀과 하느님의 관계적 역동성을 훨씬 더 분명하게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정준, "프랑스어 전치사 de의 의미 구조와 문법화" 비교문화연구소 50 : 453-482, 2018
2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 "철학적 탐구(비트겐슈타인 선집 4)" 책세상 2006
3 염철호, "종교언어로서의 복음서 표현 양상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4 염철호 ; 권연진, "종교 언어의 은유적 개념화 양상"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6) : 5-33, 2015
5 염철호, "전치사 εἰς에서 드러나는 예수 세례의 신학적 의미(마르 1,9-11)" 37 : 56-80, 2018
6 권연진,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본 공간 전치사 over의 다의성" 새한영어영문학회 50 (50): 183-202, 2008
7 염철호 ; 권연진, "요한복음서의 은유 표현 양상 연구" 한국언어과학회 22 (22): 133-152, 2015
8 염철호, "요한 복음서의 인지언어학적 시간 연구"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8) : 161-188, 2016
9 염철호 ; 권연진, "영어 전치사 on과 이탈리아어 전치사 su의 인지언어학적 고찰" 언어과학회 (61) : 117-142, 2012
10 권연진, "영어 공간전치사의 인지언어학적 고찰" 한국언어과학회 19 (19): 1-20, 2012
1 박정준, "프랑스어 전치사 de의 의미 구조와 문법화" 비교문화연구소 50 : 453-482, 2018
2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 "철학적 탐구(비트겐슈타인 선집 4)" 책세상 2006
3 염철호, "종교언어로서의 복음서 표현 양상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4 염철호 ; 권연진, "종교 언어의 은유적 개념화 양상"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6) : 5-33, 2015
5 염철호, "전치사 εἰς에서 드러나는 예수 세례의 신학적 의미(마르 1,9-11)" 37 : 56-80, 2018
6 권연진,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본 공간 전치사 over의 다의성" 새한영어영문학회 50 (50): 183-202, 2008
7 염철호 ; 권연진, "요한복음서의 은유 표현 양상 연구" 한국언어과학회 22 (22): 133-152, 2015
8 염철호, "요한 복음서의 인지언어학적 시간 연구"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8) : 161-188, 2016
9 염철호 ; 권연진, "영어 전치사 on과 이탈리아어 전치사 su의 인지언어학적 고찰" 언어과학회 (61) : 117-142, 2012
10 권연진, "영어 공간전치사의 인지언어학적 고찰" 한국언어과학회 19 (19): 1-20, 2012
11 염철호 ; 권연진, "시간 인지 모형에 대한 비판적 고찰" 언어과학회 (64) : 249-268, 2013
12 Lakoff, George, "Women, Fire and Dangerous Things: What Categories Reveal about the Mind" Chicago University Press 1987
13 Evans, Vyvyan, "The Structure of Time: Language, Meaning and Temporal Cognition" John Benjamins 2004
14 Tyler, A, "The Semantics of English Prepositions: Spatial Scenes, Embodied Meaning, and Cognition" Cambridge University 2003
15 Evans, Vyvyan, "The Meaning of Time : Polysemy, the Lexicon and Conceptual Structure" 41 (41): 33-75, 2005
16 Rrown, Raymond E., "The Gospel according to Jonh I-XII" The Anchor Bible 1996
17 Reicke, Bo, "The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Vol. VI" Eerdmans 720-,
18 Johnson, Mark, "The Body in the Mind: The Bodily Basis of Meaning, Imagination and Reason" Chicago University Press 1987
19 Egger, W, "Methodenlehre zum Neuen Testament" Herder 2011
20 Lakoff, G, "Metaphors we live by" Chicago University Press 2003
21 Brugman, C, "Lexical Ambiguity Resolution: Perspectives from Psycholinguistics, Neuropsch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Georgetown University Press 1988
22 Evans, Vyvyan, "How We Conceptualize Time" 33 (33): 13-44, 2004
23 Langacker, Ronald, "Foundations of Cognitive Grammar Vol. 1"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7
24 Evans, V, "Cognitive Linguistics: An Introduc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6
25 Smith, Joseph, "Biblical Greek, illustrated by Examples by Maximilian Zerwick S. J" Editrice Pontificio Istituto Biblico 27-28, 1963
26 Ungerer, F, "An Introduction to Cognitive Linguistics" Pearson Education Limited 2006
27 Danker, Frederick W,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BDAG)"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74-,
28 Blass, A, "A Greek Grammar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1
‘예수님 주위 사람들’과 ‘저 바깥 사람들’ - 마르 4,10-12에 대한 고찰
본당 사목구 보좌의 권리와 의무에 대한 교회법적 원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