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분수와 소수 지도를 위해 2015 개정 초등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시각적 모델 및 연관성 학습 경험 기회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859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교과서는 교수자가 학생에게 학습 내용 전달을 위해 주로 사용하는 교재로, 교과서 에 제시된 학습 문제와 활동은 학생의 학습 경험 및 결과물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분수와 소수 이해 증 진 및 학습 경험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분수와 소수 지도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수학 검정 교과서 5종에 제시된 시각적 모델 및 학 습 활동 유형, 분수와 소수 연관성 학습 경험 기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의 종류 및 크기, 학습 활동의 유형에 따라 교과서상에서 경험할 수 있는 시각적 모델 및 활동에 일부 불균형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1 미만의 분수에는 영역 모델, 1 이 상의 분수에는 길이 모델, 소수는 크기에 상관없이 길이 모델이 가장 많이 제시되 었으며, 분수와 소수 모두 시각적 표상을 수학적 표현으로 나타내는 활동이 주를 이루었다. 마지막으로 교과서상에서 분수와 소수의 연관성을 경험할 수 있는 문제 는 매우 적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분수와 소수 이해 증진을 위한 교과서상 의 시각적 모델 및 학습 활동 유형의 재구성, 연관성 경험 기회 확대를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교과서는 교수자가 학생에게 학습 내용 전달을 위해 주로 사용하는 교재로, 교과서 에 제시된 학습 문제와 활동은 학생의 학습 경험 및 결과물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교과서는 교수자가 학생에게 학습 내용 전달을 위해 주로 사용하는 교재로, 교과서 에 제시된 학습 문제와 활동은 학생의 학습 경험 및 결과물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분수와 소수 이해 증 진 및 학습 경험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분수와 소수 지도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수학 검정 교과서 5종에 제시된 시각적 모델 및 학 습 활동 유형, 분수와 소수 연관성 학습 경험 기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의 종류 및 크기, 학습 활동의 유형에 따라 교과서상에서 경험할 수 있는 시각적 모델 및 활동에 일부 불균형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1 미만의 분수에는 영역 모델, 1 이 상의 분수에는 길이 모델, 소수는 크기에 상관없이 길이 모델이 가장 많이 제시되 었으며, 분수와 소수 모두 시각적 표상을 수학적 표현으로 나타내는 활동이 주를 이루었다. 마지막으로 교과서상에서 분수와 소수의 연관성을 경험할 수 있는 문제 는 매우 적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분수와 소수 이해 증진을 위한 교과서상 의 시각적 모델 및 학습 활동 유형의 재구성, 연관성 경험 기회 확대를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extbooks serve as primary materials for instructors to deliver learning content to students. The questions and activities within textbooks significantly influenc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and outcom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educational methods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fractions and decimals and improve their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textbook analysis. More specifically, we analyzed fraction and decimal visual models, types of their learning activities, and learning experience opportunities for their connection presented in the five 2015 revised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The findings revealed imbalances in the presentation of visual models and activities based on the type and size of numbers and the types of learning activities in textbooks. Area models were most often presented for fractions less than 1, length models were most often presented for fractions greater than 1, and for decimals, length models were also most common, regardless of size. Activities that involve converting visual representations into mathematical expressions were prevalent for both fractions and decimals. However, there was a limited number of problems in the textbooks addressing the connection of fractions and decimals. Taken together, we recommended reorganizing the visual models and types of learning activities in the textbooks to promote fractions and decimals understanding and expanding connection experiences.
      번역하기

      Textbooks serve as primary materials for instructors to deliver learning content to students. The questions and activities within textbooks significantly influenc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and outcom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educational met...

      Textbooks serve as primary materials for instructors to deliver learning content to students. The questions and activities within textbooks significantly influenc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and outcom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educational methods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fractions and decimals and improve their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textbook analysis. More specifically, we analyzed fraction and decimal visual models, types of their learning activities, and learning experience opportunities for their connection presented in the five 2015 revised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The findings revealed imbalances in the presentation of visual models and activities based on the type and size of numbers and the types of learning activities in textbooks. Area models were most often presented for fractions less than 1, length models were most often presented for fractions greater than 1, and for decimals, length models were also most common, regardless of size. Activities that involve converting visual representations into mathematical expressions were prevalent for both fractions and decimals. However, there was a limited number of problems in the textbooks addressing the connection of fractions and decimals. Taken together, we recommended reorganizing the visual models and types of learning activities in the textbooks to promote fractions and decimals understanding and expanding connection experien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분수와 소수 지도를 위해 교과서에 제시되는 시각적 모델
      • 2. 시각적 모델을 활용하는 학습 활동의 유형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분수와 소수 지도를 위해 교과서에 제시되는 시각적 모델
      • 2. 시각적 모델을 활용하는 학습 활동의 유형
      • 3. 분수와 소수의 연관성
      • Ⅲ. 연구 방법
      • 1. 분석 대상
      • 2. 분석 기준
      • 3.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제시된 시각적 모델의 분포
      • 2. 시각적 모델을 활용한 학습 활동의 특징
      • 3. 분수와 소수 연관성 문제 경험 기회
      • Ⅴ. 논의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