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산 소유 민주주의와 기본소득의 결합 - 롤스의 정의론 재해석을 통한 모색 - = Linking Property-Owning Democracy and Basic Income - An Exploration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of Rawls’s Theory of Justic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20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wealth inequality as well as income inequality across the globe.
      Moreover, alternatives to address the issue of economic inequality have also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For instance, the most popular one is an idea of basic income aiming to guarantee everyone a certain amount of money without any strings attached. There is a lack of discussion, however, focusing on how to deal with today’s worsening wealth inequality. This situation leads us to seriously consider Rawls’s property-owning democracy, which pursues the widespread ownership of assets. If we want to address income and wealth inequalities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both dispersing assets and securing income. This article argues that Rawls’s theory can be a point of departure for that. This paper proceeds with describing the main features of Rawls’s property-owning democracy and then tries to show that Rawls’s theory can be consistent with the basic income idea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of his theory. The subsequent section points out that there are not only common grounds but also interdependence between property-owning democracy and basic income, although they retain their own unique policy goals. The conclusion of this article is that basic income guaranteeing a social minimum for all ought to be closely intertwined with Rawls’s property-owning democracy to achieve a great goal of reducing today’s economic disparities.
      번역하기

      Recently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wealth inequality as well as income inequality across the globe. Moreover, alternatives to address the issue of economic inequality have also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For instance, the most popular on...

      Recently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wealth inequality as well as income inequality across the globe.
      Moreover, alternatives to address the issue of economic inequality have also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For instance, the most popular one is an idea of basic income aiming to guarantee everyone a certain amount of money without any strings attached. There is a lack of discussion, however, focusing on how to deal with today’s worsening wealth inequality. This situation leads us to seriously consider Rawls’s property-owning democracy, which pursues the widespread ownership of assets. If we want to address income and wealth inequalities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both dispersing assets and securing income. This article argues that Rawls’s theory can be a point of departure for that. This paper proceeds with describing the main features of Rawls’s property-owning democracy and then tries to show that Rawls’s theory can be consistent with the basic income idea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of his theory. The subsequent section points out that there are not only common grounds but also interdependence between property-owning democracy and basic income, although they retain their own unique policy goals. The conclusion of this article is that basic income guaranteeing a social minimum for all ought to be closely intertwined with Rawls’s property-owning democracy to achieve a great goal of reducing today’s economic dispar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전 세계적으로 소득의 불평등과 함께 자산의 불평등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제적 불평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에도많은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아무런 조건 없이 모두에게 일정한 소득을 보장하자는 기본소득이 가장 대표적인 예다. 하지만, 오늘날 심화 되는 자산불평등의 문제를 직접 다루는 논의는 드물다. 자산의 광범위한 분산을 목표로 한 롤스의 재산 소유 민주주의가 다시 주목을 받을 수 있는 이유는 이때문이다. 자산과 소득의 이중적 불평등 시대를 극복하고자 할 때 자산의분산과 소득의 보장을 한 시야에 넣는 것이 필요한데, 이 글은 롤스의 정의론이 충분히 그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먼저 롤스의 재산 소유 민주주의의 주요 특징을 짚어보고, 롤스 이론의 재해석을 통해 그의 이론이 기본소득과도 양립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그리고 재산 소유 민주주의와 기본소득은 각기 고유의 정책 목표를 지니면서도 공통의 지반과 상호의존성이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이 글의 결론은 모두에게 최소한의 존엄한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기본소득이 롤스의 재산 소유 민주주의와 밀접히 결합해야만 경제적 불평등의 해소라는 더 큰 목표에 다가설수 있다는 것이다.
      번역하기

      전 세계적으로 소득의 불평등과 함께 자산의 불평등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제적 불평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에도많은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아무런 조건 없이 ...

      전 세계적으로 소득의 불평등과 함께 자산의 불평등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제적 불평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에도많은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아무런 조건 없이 모두에게 일정한 소득을 보장하자는 기본소득이 가장 대표적인 예다. 하지만, 오늘날 심화 되는 자산불평등의 문제를 직접 다루는 논의는 드물다. 자산의 광범위한 분산을 목표로 한 롤스의 재산 소유 민주주의가 다시 주목을 받을 수 있는 이유는 이때문이다. 자산과 소득의 이중적 불평등 시대를 극복하고자 할 때 자산의분산과 소득의 보장을 한 시야에 넣는 것이 필요한데, 이 글은 롤스의 정의론이 충분히 그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먼저 롤스의 재산 소유 민주주의의 주요 특징을 짚어보고, 롤스 이론의 재해석을 통해 그의 이론이 기본소득과도 양립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그리고 재산 소유 민주주의와 기본소득은 각기 고유의 정책 목표를 지니면서도 공통의 지반과 상호의존성이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이 글의 결론은 모두에게 최소한의 존엄한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기본소득이 롤스의 재산 소유 민주주의와 밀접히 결합해야만 경제적 불평등의 해소라는 더 큰 목표에 다가설수 있다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진욱, "한국에서 자산 및 소득의 이중적 불평등: 국제 비교 관점에서 본 한국의 불평등 구조의 특성"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3) : 41-70, 2013

      2 정태욱, "존 롤즈의 정의론과 ‘재산소유 민주주의’론" 법학연구소 27 (27): 11-41, 2016

      3 홍성우,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의 이념: 미드와 롤즈의 비교" 범한철학회 70 (70): 275-314, 2013

      4 목광수, "롤즈의 정의론과 기본소득" 철학연구소 (59) : 57-88, 2019

      5 김종철, "기본자산제: 평등하고 공정한 사회를 위한 정책" 한국사회과학연구회 (101) : 107-135, 2017

      6 권정임, "공유사회의 기본소득과 롤스의 정의의 두 원칙"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7 (27): 29-70, 2016

      7 권정임, "공유사회와 기본소득 - 미드의 아가토토피아 기획에 대한 비판과 변형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6 (26): 7-50, 2015

      8 Williamson, T., "Who Owns What? An Egalitarian Interpretation of John Rawls's Idea of a Property-Owning Democracy" 40 (40): 2009

      9 Ron, A., "Visions of Democracy in ‘Property-Owning Democracy’ : Skelton to Rawls and Beyond" 29 (29): 2008

      10 Rawls, J., "The Priority of Right and Ideas of the Good" 17 (17): 1988

      1 신진욱, "한국에서 자산 및 소득의 이중적 불평등: 국제 비교 관점에서 본 한국의 불평등 구조의 특성"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3) : 41-70, 2013

      2 정태욱, "존 롤즈의 정의론과 ‘재산소유 민주주의’론" 법학연구소 27 (27): 11-41, 2016

      3 홍성우,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의 이념: 미드와 롤즈의 비교" 범한철학회 70 (70): 275-314, 2013

      4 목광수, "롤즈의 정의론과 기본소득" 철학연구소 (59) : 57-88, 2019

      5 김종철, "기본자산제: 평등하고 공정한 사회를 위한 정책" 한국사회과학연구회 (101) : 107-135, 2017

      6 권정임, "공유사회의 기본소득과 롤스의 정의의 두 원칙"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7 (27): 29-70, 2016

      7 권정임, "공유사회와 기본소득 - 미드의 아가토토피아 기획에 대한 비판과 변형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6 (26): 7-50, 2015

      8 Williamson, T., "Who Owns What? An Egalitarian Interpretation of John Rawls's Idea of a Property-Owning Democracy" 40 (40): 2009

      9 Ron, A., "Visions of Democracy in ‘Property-Owning Democracy’ : Skelton to Rawls and Beyond" 29 (29): 2008

      10 Rawls, J., "The Priority of Right and Ideas of the Good" 17 (17): 1988

      11 Gamble, A., "The New Politics of Ownership" 220 : 1996

      12 Rawls, J., "The Law of Peoples with The Idea of Public Reason Revisited" Harvard University Press 2002

      13 Widerquist, K., "Reciprocity and the Guaranteed Income" 27 (27): 1999

      14 Bowles, S., "Recasting Egalitarianism: New Rules for Communities" Verso 1998

      15 DiQuattro, A., "Rawls and Left Criticism" 11 (11): 1983

      16 Freeman, S., "Rawls" Routledge 2007

      17 Birnbaum, S., "Radical Liberalism, Rawls and the Welfare Stata: Justifying the Politics of Basic Income" 13 (13): 2010

      18 Paul Raekstad, "Property-owning democracy as an alternative to capitalism" SAGE Publications 2017

      19 Williamson, T., "Property-Owning Democracy: Rawls and Beyond" Wiley-Blackwell 2012

      20 Jackson, B., "Property-Owning Democracy: Rawls and Beyond" Wiley-Blackwell 2012

      21 Dagger, R., "Property-Owning Democracy, Education, and the Reasonable Surfer" 21 (21): 2012

      22 Standing, G., "Plunder of the Commons : A Manifesto for Sharing Public Wealth" Pelican 2019

      23 O'Neill, M., "Liberty, Equality and Property-Owning Democracy" 40 (40): 2009

      24 Rawls, J., "Justice as Fairness : A Restate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2001

      25 Balestra, C., "Inequalities in Household Wealth across OECD Countries: Evidence from the OECD Wealth Distribution Database" OECD Publishing 2018

      26 Meade, J., "Equality and Efficiency" Macmillan 1993

      27 Zelleke, A., "Distributive Justice and the Argument for an Unconditional Basic Income" 34 (34): 2005

      28 Schuppert, F., "Comment on Michael Schefczyk" 35 (35): 2013

      29 White, S., "Civic Minimum: On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Economic Citizenship"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30 Piketty, T., "Capital in the Twenty-First Century"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31 Piketty, T., "Capital et idéologie" Éditions du Seuil 2019

      32 Festl, M. G., "Between Sentimentalism and Instrumentalism. The Societal Role of Work in John Rawls's Property-Owning Democracy and Its Bearing upon Basic Income" 35 (35): 2013

      33 Widerquist, K., "Basic Income: An Anthology of Contemporary Research" Wiley-Blackwell 2013

      34 Van Parijs, P, "Basic Income: A Radical Proposal for a Free Society and a Sane Economy" Harvard University Press 2017

      35 Standing, G., "Basic Income : And How We Can Make It Happen" Pelican 2017

      36 White, S., "Basic Capital: A Policy Whose Time Has Come and Gone?" 21 (21): 2012

      37 Schefczyk, M., "Background Justice over Time : Property-Owning Democracy versus a Realistically Utopian Welfare State" 35 (35): 2013

      38 Meade, J., "Agathotopia: The Economics of Partnership" Aberdeen University Press 1989

      39 Cowell, F., "Accounting for Cross-Country Differences in Wealth Inequality" 64 (64): 2018

      40 Rawls, J., "A Theory of Justic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9

      41 Dalia Research, "68% of Europeans Support Basic Income, 31%Want It ‘As Soon As Possibl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10-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 semiannually Journal of Philosophical Thought in Korea -> EPOCH AND PHILOSOPHY -A Journal of Philosophical Thought in Kore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2 1.3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