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강남 개발과 강남적 도시성의 형성 = The Development of Gangnam and the Formation of Gangnam-style Urbanism : On the Spatial Selectivity of the Anti-Communist Authoritarian Developmental Sta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953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한국의 압축도시화의 한 사례이자 표준으로서 서울의 강남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강남 및 강남 스타일의 도시화는 유례를 찾아 볼 수 없을 정도로 급속한 도시화가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그 이전의 한국의 도시화 양상 및 서구의 도시와 구별된다는 점에서, 그리고 현대 한국의 삶에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매우 중요한 하나의 모델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가 매우 크다. 하지만 그럼에도 강남의 독특한 도시성(urbanism)이 어떠한 사회적 조건에서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선망이 되는 물질적 풍경이자 생활양식으로서의 강남적 도시성의 특징을 서술한다. 강남적 도시성은 물질적 공간의 측면에서 중상층이 주거와 자산증식을 위해 소유하는 고급 고층 아파트 단지를 특징으로 하고, 사회문화적 생활양식 의 측면에서 정치적 보수성, 사적몰입과 공적 무관심, 학력, 외모, 패션 등에서의 경쟁, 유흥문화 등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강남적 도시성의 원형은 한국 반공 권위주의 발전국가 전략의 공간선택성 속에서 매우 짧은 시간에 압축적으로 형성되었다. 즉 그것은 북한과 대치상황 및 서울로의 인구집중 속에서 강북개발과 영등포개발을 억제하고 강남개발과 아파트를 통해 인구를 급히 분산하고 수용해야 했던 반공주의 국가의 필요성, 서민과 도시빈민을 도시개발에서 공간적으로 배제하는 권위주의 국가의 특성, 그리고 예외공간과 가격왜곡을 통해 건설자본과 중산층에 특혜를 부여하고 강남의 아파트 건설과 불균등 발전을 촉진한 발전국가의 선별적 주택산업정책이 결합되어 만들어낸 공간 선택성에 의해 상당 부분 설명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한국의 압축도시화의 한 사례이자 표준으로서 서울의 강남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강남 및 강남 스타일의 도시화는 유례를 찾아 볼 수 없을 정도로...

      이 논문은 한국의 압축도시화의 한 사례이자 표준으로서 서울의 강남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강남 및 강남 스타일의 도시화는 유례를 찾아 볼 수 없을 정도로 급속한 도시화가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그 이전의 한국의 도시화 양상 및 서구의 도시와 구별된다는 점에서, 그리고 현대 한국의 삶에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매우 중요한 하나의 모델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가 매우 크다. 하지만 그럼에도 강남의 독특한 도시성(urbanism)이 어떠한 사회적 조건에서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선망이 되는 물질적 풍경이자 생활양식으로서의 강남적 도시성의 특징을 서술한다. 강남적 도시성은 물질적 공간의 측면에서 중상층이 주거와 자산증식을 위해 소유하는 고급 고층 아파트 단지를 특징으로 하고, 사회문화적 생활양식 의 측면에서 정치적 보수성, 사적몰입과 공적 무관심, 학력, 외모, 패션 등에서의 경쟁, 유흥문화 등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강남적 도시성의 원형은 한국 반공 권위주의 발전국가 전략의 공간선택성 속에서 매우 짧은 시간에 압축적으로 형성되었다. 즉 그것은 북한과 대치상황 및 서울로의 인구집중 속에서 강북개발과 영등포개발을 억제하고 강남개발과 아파트를 통해 인구를 급히 분산하고 수용해야 했던 반공주의 국가의 필요성, 서민과 도시빈민을 도시개발에서 공간적으로 배제하는 권위주의 국가의 특성, 그리고 예외공간과 가격왜곡을 통해 건설자본과 중산층에 특혜를 부여하고 강남의 아파트 건설과 불균등 발전을 촉진한 발전국가의 선별적 주택산업정책이 결합되어 만들어낸 공간 선택성에 의해 상당 부분 설명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how Gangnam, as a model and standard of compressed urbanization in South Korea, was created. Gangnam and Gangnam-style urbanization need attention not only because they contrast with Korea"s urbanization in the past as well as urbanization in the West but also they provide an important model in contemporary Korea"s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However, there are little studies of how Gangnam"s peculiar urbanism was created. To fill this gap, this article will first capture Gangnam"s peculiar urbanism as a material landscape and sociocultural lifestyle. Gangnam-style urbanism is (a) materially characterized by high-rise apartment complexes owned by the middle and upper class for dwelling and asset growth and (b) socio-culturally characterized by political conservatism, public indifference, competition over academic performance, appearance, and fashion, and nightlife. Then it will show Gangnam’s archetype was created in a spatially and temporally compressed way in and through the spatial selectivity of Korean anti-communist authoritarian developmental state strategies: (1) anti-communism led to the diffusion and accommodation of the population through apartments in Gangnam in the context of its confrontation with North Korea and the fast-growing population of Seoul; (2) military authoritarianism excluded the low-income class and the urban poor from urban development; and (3) the developmental state adopted selective housing policy which treated construction companies and the middle class preferentially through exceptional zoning and price distortions, promoting the construction of apartment in Gangnam and its resultant uneven development.
      번역하기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how Gangnam, as a model and standard of compressed urbanization in South Korea, was created. Gangnam and Gangnam-style urbanization need attention not only because they contrast with Korea"s urbanization in the past as wel...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how Gangnam, as a model and standard of compressed urbanization in South Korea, was created. Gangnam and Gangnam-style urbanization need attention not only because they contrast with Korea"s urbanization in the past as well as urbanization in the West but also they provide an important model in contemporary Korea"s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However, there are little studies of how Gangnam"s peculiar urbanism was created. To fill this gap, this article will first capture Gangnam"s peculiar urbanism as a material landscape and sociocultural lifestyle. Gangnam-style urbanism is (a) materially characterized by high-rise apartment complexes owned by the middle and upper class for dwelling and asset growth and (b) socio-culturally characterized by political conservatism, public indifference, competition over academic performance, appearance, and fashion, and nightlife. Then it will show Gangnam’s archetype was created in a spatially and temporally compressed way in and through the spatial selectivity of Korean anti-communist authoritarian developmental state strategies: (1) anti-communism led to the diffusion and accommodation of the population through apartments in Gangnam in the context of its confrontation with North Korea and the fast-growing population of Seoul; (2) military authoritarianism excluded the low-income class and the urban poor from urban development; and (3) the developmental state adopted selective housing policy which treated construction companies and the middle class preferentially through exceptional zoning and price distortions, promoting the construction of apartment in Gangnam and its resultant uneven develop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강남의 위치와 이미지
      • 3. 물질적 공간과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강남적 도시성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강남의 위치와 이미지
      • 3. 물질적 공간과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강남적 도시성
      • 4. 공간의 사회적 생산: 전략적 선택성과 공간선택성
      • 5. 강남 개발의 과정: 도시공간 프로젝트의 선택과 도태
      • 6. 한국 반공 권위주의 발전국가의 공간선택성
      • 7. 강남과 강남적 도시성의 형성
      • 8. 결론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업, "한국자본주의 발전모델의 형성과 해체" 나눔의집 2001

      2 박배균, "한국에서 토건국가 출현의 배경: 정치적 영역화가 토건지향성에 미친 영향에 대한 시론적 연구" 한국공간환경학회 (31) : 49-87, 2009

      3 박배균, "한국 지역균형정책에 대한 국가공간론적 해석"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7) : 81-130, 2012

      4 최장집, "한국 민주주의의 이론" 한길사 1993

      5 손정목, "한국 도시 60년의 이야기 2" 한울 2005

      6 손정목, "한국 도시 60년의 이야기 1" 한울 2005

      7 박해천, "콘크리트 유토피아" 자음과모음 2009

      8 임덕호, "주택시장 선진화를 위한 후분양제 도입" (3) : 2003

      9 연합뉴스, "주택보급률 101.9% ... 아파트 비중 59%"

      10 조선일보, "이사 떡, 다시는 안 돌릴래요"

      1 김진업, "한국자본주의 발전모델의 형성과 해체" 나눔의집 2001

      2 박배균, "한국에서 토건국가 출현의 배경: 정치적 영역화가 토건지향성에 미친 영향에 대한 시론적 연구" 한국공간환경학회 (31) : 49-87, 2009

      3 박배균, "한국 지역균형정책에 대한 국가공간론적 해석"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7) : 81-130, 2012

      4 최장집, "한국 민주주의의 이론" 한길사 1993

      5 손정목, "한국 도시 60년의 이야기 2" 한울 2005

      6 손정목, "한국 도시 60년의 이야기 1" 한울 2005

      7 박해천, "콘크리트 유토피아" 자음과모음 2009

      8 임덕호, "주택시장 선진화를 위한 후분양제 도입" (3) : 2003

      9 연합뉴스, "주택보급률 101.9% ... 아파트 비중 59%"

      10 조선일보, "이사 떡, 다시는 안 돌릴래요"

      11 조석곤, 오유석, "압축성장을 위한 전제조건의 형성-1950년대 한국자본주의 축적체제의 정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학연구회 (59) : 258-302, 2003

      12 전상인, "아파트에 미치다: 현대한국의 주거사회학" 이숲 2009

      13 Gelezeau, V., "아파트공화국: 프랑스 지리학 자가 본 한국의 아파트" 후마니타스 2006

      14 박해천, "아파트게임" 후마니타스 2013

      15 박인석, "아파트 한국사회: 단지공화국에 갇힌 도시와 일상" 현암사 2013

      16 박철수, "아파트 공적 냉소와 사적 정열이 지배하는 사회" 마티 2013

      17 김종희, "아파아트를 해부한다: 아파아트 생 활을 한 주부의 의견" 4 : 41-51, 1969

      18 박해천, "아수라장의 모더니티" 워크룸프레스 2015

      19 김현옥, "시민아파아트 건립사업" 4 (4): 4-11, 1969

      20 유정화, "성형외과의 입지와 방문요인에 관 한 연구: 서울시 강남구를 중심으로" 42 : 33-60, 2003

      21 김창석, "서울시 상류계층(파워엘리트)의 주거지역 분포특성과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7 (37): 65-85, 2002

      22 손정목, "서울도시계획이야기5" 한울 2003

      23 손정목, "서울도시계획이야기3" 한울 2003

      24 손정목, "서울도시계획이야기1" 한울 2003

      25 김동완, "불균등발전과 국가공간: 불균등발전론의 재구성을 위한 시론, 국가와지역" 알트 126-165, 2013

      26 임동근, "메트로폴리스 서울의 탄생" 반비 2015

      27 홍두승, "도시 중산층의 생활양식: 주거생활을 중심으로" 19 : 1991

      28 Bourdieu, P.,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 회학 (상/하)" 새물결 1995

      29 손정원, "개발국가의 공간적 차원에 관한 연구 - 1970년대 한국의 경험을 사례로 -" 한국공간환경학회 (25) : 41-79, 2006

      30 한종수, "강남의 탄생: 대한민국의 심장 도시는 어떻게 태어났는가" 미지북스 2016

      31 이동헌, "강남의 심상규모와 경계짓기의 논리" 서울학연구소 (42) : 123-171, 2011

      32 강준만, "강남, 낯선 대한민국의 자화상" 인물과사상사 2006

      33 강준만, "강남 좌파 - 민주화 이후의 엘리트주의" 인물과사상사 2011

      34 조선일보, "강남 안의 강남・북... ‘테남.테북’ 아시나요"

      35 장경섭, "가족 생애 정치경제" 창비 2009

      36 매일경제, "‘주홍글씨’ 못 뗀 임대아파트"

      37 김병린, "‘불도저’ 김현옥과 함께 서울 지도를 싸-악 바꿨다, 서울 나는 이렇게 바꾸고 싶었다" 서울특별시시사편찬위원회 67-137, 2011

      38 Castells, M., "The Urban Question: A Marxist Approach" Edward Arnold 1977

      39 Lefebvre, H., "The Production of Space" Blackwell 1991

      40 Jessop, B, "State Theory: Putting the Capitalist State in Its Place" Polity Press 1990

      41 Brenner, N, "New State Spaces: Urban Governance and the Rescaling of Statehood"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42 Poulantzas, N, "Fascism and Dictatorship:The Third International and the Problem of Fascism" Verso 1974

      43 Wirth, L., "Classic Essays on the Culture of Cities" Appleton Century Crofts 150-157, 1969

      44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2015 한국 부자보고서" 2015

      45 전강수, "1970년대 박정희 정권의 강남개발" 역사문제연구소 16 (16): 9-40,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1 0.94 1.203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