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마트폰 액세서리 디자인에 나타난 아날로그 감성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eature of analog emotion appeared on the smart phone accesso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66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mart phone and accessories are giving large impact on modern life style as the up-and-coming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echnology which is evolved to digital system from analog system.
      Thereupon this study has purpose on studying emotional feature of analog appeared on smart phone accessories. After the smart phone vitalized in earnest, classified the mobile phone's formative emotion into functional, emotional, minimal, extended minimal. Then considered the smart phone is appearing the feature of extended minimal image of digital emotion.
      Also, study the emotional relationship between smart phone and accessary design to search that it compensates mutual formation deficiency, differentiate or syntonize to adjust balance of opposition. Through the case and the reference research, classified the smart phone accessory's category into accessory, protector, appendage and compensate performance accessory. With the study of usage in its category and feature of formational emotion, smart phone's compensate performance accessory would appear analog emotional feature to refine the digital emotion with the formational relationship of a smart phone.
      With this study, late smart phone's extended function accessories have the feature of refining the smart phone's cold emotion to soft analog emotion such as same emotional category with accessory shapes that recalls segmented old goods or has warm natural image or has physical movement.
      번역하기

      Smart phone and accessories are giving large impact on modern life style as the up-and-coming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echnology which is evolved to digital system from analog system. Thereupon this study has purpose on studying emotional f...

      Smart phone and accessories are giving large impact on modern life style as the up-and-coming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echnology which is evolved to digital system from analog system.
      Thereupon this study has purpose on studying emotional feature of analog appeared on smart phone accessories. After the smart phone vitalized in earnest, classified the mobile phone's formative emotion into functional, emotional, minimal, extended minimal. Then considered the smart phone is appearing the feature of extended minimal image of digital emotion.
      Also, study the emotional relationship between smart phone and accessary design to search that it compensates mutual formation deficiency, differentiate or syntonize to adjust balance of opposition. Through the case and the reference research, classified the smart phone accessory's category into accessory, protector, appendage and compensate performance accessory. With the study of usage in its category and feature of formational emotion, smart phone's compensate performance accessory would appear analog emotional feature to refine the digital emotion with the formational relationship of a smart phone.
      With this study, late smart phone's extended function accessories have the feature of refining the smart phone's cold emotion to soft analog emotion such as same emotional category with accessory shapes that recalls segmented old goods or has warm natural image or has physical mov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스마트폰과 주변 액세서리는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진화한 무선통신 네트워크 기술 혁명의 총아로서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에 커다란 영향을 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폰 액세서리 디자인에 나타난 아날로그 감성 특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이 본격적으로 활성화된 이후 휴대전화의 조형 감성 유형을 기능적, 감성적, 미니멀, 확장된 미니멀 이미지로 분류하고, 스마트폰이 디지털 감성의 확장된 미니멀 이미지 특성을 나타냄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스마트폰과 액세서리의 디자인 감성 관계를 고찰하여 상호 간의 조형적 결핍을 보완하거나 대립적 관계의 균형을 추구하기위하여 동조화되거나 차별화됨을 살펴보았다.
      또한 사례 및 문헌 연구를 통하여 스마트폰 액세서리의 유형을 장신구, 보호구, 부속, 성능보완, 기능확장 액세서리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사용 및 조형 감성 특성을 고찰하여, 스마트폰의 성능보완 액세서리가 스마트폰과의 조형 관계성에 따라 스마트폰의 디지털 감성을 순화하기 위하여 아날로그 감성 특성을 나타냄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특히 근래 스마트폰의 기능확장 액세서리는 과거 물건을 연상시키는 형태의 액세서리, 자연에 가까운 따듯한 이미지의 액세서리, 물리적 동작을 느끼게 하는 액세서리로 세분화된 감성 유형으로 스마트폰의 차가운 감성을 아날로그 감성으로 완화하려는 특성임을 고찰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스마트폰과 주변 액세서리는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진화한 무선통신 네트워크 기술 혁명의 총아로서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에 커다란 영향을 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

      스마트폰과 주변 액세서리는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진화한 무선통신 네트워크 기술 혁명의 총아로서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에 커다란 영향을 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폰 액세서리 디자인에 나타난 아날로그 감성 특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이 본격적으로 활성화된 이후 휴대전화의 조형 감성 유형을 기능적, 감성적, 미니멀, 확장된 미니멀 이미지로 분류하고, 스마트폰이 디지털 감성의 확장된 미니멀 이미지 특성을 나타냄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스마트폰과 액세서리의 디자인 감성 관계를 고찰하여 상호 간의 조형적 결핍을 보완하거나 대립적 관계의 균형을 추구하기위하여 동조화되거나 차별화됨을 살펴보았다.
      또한 사례 및 문헌 연구를 통하여 스마트폰 액세서리의 유형을 장신구, 보호구, 부속, 성능보완, 기능확장 액세서리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사용 및 조형 감성 특성을 고찰하여, 스마트폰의 성능보완 액세서리가 스마트폰과의 조형 관계성에 따라 스마트폰의 디지털 감성을 순화하기 위하여 아날로그 감성 특성을 나타냄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특히 근래 스마트폰의 기능확장 액세서리는 과거 물건을 연상시키는 형태의 액세서리, 자연에 가까운 따듯한 이미지의 액세서리, 물리적 동작을 느끼게 하는 액세서리로 세분화된 감성 유형으로 스마트폰의 차가운 감성을 아날로그 감성으로 완화하려는 특성임을 고찰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나재웅, "휴대폰 디자인 변천 과정에 관한 연구 : 모바일 기술과 소비자 트랜드 변화 관련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8

      2 한국능률협회, "휴대폰 단말기 디자인 트랜드 리서치"

      3 유상원, "터치스크린 환경이 휴대전화의 디자인 트렌드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초조형학회 9 (9): 331-348, 2008

      4 정성모, "스마트폰 주변기기와 액세서리에 대한 제품디자인적 분류체계 및 개념정립에 대한 연구"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4) : 20-29, 2012

      5 차강희, "사용자 연출에 따른 모바일폰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 근미래 Prosumer 제품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8

      6 이의영, "미디어아트에서 아날로그적 감성에 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2 (12): 409-420, 2011

      7 니콜라스 네그로폰테, "디지털이다 - being digital"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8 김동섭, "디지털 시대의 확장된 미니멀리즘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9 (9): 119-132, 2008

      9 "두산백과"

      10 "http://www.phoneppu.com/index.html"

      1 나재웅, "휴대폰 디자인 변천 과정에 관한 연구 : 모바일 기술과 소비자 트랜드 변화 관련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8

      2 한국능률협회, "휴대폰 단말기 디자인 트랜드 리서치"

      3 유상원, "터치스크린 환경이 휴대전화의 디자인 트렌드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초조형학회 9 (9): 331-348, 2008

      4 정성모, "스마트폰 주변기기와 액세서리에 대한 제품디자인적 분류체계 및 개념정립에 대한 연구"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4) : 20-29, 2012

      5 차강희, "사용자 연출에 따른 모바일폰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 근미래 Prosumer 제품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8

      6 이의영, "미디어아트에서 아날로그적 감성에 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2 (12): 409-420, 2011

      7 니콜라스 네그로폰테, "디지털이다 - being digital"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8 김동섭, "디지털 시대의 확장된 미니멀리즘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9 (9): 119-132, 2008

      9 "두산백과"

      10 "http://www.phoneppu.com/index.html"

      11 "http://www.itworld.co.kr/tags/55320/%EC%95%B1%EC%84%B8%EC%84%9C"

      12 "http://www.it.co.kr/common/mediaitPrint.php?nSeq=2341016&nBoardSeq=60"

      13 "http://www.griffintechnology.com"

      14 "http://www.emarketer.com/Article/Smartphone-Users-Worldwide-Will-Total-175-Billion-2014/1010536/1"

      15 "http://www.elecom.co.kr"

      16 "http://www.bizion.com/bbs/board.php?bo_table=idea&wr_id"

      17 "http://www.belkin.com"

      18 "http://smartymall.firstmall.kr/main/index"

      19 "http://shapely.co.kr/index.html"

      20 "http://monthly.appstory.co.kr/plan3155"

      21 "http://monthly.appstory.co.kr/it5197"

      22 "http://m.blog.daum.net/ju5909/8747173"

      23 "http://comta.kr/?p=15139"

      24 "http://blog.daum.net/kcc1335/2912"

      25 황병철, "Samsung Mobile UX : Haptic" 2008

      26 김상진, "LG Business Insight_Weekly 포커스_모바일 컨버전스의 미래"

      27 유미연, "LG Business Insight_Weekly 포커스_모바일 액세서리, Styler에서 Enabler"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