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MZ세대의 옴니보어 문화예술 소비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544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 시장의 핵심 소비층으로 부상한 밀레니얼, Z세대(MZ세대)의 문화예술 소비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데 있다. MZ세대의 문화예술 소비의 양적, 질적 차원을 함께 이해하기 위해 문화 예술행사 관람 횟수와 고급, 대중문화를 모두 소비하는 옴니보어 문화소비를 종속변수로 정의하였으며, 선행연구 를 바탕으로 문화자본, 경제자본, 가족구성, 사회․환경 요인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2019 국민 문화예술활동조사」에서 20대, 30대의 자료를 추출하여 연구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문화예술 소비의 횟수와 옴니보어 소비를 결정하는 요인은 차이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문화예술 관람 횟수에는 문화자본과 경제자본, 가족구성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문화예술 교육 경험이 있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미혼이거나 미취학 아동 자녀가 없을수록 문화예술 공연 관람 횟수가 유의하 게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고급, 대중 문화예술 분야를 모두 관람하는 옴니보어 문화예술 소비 여부에 는 문화자본과 환경요인의 영향력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문화예술 교육 경험이 많고 수도권에 거주할 수록 옴니보어 문화소비자 집단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커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 관람 횟수라는 문화소비의 양적 차원과 옴니보어 소비 성향, 즉 문화소비의 질적 차원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MZ세대의 문화예술 소비를 분석함으로 써 세대의 독특성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제공하였고, 문화예술 향유에 관한 세대 연구 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었다. 나아가 본 연구는 MZ세대의 문화예술 소비를 활성화하고, 이들이 다양한 형태의 문화소비를 향유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 시장의 핵심 소비층으로 부상한 밀레니얼, Z세대(MZ세대)의 문화예술 소비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데 있다. MZ세대의 문화예술 소비의 양적, 질적 차원...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 시장의 핵심 소비층으로 부상한 밀레니얼, Z세대(MZ세대)의 문화예술 소비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데 있다. MZ세대의 문화예술 소비의 양적, 질적 차원을 함께 이해하기 위해 문화 예술행사 관람 횟수와 고급, 대중문화를 모두 소비하는 옴니보어 문화소비를 종속변수로 정의하였으며, 선행연구 를 바탕으로 문화자본, 경제자본, 가족구성, 사회․환경 요인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2019 국민 문화예술활동조사」에서 20대, 30대의 자료를 추출하여 연구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문화예술 소비의 횟수와 옴니보어 소비를 결정하는 요인은 차이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문화예술 관람 횟수에는 문화자본과 경제자본, 가족구성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문화예술 교육 경험이 있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미혼이거나 미취학 아동 자녀가 없을수록 문화예술 공연 관람 횟수가 유의하 게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고급, 대중 문화예술 분야를 모두 관람하는 옴니보어 문화예술 소비 여부에 는 문화자본과 환경요인의 영향력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문화예술 교육 경험이 많고 수도권에 거주할 수록 옴니보어 문화소비자 집단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커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 관람 횟수라는 문화소비의 양적 차원과 옴니보어 소비 성향, 즉 문화소비의 질적 차원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MZ세대의 문화예술 소비를 분석함으로 써 세대의 독특성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제공하였고, 문화예술 향유에 관한 세대 연구 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었다. 나아가 본 연구는 MZ세대의 문화예술 소비를 활성화하고, 이들이 다양한 형태의 문화소비를 향유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culture and art consumption of millennials and Z Generation(MZ generation), which have emerged as a core segment in the market. To understand both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mensions of cultural consumption of the MZ generation, the frequency of cultural attendance and the omnivore consumption, which consumes both pure and mass culture, were defined as dependent variables. And based on previous research, culture and economic capital, family composition, and social/environmental factors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model by extracting data of 20s and 30s from 「2019 National Culture and Art Activity Survey」.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quantity and the diversity of cultural consumption. Cultural capital, economic capital, and family composition factors were found to influence the number of cultural consumption. Specifically, those who have experience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high income, and no preschool child visit significantly more culture and art performances. On the other hand, the influence of cultural capital and environmental factor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on the omnivore cultural consumption. Specifically, those who have more experiences in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who live in the metropolitan are are more likely to be classified as an omnivore cultural consumer group. This study is meaningful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determinants of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mensions of cultural consumption.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culture and art consumption of the MZ generation,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uniqueness of the generation in-depth and can expand the scope of generational research on cultural consumption.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activating the cultural consumption of the MZ generation and creating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enjoy various forms of culture and art produc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culture and art consumption of millennials and Z Generation(MZ generation), which have emerged as a core segment in the market. To understand both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me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culture and art consumption of millennials and Z Generation(MZ generation), which have emerged as a core segment in the market. To understand both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mensions of cultural consumption of the MZ generation, the frequency of cultural attendance and the omnivore consumption, which consumes both pure and mass culture, were defined as dependent variables. And based on previous research, culture and economic capital, family composition, and social/environmental factors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model by extracting data of 20s and 30s from 「2019 National Culture and Art Activity Survey」.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quantity and the diversity of cultural consumption. Cultural capital, economic capital, and family composition factors were found to influence the number of cultural consumption. Specifically, those who have experience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high income, and no preschool child visit significantly more culture and art performances. On the other hand, the influence of cultural capital and environmental factor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on the omnivore cultural consumption. Specifically, those who have more experiences in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who live in the metropolitan are are more likely to be classified as an omnivore cultural consumer group. This study is meaningful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determinants of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mensions of cultural consumption.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culture and art consumption of the MZ generation,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uniqueness of the generation in-depth and can expand the scope of generational research on cultural consumption.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activating the cultural consumption of the MZ generation and creating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enjoy various forms of culture and art produc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문헌 연구
      • 1. MZ세대의 정의와 특성
      • 2. 옴니보어 문화예술 소비
      • 요약
      • Ⅰ. 서론
      • Ⅱ. 문헌 연구
      • 1. MZ세대의 정의와 특성
      • 2. 옴니보어 문화예술 소비
      • 3. 문화예술 소비의 선행요인
      • Ⅲ. 연구방법
      • 1. 연구모형
      • 2. 연구자료 및 측정도구
      • 3. 분석방법
      • Ⅳ. 연구결과
      • 1. 조사 대상자의 특성
      • 2. 문화예술 소비의 결정요인
      • 3. 옴니보어 문화예술 소비의 결정요인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은영, "행복감, 사회자본, 여가: 관계형 여가와 자원봉사활동의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6 (46): 1-33, 2012

      2 김은미, "한국인의 문화 소비의 양과 폭: 옴니보어론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5 (55): 205-233, 2011

      3 조돈문, "한국사회의 계급과 문화: 문화자본론 가설들의 경험적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39 (39): 1-33, 2005

      4 한지현, "프랑스, 문화예술교육연구원 설립, 올해 가을 첫 신입생 맞이"

      5 송선민, "패션 명품 확장 브랜드의 코스메틱에 대한 MZ세대의 양면적 소비 의도에 미치는 영향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1 (21): 47-67, 2021

      6 이홍승, "코로나19로 인한 식품 소비행태 변화분석: MZ세대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9 (19): 47-54, 2021

      7 허지정, "지역의 문화서비스 공급이 가계의 문화소비에 미치는 영향"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4 (44): 161-169, 2009

      8 편하선, "전통 디저트 브랜드 경험에 따른 소비자 인식 연구- MZ 세대를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9 (19): 17-28, 2021

      9 통계청, "인구통계조사"

      10 김두이, "육아기 여성의 문화예술향유불평등: 육아부담이 문화예술관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계층의 조절 효과" 한국문화관광연구원 33 (33): 5-33, 2019

      1 남은영, "행복감, 사회자본, 여가: 관계형 여가와 자원봉사활동의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6 (46): 1-33, 2012

      2 김은미, "한국인의 문화 소비의 양과 폭: 옴니보어론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5 (55): 205-233, 2011

      3 조돈문, "한국사회의 계급과 문화: 문화자본론 가설들의 경험적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39 (39): 1-33, 2005

      4 한지현, "프랑스, 문화예술교육연구원 설립, 올해 가을 첫 신입생 맞이"

      5 송선민, "패션 명품 확장 브랜드의 코스메틱에 대한 MZ세대의 양면적 소비 의도에 미치는 영향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1 (21): 47-67, 2021

      6 이홍승, "코로나19로 인한 식품 소비행태 변화분석: MZ세대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9 (19): 47-54, 2021

      7 허지정, "지역의 문화서비스 공급이 가계의 문화소비에 미치는 영향"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4 (44): 161-169, 2009

      8 편하선, "전통 디저트 브랜드 경험에 따른 소비자 인식 연구- MZ 세대를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9 (19): 17-28, 2021

      9 통계청, "인구통계조사"

      10 김두이, "육아기 여성의 문화예술향유불평등: 육아부담이 문화예술관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계층의 조절 효과" 한국문화관광연구원 33 (33): 5-33, 2019

      11 장세길, "옴니보어 문화향유의 특성과 영향요인 - 전라북도 사례 -" 한국자치행정학회 30 (30): 283-301, 2016

      12 박근영, "영화관람 행위에 있어 옴니보어(Omnivore) 존재 여부에 대한 실증적 고찰" 한국문화사회학회 16 : 143-185, 2014

      13 전범수, "영화 장르의 사회적 소비 구조" 한국방송학회 18 (18): 554-597, 2004

      14 장훈, "여가참여 다양성과 행복의 관계: 참여여가활동의 수와 여가시간 집중도를 중심으로" 여가문화학회 9 (9): 21-38, 2012

      15 배영,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클래식, 뮤지컬, 영화 관람에 대한 개인속성요인과 문화자본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연구소 14 (14): 73-100, 2013

      16 윤혜진, "세대별 여가 인식, 활동 그리고 행복의 관계"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8 (28): 353-370, 2016

      17 한교남, "사회계층 간 여가소비의 구별짓기 양상 변화 - 2000년대 한국사회의 문화예술소비 추세분석 -" 한국관광학회 36 (36): 197-219, 2012

      18 유은영, "베이비붐세대의 문화자본과 경제자본이 문화예술 소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학회 27 (27): 79-103, 2016

      19 백처라, "베이비붐세대와 에코세대 간 문화예술 향유격차에 관한 연구 - Oaxaca-Ransom 분해 방식 중심으로" 한국문화경제학회 23 (23): 135-166, 2020

      20 남순현, "베이비부머의 여가중심 라이프스타일, 은퇴준비 및 부부 여가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34 (34): 183-203, 2014

      21 박주연, "문화자본론과 옴니보어 이론의 실증적 비교: Peterson(1992) 모델의 적용" 한국문화관광연구원 32 (32): 57-86, 2018

      22 김은미, "문화자본과 확장된 ‘문화소비’ - 무엇을 소비하는가에서 어떻게 소비하는가로" 한국언론정보학회 69 (69): 111-138, 2015

      23 김두이, "문화예술향유의 다양성 측면에 대한 분석 - 혼종성과 균등성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32 (32): 115-144, 2018

      24 홍윤미, "문화예술향유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17 (17): 185-212, 2015

      25 김도연, "문화예술의 직접관람과 디지털 뉴미디어를 통한 간접관람의 결정요인 비교연구" 한국문화경제학회 23 (23): 33-60, 2020

      26 최순화, "문화예술 소비 다양성의 영향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455-472, 2021

      27 허식, "문화서비스의 가구소비지출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재정정책학회 15 (15): 21-53, 2013

      28 성제환, "문화 소비자본이 문화 · 예술상품 수요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경제학회 15 (15): 67-93, 2012

      29 서우석, "네트워크화된 문화소비자와 문화자본"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7 (27): 94-137, 2010

      30 Peterson, R. A., "Understanding audience segmentation : From elite and mass to omnivore and univore" 21 (21): 243-258, 1992

      31 Sullivan, O., "The omnivore thesis revisited : Voracious cultural consumers" 23 (23): 123-137, 2007

      32 Chan, T. W., "Social stratification and cultural consumption:The visual arts in England" 35 (35): 168-190, 2007

      33 Alderson, A. S., "Social status and cultural consumption in the United States" 35 (35): 191-212, 2007

      34 Emmison, M., "Social class and cultural mobility : Reconfiguring the cultural omnivore" 39 (39): 211-230, 2003

      35 이예슬, "MZ세대의 문화예술 트렌드" 한국예술연구소 (28) : 341-350, 2020

      36 김호현, "MZ세대의 문화소비"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0

      37 매일경제신문, "KT&G, 문체부 지정 ‘문화예술후원 우수기관’에 선정"

      38 Peterson, R. A., "How musical tastes mark occupational status groups" 152-168, 1992

      39 Savage, M., "Emerging cultural capital in the city : Profiling London and Brussels" 42 (42): 138-149, 2018

      40 Holt, D. B., "Does cultural capital structure American consumption" 25 (25): 1-25, 1998

      41 Bourdieu, P., "Distinction :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ment of Tast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4

      42 DiMaggio, P., "Cultural capital and school success : The impact of status culture participation on the grades of US high school students" 47 (47): 189-201, 1982

      43 Andreasen, N. C., "Creativity in art and science : Are there two cultures" 14 (14): 49-, 2012

      44 Peterson, R. A., "Changing highbrow taste: From snob to omnivore" 900-907, 1996

      45 문화체육관광부, "2019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문화체육관광부 2019

      46 김선미, "1인 가구의 여가태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여가만족의 매개효과"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0 (10): 765-780,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유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6-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소비자정책·교육학회 ->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12-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소비자정책ㆍ교육학회 -> 소비자정책·교육학회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14 1.22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