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양생온도(養生溫度)가 Cement로 경화(硬化)시킨 연탄재 Mortar의 강도(强度)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한 연구(硏究) = Studies on the Effects of Curing Temperature on the Strength of Briquette Ash Hardened by C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566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연구(本硏究)는 양생온도(養生溫度)가 시멘트로 경화(硬化)시킨 연탄재모르터의 강도(强度)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연구(硏究)하기 위하여 시멘트:연탄재,[시멘트(90%)+소석회(消石灰)(10%)]:...

      본연구(本硏究)는 양생온도(養生溫度)가 시멘트로 경화(硬化)시킨 연탄재모르터의 강도(强度)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연구(硏究)하기 위하여 시멘트:연탄재,[시멘트(90%)+소석회(消石灰)(10%)]:연탄재, 시멘트:표준사(標準砂)를 배합비(配合比) 1:2, 1:3, 1:4, 1:5, 1:7, 1:9의 6종류(種類)와 양생온도(養生溫度)를 $20^{\circ}C$, $30^{\circ}C$, $35^{\circ}C$의 3종류(種類)로 구분(區分)하여 ${\sigma}_7$, ${\sigma}_{28}$의 압축(壓縮), 인장(引張), 휨강도시험(强度試驗)을 실시(實施)하였으며 본(本) 시험(試驗)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압축강도(壓縮强度)는 표준사(標準砂)를 사용(使用)한 모르터의 강도(强度)를 100으로 했을 때 1:2의 ${\sigma}_7$은 시멘트, 연탄재는 69.3%, (시멘트+소석회(消石灰)):연탄재는 75.1%를 나타냈으며 ${\sigma}_{28}$에서는 전자(前者)와 같은 순(順)으로 56.4%, 49%의 강도(强度)를 나타냈다. 2. 인장강도(引張强度)는 표준사(標準砂)를 사용(使用)한 모르터의 강도(强度)를 100%로 했을 때 1:2의 ${\sigma}_7$은 시멘트:연탄재에서는 64.4%, (시멘트+소석회(消石灰)):연탄재에서는 47.1%를 나타냈으며 ${\sigma}_{28}$은 전자(前者)와 같은 순(順)으로 69.6%, 64.8%의 강도(强度)를 나타냈다. 3. 휨강도(强度)는 표준사(標準砂)를 사용(使用)한 모르터의 강도(强度)를 100%로 했을 때 1:2의 ${\sigma}_7$은 시멘트:연탄재는 46.3%, (시멘트+소석회(消石灰)):연탄재는 65.9%를 나타냈으며 ${\sigma}_{28}$에서는 전자(前者)와 같은 순(順)으로 89.9%, 96.7%의 강도(强度)를 나타냈다. 4. 양생온도(養生溫度) 상승(上昇)에 따른 $1^{\circ}C$당(當)의 강도(强度)의 증가(增加)는 압축강도(壓縮强度)에서 평균(平均) $0.92{\sim}1.75kg/cm^2$, 인장강도(引張强度)에서 $0.14{\sim}0.16kg/cm^2$, 휨강도(强度)에서 $0.21{\sim}0.38kg/cm^2$의 값을 나타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curing temperature on the strength of briquette ash mortar hardened by cement. The six different kinds of briquette ash mortars were made by mixing the cement : briquette ash, ((cement (90%)+lime (10...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curing temperature on the strength of briquette ash mortar hardened by cement. The six different kinds of briquette ash mortars were made by mixing the cement : briquette ash, ((cement (90%)+lime (10%)) : briquette ash and cement : standard sand at the ratio of 1:2, 1:3, 1:4, 1:5, 1:7, and 1:9, respectively and the cu ring temperatures were $20^{\circ}C$, $30^{\circ}C$, and $35^{\circ}C$. The strength of compression, bending and tensile were measured at ${\sigma}_7$ and ${\sigma}_{28}$. The summarized results were as follows. 1. At the ${\sigma}_7$ of 1:2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ement : briquette ash and (cement+lime) : briquette ash were 69.3% and 75.1%, respectively of the mortar made of the standard sand. At the ${\sigma}_{28}$ the strength of those materials were 56.4% and 49.0%, respectively. 2. At the ${\sigma}_7$ of 1:2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ement : briquette and (cement+lime) : briquette ash were 64.4% and 47.1%, respectively of the mortar made of standard sand. At the ${\sigma}_{28}$ the tensile strength of those materials were 69.6% and 64.8%, respectively. 3. At the ${\sigma}_7$ of 1:2 the bending strength of the cement : briquette ash and (cement+lime) : briquette ash were 46.3% and 65.9%, respectively of the mortar made of the standard sand. At the ${\sigma}_{28}$ the strength of those materials were 89.9% and 96.7%, respectively. 4. The increment of strength per $1^{\circ}C$ increase of curing temperature were on the average $0.92{\sim}1.75kg/cm^2$ of compressive strength, $0.12{\sim}0.16kg/cm^2$ of the tensile strength and $0.21{\sim}0.38kg/cm^2$ of the bending strength.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