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가이자 공간연출디자이너로 전시공간을 설계한 프레데릭 J. 키슬러는 1930년대 근대기능주의가 번성하고 있던 시기에 반(反)기능주의자로써 자신만의 전시공간을 완성하였다. 특히 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796603
2014
Korean
Correalism ; Biotechnique ; Museology ; 상호현실주의 ; 바이오테크닉 ; 뮤즈올로지
KCI등재
학술저널
375-385(1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건축가이자 공간연출디자이너로 전시공간을 설계한 프레데릭 J. 키슬러는 1930년대 근대기능주의가 번성하고 있던 시기에 반(反)기능주의자로써 자신만의 전시공간을 완성하였다. 특히 그...
건축가이자 공간연출디자이너로 전시공간을 설계한 프레데릭 J. 키슬러는 1930년대 근대기능주의가 번성하고 있던 시기에 반(反)기능주의자로써 자신만의 전시공간을 완성하였다.
특히 그의 독자적인 개념인 ‘상호현실주의(Correalism)'와 ’바이오테크닉(Biotechnique)'을 여러가지 전시공간 유형으로 전개하였다. 그의 전시공간 개념은 미술과 사람 그리고 환경을 어우르는 공간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 이번 연구에서는 20세기 당시 기능주의적 주류에 속하지 못했지만 좀 더 진보적인 전시공간을 구성하였던 키슬러의 미술 전시 공간에 대한 분석 Matrix를 통해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특징들을 파악하고자 한다. 키슬러의 전시공간 개념은 세 가지로 축약 할 수 있다. 가장 큰 개념인 상호현실주의, 바이오테크닉을 중심에 두고, 그와 동시에 키슬러의 뮤즈올로지를 더하여 전체적인 공간 분석의 축으로 사용한다. 이 세 가지 개념의 축을 기준으로 공간 관계 요소들을 도출하고, 이를 이용해 전시공간 관계요소 Matrix를 구성한다. 이 관계 Matrix를 이용해 미술 전시공간의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특징을 파악한다. 이와 같은 키슬러의 탈기능주의적 전시 개념은 미술관적 큐레이터이즘에 사로잡혀 있던 전시의 보편적인 작품배치와 연출방식을 뒤집어 봄으로써 예술과 대중의 관계를 재조명 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그의 전시공간의 시대적 유형과 공간적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지금도 미술사적 카테고리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전시연출에 새로운 시도와 도전을 요구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ederick J. Kiesler, who designed exhibition space as an architect and a space presentation designer, completed his own exhibition space as an anti-functionalist at a time when the modern functionalism was flourishing during the 1930s. In particular,...
Frederick J. Kiesler, who designed exhibition space as an architect and a space presentation designer, completed his own exhibition space as an anti-functionalist at a time when the modern functionalism was flourishing during the 1930s. In particular, he unfolded his unique concepts, ‘Correalism' and ’Biotechnique' into various exhibition space types. His concept of exhibition space effectively showcas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that connect art, human beings and environment.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detailed and empiric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analysis Matrix on the Kiesler’s art exhibition space as he composed increasingly progressive exhibition space although he was not a member of the functionalist mainstream during the 20th Century. Kiesler’s concept of exhibition space can be contracted into three. The foremost concepts, Correalism and Biotechnique are placed at the center. At the same time, museology of Kiesler was added on to utilize as the axis of the overall space analysis. Spatial relation factors were drawn out by using the axis of these three concepts as the standard. This is used to comprise exhibition space relation factor Matrix. This relation Matrix is utilized to identify the practical and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 art exhibition space. It is possible to claim that this type of Kiesler’s exhibition concept that deviates from functionalism re-highligh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the public by turning the universal work placement and presentation method for exhibitions that were focused merely on art gallery type of curatorism, upside down. By examining epochal type and spatial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of his exhibition space, it is possible to open up the new horizon of exhibition space that cannot deviate from the art history type of category even now.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영란, "프레데릭 키슬러의 상호현실주의 연구" 2003
2 김성신, "프레데릭 J. 키술러의 상호현실주의를 통한 디지털공간에 관한 연구" 2003
3 마정미, "포스트휴먼과 탈근대적 주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4 김용재, "키슬러 이후 현대 서유럽 건축의 곡선 형태적 경향" 한국생활환경학회 11 (11): 277-284, 2004
5 질 들뢰즈,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3
6 성주애, "들뢰즈의 유목적 사유체계률 통한 프레드릭 키슬러와 아키그램 건축개념 비교연구" 2003
7 아마구치 가쓰히로, "공간연출디자인의 원류 프레데릭 j 키슬러" 미술문화 2000
8 Dieter Bogner, "Kiesler Frederick: Inside the Endless House" Perfect Paperback 1997
1 박영란, "프레데릭 키슬러의 상호현실주의 연구" 2003
2 김성신, "프레데릭 J. 키술러의 상호현실주의를 통한 디지털공간에 관한 연구" 2003
3 마정미, "포스트휴먼과 탈근대적 주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4 김용재, "키슬러 이후 현대 서유럽 건축의 곡선 형태적 경향" 한국생활환경학회 11 (11): 277-284, 2004
5 질 들뢰즈,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3
6 성주애, "들뢰즈의 유목적 사유체계률 통한 프레드릭 키슬러와 아키그램 건축개념 비교연구" 2003
7 아마구치 가쓰히로, "공간연출디자인의 원류 프레데릭 j 키슬러" 미술문화 2000
8 Dieter Bogner, "Kiesler Frederick: Inside the Endless House" Perfect Paperback 1997
뇌(腦) 메커니즘에 기초한 아동 심리와 그림 특징 연구
소피 칼(Sophie Calle)의 작품을 통해 본 내러티브(narrative)의 조형적 효과에 관한 분석
스마트폰 액세서리 디자인에 나타난 아날로그 감성 특성에 관한 연구
지역공동체에 기반한 공공미술 - 영국 채널 4 방송의 '빅 아트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2-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4 | 0.34 | 0.512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