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본당 사목구 보좌의 권리와 의무에 대한 교회법적 원천 연구 = A Study on the Canonical Source of the Obligations and Rights of a Parochial Vic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080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Church, the parochial vicar (parish assistant) exists as an office, assisting or replacing the pastor for pastoral reasons. Previous studies were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ochial vicar with those of pastors. On the other hand, I studied the four sources of the Obligations and Rights of the parochial vicar on the CIC 1983. The CIC 1917 stipulated five types of the parochial vicar and presented the circumstanc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vicar, but the content of the vicarius cooperator, which can be called the parochial vicar in the CIC 1983, was insufficient to clearly define the offices of the parochial vicar. Thus, from the preliminary preparation stage at the Second Vatican Council, many “Fathers of the church” demanded that the parochial vicar be guaranteed a clearer legal status. Therefore, they demanded to clearly define their offices, expand their faculties in the pastoral field, and provide sufficient economic compensation to them. These demands were consistently presented through the council preparation stage and council sessions. After the Second Vatican Council, work on revising the Code of Canon Law began in earnest. Amo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parochial vicar presented in a total of 8 canons, this study dealt with how the contents of the Obligations and Rights of the parochial vicar developed. More specifically, I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De sacra hierarchia” committee and the contents of the Schema 1977, 1980, and 1982. The CIC 1983 defines parochial vicar as “co-workers with the pastor who are associated with the pastor for pastoral motives.” Since clarifying the meaning of this definition is related to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contents were dealt with, and then the contents of Can. 548 §1 was studied. This canon defines the ‘canons of Canon Law’, ‘diocesan statutes’, ‘letter of the diocesan bishop’, and ‘mandate of the pastor’ as sources of the Obligations and Rights of the parochial vicar. The priority and contents of each source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In particular, it was discussed that the ‘mandate of the pastor’ has a practical character compared to the previous three sources.
      번역하기

      In the Church, the parochial vicar (parish assistant) exists as an office, assisting or replacing the pastor for pastoral reasons. Previous studies were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ochial vicar with those of pastors. On the other hand, I ...

      In the Church, the parochial vicar (parish assistant) exists as an office, assisting or replacing the pastor for pastoral reasons. Previous studies were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ochial vicar with those of pastors. On the other hand, I studied the four sources of the Obligations and Rights of the parochial vicar on the CIC 1983. The CIC 1917 stipulated five types of the parochial vicar and presented the circumstanc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vicar, but the content of the vicarius cooperator, which can be called the parochial vicar in the CIC 1983, was insufficient to clearly define the offices of the parochial vicar. Thus, from the preliminary preparation stage at the Second Vatican Council, many “Fathers of the church” demanded that the parochial vicar be guaranteed a clearer legal status. Therefore, they demanded to clearly define their offices, expand their faculties in the pastoral field, and provide sufficient economic compensation to them. These demands were consistently presented through the council preparation stage and council sessions. After the Second Vatican Council, work on revising the Code of Canon Law began in earnest. Amo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parochial vicar presented in a total of 8 canons, this study dealt with how the contents of the Obligations and Rights of the parochial vicar developed. More specifically, I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De sacra hierarchia” committee and the contents of the Schema 1977, 1980, and 1982. The CIC 1983 defines parochial vicar as “co-workers with the pastor who are associated with the pastor for pastoral motives.” Since clarifying the meaning of this definition is related to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contents were dealt with, and then the contents of Can. 548 §1 was studied. This canon defines the ‘canons of Canon Law’, ‘diocesan statutes’, ‘letter of the diocesan bishop’, and ‘mandate of the pastor’ as sources of the Obligations and Rights of the parochial vicar. The priority and contents of each source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In particular, it was discussed that the ‘mandate of the pastor’ has a practical character compared to the previous three sour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교회 안에서, 본당 사목구 보좌는 주로 사목적인 이유로 본당 사목구 주임을 돕거나 그를 대신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보좌신부에 대한 이전의 연구는 현행법전에 규정된 보좌신부의 직무를 본당사목구 주임과 비교하며 제시하는 것이었으나 본고는 보좌신부의 원리와 의무를 규정하는 제548조 1항에 초점을 맞추어 보좌신부에 대하여 다루었다. 그리하여 현행법전이 규정하고 있는 본당 사목구 보좌의 권리와 의무를 규정하는 4가지의 원천이 제정된 그 내용을 연구하였다. 1917년 법전에서는 보좌신부의 유형을 5가지로제시하며 각 유형의 보좌가 필요한 상황 및 특징을 제시하였으나 현행법전의 보좌신부라 할 수 있는 vicarius cooperator의 내용은 보좌신부의 직무를명확히 규정하기에 미흡하였다. 그리하여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는 사전준비 단계부터 많은 교부들이 보좌신부에게 보다 명확한 법률적 지위를 보장하기를 요구하였다. 그리하여 그들의 직무를 명확히 규정하고, 사목현장에서의 권한을 확대하며, 그들에게 충분한 경제적 보상을 제공할 것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요구는 공의회 준비단계, 공의회 회기를 통하여 일관되게 제시되었고, 스케마를 통하여 보다 구체화 되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교회법전 개정작업이 본격화되었다. 총 8개의 조항으로 제시된 보좌신부와관련된 내용 가운데 본고는 보좌신부의 권리와 의무를 규정하는 내용이 어떻게 발전하였는지를 다루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좌신부에 대하여 다루었던 De sacra hierarchia 위원회의 회의 내용 및 1977년 스케마, 1980년 스케마, 1982년 스케마에서 보좌신부의 권리와 의무를 규정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현행법전은 보좌신부를 ‘사목적인 동기로 본당 사목구 주임에 배속된 본당사목구 주임의 협력자’라 규정한다. 이러한 정의의 의미가 무엇인지 밝히는 것은 본고의 주제와 연관되기에 그 내용을 다루고 이어서 현행법전 제548조 1항의 내용을 연구하였다. 이 조항은 보좌신부의 권리와 의무를 규정하는 원천으로 ‘교회법의 조문들’, ‘교구의 정관’, ‘교구장 주교의 서한’, ‘본당사목구 주임의 위임’을 제시한다. 각 원천들의 우선순위 및 내용에 대하여본고에서 다루었다. 특별히 본당 사목구 주임의 위임은 앞의 세 가지 원천과는 달리 실천적인 성격을 지닌 것임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교회 안에서, 본당 사목구 보좌는 주로 사목적인 이유로 본당 사목구 주임을 돕거나 그를 대신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보좌신부에 대한 이전의 연구는 현행법전에 규정된 보좌신부의 직무...

      교회 안에서, 본당 사목구 보좌는 주로 사목적인 이유로 본당 사목구 주임을 돕거나 그를 대신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보좌신부에 대한 이전의 연구는 현행법전에 규정된 보좌신부의 직무를 본당사목구 주임과 비교하며 제시하는 것이었으나 본고는 보좌신부의 원리와 의무를 규정하는 제548조 1항에 초점을 맞추어 보좌신부에 대하여 다루었다. 그리하여 현행법전이 규정하고 있는 본당 사목구 보좌의 권리와 의무를 규정하는 4가지의 원천이 제정된 그 내용을 연구하였다. 1917년 법전에서는 보좌신부의 유형을 5가지로제시하며 각 유형의 보좌가 필요한 상황 및 특징을 제시하였으나 현행법전의 보좌신부라 할 수 있는 vicarius cooperator의 내용은 보좌신부의 직무를명확히 규정하기에 미흡하였다. 그리하여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는 사전준비 단계부터 많은 교부들이 보좌신부에게 보다 명확한 법률적 지위를 보장하기를 요구하였다. 그리하여 그들의 직무를 명확히 규정하고, 사목현장에서의 권한을 확대하며, 그들에게 충분한 경제적 보상을 제공할 것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요구는 공의회 준비단계, 공의회 회기를 통하여 일관되게 제시되었고, 스케마를 통하여 보다 구체화 되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교회법전 개정작업이 본격화되었다. 총 8개의 조항으로 제시된 보좌신부와관련된 내용 가운데 본고는 보좌신부의 권리와 의무를 규정하는 내용이 어떻게 발전하였는지를 다루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좌신부에 대하여 다루었던 De sacra hierarchia 위원회의 회의 내용 및 1977년 스케마, 1980년 스케마, 1982년 스케마에서 보좌신부의 권리와 의무를 규정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현행법전은 보좌신부를 ‘사목적인 동기로 본당 사목구 주임에 배속된 본당사목구 주임의 협력자’라 규정한다. 이러한 정의의 의미가 무엇인지 밝히는 것은 본고의 주제와 연관되기에 그 내용을 다루고 이어서 현행법전 제548조 1항의 내용을 연구하였다. 이 조항은 보좌신부의 권리와 의무를 규정하는 원천으로 ‘교회법의 조문들’, ‘교구의 정관’, ‘교구장 주교의 서한’, ‘본당사목구 주임의 위임’을 제시한다. 각 원천들의 우선순위 및 내용에 대하여본고에서 다루었다. 특별히 본당 사목구 주임의 위임은 앞의 세 가지 원천과는 달리 실천적인 성격을 지닌 것임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상, "성직자 생활: 서울대교구 시노드 성직자 의안 작성을 위한 제언" 11 : 122-, 2003

      2 아돌포 롱기타노, "본당 사목구 주임서리와 본당 사목구 보좌" 158 : 74-104, 2007

      3 박희중, "본당 사목구 주임과 보좌신부" 29 : 5-36, 2011

      4 신동철, "‘본당 사목구 주임’(parochus)과 ‘보좌신부’(vicarius paroecialis)에 관한 교회법적 고찰" 한국가톨릭신학학회 (19) : 171-196, 2011

      5 Sztarrowski, E, "Wikariusze parafialni w prawie" 34 : 64-65, 1991

      6 Ziviani, G, "Una Chiesa di popolo. La parrocchia nel Vaticano II" Edizioni Dehoniane Bolonga 2011

      7 Plöchl, W.M, "Storia del Diritto canonico, I" Massimo 1963

      8 Ioannes PP. XXIII, "Sollemnis Allocutio"

      9 Concilium Vaticanum, "Schemata constitutionum et decretorum ex quibus argumenta in Concilio disceptanda seligentur. Series tertia" Typis Polyglottis Vaticanis 1962

      10 Pontificia Commissio Codici Iuris Canonici Recognoscendo, "Schema canonum libri II : de populo Dei" Typis Polyglottis Vaticanis 1977

      1 이경상, "성직자 생활: 서울대교구 시노드 성직자 의안 작성을 위한 제언" 11 : 122-, 2003

      2 아돌포 롱기타노, "본당 사목구 주임서리와 본당 사목구 보좌" 158 : 74-104, 2007

      3 박희중, "본당 사목구 주임과 보좌신부" 29 : 5-36, 2011

      4 신동철, "‘본당 사목구 주임’(parochus)과 ‘보좌신부’(vicarius paroecialis)에 관한 교회법적 고찰" 한국가톨릭신학학회 (19) : 171-196, 2011

      5 Sztarrowski, E, "Wikariusze parafialni w prawie" 34 : 64-65, 1991

      6 Ziviani, G, "Una Chiesa di popolo. La parrocchia nel Vaticano II" Edizioni Dehoniane Bolonga 2011

      7 Plöchl, W.M, "Storia del Diritto canonico, I" Massimo 1963

      8 Ioannes PP. XXIII, "Sollemnis Allocutio"

      9 Concilium Vaticanum, "Schemata constitutionum et decretorum ex quibus argumenta in Concilio disceptanda seligentur. Series tertia" Typis Polyglottis Vaticanis 1962

      10 Pontificia Commissio Codici Iuris Canonici Recognoscendo, "Schema canonum libri II : de populo Dei" Typis Polyglottis Vaticanis 1977

      11 Pontificia Commissio Codici Iuris Canonici Recognoscendo, "Schema Codicis Iuris canonici" Typis Polyglottis Vaticanis 1980

      12 Mansi, G.D, "Sacrorum Conciliorum nova et amplissima collectio, II (rist. anast.), XI" Akademische Druck- und Verlagsanstalt 1961

      13 Mansi, G.D, "Sacrorum Conciliorum nova et amplissima collectio, II (rist. anast.), VIII" Akademische Druck- und Verlagsanstalt 1961

      14 Pontificia Commissio Codici Iuris Canonici Recognoscendo, "Relatio (complectens synthesim animadversionum ab em.mis arque exc.mis patribus commissionis ad novissimum schema Codicis Iuris canonici exhibitarum, cum responsionibus a secretaria et consultoribus datis)" Typis Polyglottis Vaticanis 1981

      15 Pierantonio, P., "Redazione di Quaderni di Diritto Ecclesiale, Codice di Diritto canonico commentato" Àncora 497-498, 2017

      16 Coccopalmerio, F, "Perché un Codice nella Chiesa" Edizioni Dehoniane Bolonga 1984

      17 Manzanares, J., "Nuevo derecho parroquial" Biblioteca de autores cristianos 1988

      18 Griffin, B.F, "New Commentary on the Code of Canon Law" Paulist Press 727-, 2000

      19 Sacra Congregatio Concilii, "Mediolanen"

      20 Sacra Congregatio Concilii, "Mediolanen"

      21 Sacra Congregatio Concilii, "Mediolanen"

      22 Congregatio pro Doctrina Fidei, "Litteræ ad catholicæ Ecclesiæ Episcopos de aliquibus aspectibus Ecclesiæ prout est communio: Communionis Notio"

      23 D'Ostilio, F., "La storia del nuovo codice di diritto canonico: revisione, promulgazione, presentazione"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83

      24 Longhitano, A., "La parrocchia, Coll. Studi giuridici, n. XLII"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97

      25 Morgante, M., "La parrocchia nel Codice di Diritto canonico, commento giuridico-pastorale" 1985

      26 Longhitano, A., "La parrocchia e le sue strutture" Edizioni Dehoniane Bolonga 1987

      27 Coccopalmerio, F, "La parrocchia : tra Concilio Vaticano II e Codice di diritto canonico" 2000

      28 Alphonse Borras, A, "La parrocchia : Diritto canonico e prospettive pastorali"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97

      29 Périsset, J, "La paroisse: Commentaire des Canons 1254-1310" 1989

      30 Pontificia Commissio Codici Iuris Canonici Orientalis Recognoscendo, "La nuova revisione della seconda parte dello schema canonum de constitutione hierarchica Ecclesiarum orientalium"

      31 Marchetti, G., "La curia, come organo di partecipazione alla cura pastorale del Vescovo diocesano" Gregorian Biblical Press 2000

      32 D’Abbraccio, L., "La Chiesa particolare e la sua organizzazione" Lateran University Press 2017

      33 Congregatio pro Celrics, "Istruzione: La conversione pastorale della comunità parrocchiale al servizio della missione evangelizzatrice della Chiesa, 20 Iulius 2020 n. 78, L’Osservatore Romano, CLX(2020), 20 luglio 2020;Congregazione per il Clero, Istruzione: La conversione pastorale della comunità parrocchiale al servizio della missione evangelizzatrice della Chiesa"

      34 Ochoa, J., "Index verborum ac locutionum Codicis iuris canonici" Lateran University Press 1984

      35 Peters, E.N, "Incrementa in progressu 1983 Codicis iuris canonici" Wilson & Lafleur 1983

      36 Sirufo, F, "Il vicario parrocchiale nel Codice di Diritto canonico" Lateran University Press 2010

      37 Ghirlanda, G, "Il Diritto nella Chiesa mistero di comunione. Compendio di Diritto ecclesiale" Gregorian Biblical Press 1990

      38 Chiappetta, L., "Il Codice di Diritto canonico:commento giuridico pastorale I" Edizioni Dehoniane Bologna 201-, 2011

      39 Montini, G. P., "I vicari parrocchiali" 5 : 7-8, 1992

      40 Gherri, P., "I tempi di nomina dei parroci: can. 522 CIC" Lateran University Press 2001

      41 Trevisan, G., "Gli uffici di parroco, amministratore parrocchiale, vicario parrocchiale" 24 : 107-, 2011

      42 Calvo, J.,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Code of Canon Law II/1" Midwest Theological Forum 1373-1383, 2004

      43 Naz, R., "Dictionnaire de Droit canonique, VII" Letouzey et Ané 1493-, 1965

      44 Coronelli, R., "Diccionario general de Derecho canónico VII" Aranzadi 857-, 2012

      45 D'Angelo, S., "Dei vicari parrocchiali e degli esaminatori prosinodali" 1916

      46 Urrutia, F.J., "De normis generalibus" Gregorian Biblical Press 1983

      47 Périsset, J.C, "Curé et presbyterium paroissial" Gregorian Biblical Press 1982

      48 Concilium Oecumenicum Vaticanum II, "Constitutio dogmatica de Ecclesia:Lumen Gentium"

      49 Benedictus XIII, "Constitutio apostolica: In Supremo"

      50 Alberigo, G, "Conciliorum Oecumenicorum Decreta" Edizioni Dehoniane Bolonga 1991

      51 Pontificia Commissio Codice Iuris Canonici Recognoscendo, "Communicationes XXV"

      52 Pontificia Commissio Codice Iuris Canonici Recognoscendo, "Communicationes XXIV"

      53 Pontificia Commissio Codice Iuris Canonici Recognoscendo, "Communicationes XIII"

      54 Pontificia Commissio Codice Iuris Canonici Recognoscendo, "Communicationes V"

      55 Pontificia Commissio Codice Iuris Canonici Recognoscendo, "Communicationes IX"

      56 Pontificia Commissio Codice Iuris Canonici Recognoscendo, "Communicationes I"

      57 Innocentius XIII, "Codicis Iuris Canonici fontes, I" Typis Polyglottis Vaticanis 1926

      58 Calvo, J., "Codice di Diritto canonico e leggi complementari commentato" Coletti a San Pietro 426-, 2022

      59 Pierantonio, P, "Codice di Diritto canonico commentato" Àncora 493-, 2022

      60 Calvo, J, "Codice di Diritto canonico I" Edizioni Logos 424-426, 1986

      61 Pontificia Commissio Codici Iuris Canonici Recognoscendo, "Codex iuris canonici. Schema novissimum (post consultationem S.R.E. Cardinalium, Episcoporum Conferentiarum, Dicasteriorum Curiae Romanae, Universitatum Facultatumque ecclesiasticorum necnon Superiorum Institutorum vitae consecratae recognitum, iuxta placita Patrum Commissionis deinde emendatum, atque summo Pontifici praesentat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82

      62 Ioannes Paulus PP. II, "Codex Iuris Canonici, auctoritate Ioannis Pauli PP. II promulgatus"

      63 Benedictus PP. XV, "Codex Iuris Canonici, Pii X Pontificis Maximi iussu digestus Benedicti Papæ XV auctoritate promulgatus"

      64 Ioannes Paulus PP. II, "Codex Canonum Ecclesiarum Orientalium, auctoritate Ioannis Pauli Papæ II promulgatus"

      65 Sacra Congregatio Concilii, "Brixien"

      66 "Archivum Concilii Oecumenici Vaticani II, ASC IV, V"

      67 "Archivum Concilii Oecumenici Vaticani II, ASC III, IV"

      68 Secretaria generalis Concilii Oecumenici Vaticani II, "Acta et documenta Concilio Oecumenico Vaticano II apparando I, II, Appendix I-II" Typis Polyglottis Vaticanis 1961

      69 Archivum Concilii Oecumenici Vaticani II, "Acta Synodalia Sacrosancti Concilii Oeumenici Vaticani II, II, IV" Typis Polyglottis Vaticanis 1972

      70 Secretaria generalis Concilii Oecumenici Vaticani II, "ADCA II, II, I"

      71 Secretaria generalis Concilii Oecumenici Vaticani II, "ADCA I, II, VII"

      72 Secretaria generalis Concilii Oecumenici Vaticani II, "ADCA I, II, VI"

      73 Secretaria generalis Concilii Oecumenici Vaticani II, "ADCA I, II, III"

      74 Secretaria generalis Concilii Oecumenici Vaticani II, "ADCA I, II, II"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