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의 박사학위자를 대상으로 성별 및 고용형태별 임금격차를 분석하였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박사인력활동조사를 활용하였고 다양한 임금분해방법에 선택편의 통제를 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86476
202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9-42(1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의 박사학위자를 대상으로 성별 및 고용형태별 임금격차를 분석하였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박사인력활동조사를 활용하였고 다양한 임금분해방법에 선택편의 통제를 위...
본 연구는 한국의 박사학위자를 대상으로 성별 및 고용형태별 임금격차를 분석하였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박사인력활동조사를 활용하였고 다양한 임금분해방법에 선택편의 통제를 위해 성향점수매칭과 결합하여 박사노동시장의 불평등 메커니즘을 조사하였다. 우선 분위수 기반 분해방법을 통해 살펴본 박사학위자 간 성별 임금격차의 분포적 특징으로 명확한 밑바닥 일자리가 확인되었다. 한편, 일반화 분해결과는 비정규직 박사에 대한 상당한 차별을 보여주었으며, 다만 이공계 전공의 경우 타 전공자에 대한 평균적인 차별에 비해 다소 양호한 수준일 뿐이었다. 이러한 박사노동시장 내 임금차별을 해소하기 위해 격차개선을 위한 법·제도적 기반구축, 미스매치 해소, 합리적인 시장보상체계 마련, 직종분리 완화 등이 고려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gender and employment type wage gap among PhD holders in South Korea. Utilizing the Korean Survey of Careers and Mobility of Doctorate Holders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this study employed propensity score...
This study analyzes the gender and employment type wage gap among PhD holders in South Korea. Utilizing the Korean Survey of Careers and Mobility of Doctorate Holders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this study employed propensity score matching combined with various wage decomposition methods to control for selection bias and examine the mechanisms of inequality in the doctoral labor market. The Recentered Influence Function (RIF) decomposition results highlight clear evidence of "sticky floors" in the gender wage gap among PhD holders. Furthermore, the generalized decomposition results indicate significant discrimination against non-regular doctoral employees, although those with STEM majors are relatively less discriminated against compared to non-STEM peers. To address these wage gap within the doctoral labor market, the establishment of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s for gap reduction, resolving mismatches, creating a rational market compensation system, and reducing occupational segregation should be considered.
인재우대정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과 합리적 조직문화의 조절된 매개효과
중소기업의 네트워크에서 관계행동, 공유가치 및 제품혁신의 관계에 대한 연구
지역별 정부연구개발 투자 효율성 분석: 특허 등록 및 사업화 성과를 중심으로
공유리더십이 혁신행동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전략지향성과 심리적 기제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