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금융환경의 변화에 따른 고령소비자의 금융거래 채널 이용 유형 및 유형별 특성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544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모바일 채널을 중심으로 한 금융환경의 변화가 점점 더 보편화되는 과정에서 60대 이상의 고령소비자는 일반 적으로 정보취약계층으로서 단일하게 취급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연령대가 동일하다는 이유만으로 이들 고령 소비자를 동질적인 특성의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60대 이상 고령소비자를 대상으 로 모바일을 중심으로 한 금융환경의 변화에 따라 이들이 금융거래 채널을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지 유형을 구분 하여 살펴봄으로써, 유형별로 어떤 특성이 있는지, 유형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무엇인지 알 아보고, 고령소비자의 효과적인 대응을 지원하는 방안은 무엇인지 모색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군집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60대 이상의 고령소비자 가운데 금융거래 채널을 이용하는 유형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둘째, 금융거래를 위해 모바일 채널을 주로 이용하는 고령소비자는 면대면 채널을 중심으로 활용하는 소비자보다 모바일기기를 기 능적으로 잘 다룰 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술에 대한 심리적 태도 또한 상당히 안정되어 있다. 셋째, 고령소비자 는 금융거래 채널로서 면대면 채널과 PC를 중심으로 한 채널, 모바일을 활용한 채널을 단계적으로 수용하는 성 향을 보인다. 이를 종합적으로 볼 때, 모바일금융을 중심으로 한 환경의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고령소비자의 다 양한 금융거래 채널 이용 수준을 고려하여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프로그램과 관련 정책이 개발, 제안될 필요 가 있다. 이를 통한 최종적인 목표는 모든 고령소비자가 모바일 채널을 잘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데 있는 것이 아 니라, 빠른 시장환경의 변화 속에서 고령소비자 각자에게 적합한 수준의 적응을 스스로 도모할 수 있도록 지원하 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모바일 채널을 중심으로 한 금융환경의 변화가 점점 더 보편화되는 과정에서 60대 이상의 고령소비자는 일반 적으로 정보취약계층으로서 단일하게 취급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연령대가 ...

      모바일 채널을 중심으로 한 금융환경의 변화가 점점 더 보편화되는 과정에서 60대 이상의 고령소비자는 일반 적으로 정보취약계층으로서 단일하게 취급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연령대가 동일하다는 이유만으로 이들 고령 소비자를 동질적인 특성의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60대 이상 고령소비자를 대상으 로 모바일을 중심으로 한 금융환경의 변화에 따라 이들이 금융거래 채널을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지 유형을 구분 하여 살펴봄으로써, 유형별로 어떤 특성이 있는지, 유형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무엇인지 알 아보고, 고령소비자의 효과적인 대응을 지원하는 방안은 무엇인지 모색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군집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60대 이상의 고령소비자 가운데 금융거래 채널을 이용하는 유형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둘째, 금융거래를 위해 모바일 채널을 주로 이용하는 고령소비자는 면대면 채널을 중심으로 활용하는 소비자보다 모바일기기를 기 능적으로 잘 다룰 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술에 대한 심리적 태도 또한 상당히 안정되어 있다. 셋째, 고령소비자 는 금융거래 채널로서 면대면 채널과 PC를 중심으로 한 채널, 모바일을 활용한 채널을 단계적으로 수용하는 성 향을 보인다. 이를 종합적으로 볼 때, 모바일금융을 중심으로 한 환경의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고령소비자의 다 양한 금융거래 채널 이용 수준을 고려하여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프로그램과 관련 정책이 개발, 제안될 필요 가 있다. 이를 통한 최종적인 목표는 모든 고령소비자가 모바일 채널을 잘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데 있는 것이 아 니라, 빠른 시장환경의 변화 속에서 고령소비자 각자에게 적합한 수준의 적응을 스스로 도모할 수 있도록 지원하 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changes in the financial environment centered on mobile finance gradually spread, aged consumers in their 60s and older tend to be treated uniformly as information-vulnerable groups. However, there is a limit to classifying aged consumers as homogeneous groups just because they are of the same age group. In this study, we divided groups of aged consumers into how they are currently using banking channels, and looked into what characteristics each group has and what major factors affect determining the group.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online survey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conducting cluster analysis and poly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many aged consumers in their 60s or older use various types of financial transaction channels. Second, aged consumers who use mobile finance for financial transactions not only functionally handle mobile devices better than those who usually use face-to-face banking channels, but also have a stable psychological attitude toward new technologies. Third, aged consumers tend to gradually accept channels that utilize face-to-face channels, PCs, and mobile channels as banking channels. In conclusion, education and related policy for aged consumers need to be developed and pro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various levels of aged consumers’ use of banking channels. Through this, the final goal is not to make good use of mobile finance for all aged consumers. However, in the midst of rapid changes in the market environment, the focus should be on supporting each aged consumer to pursue an appropriate level of adaptation.
      번역하기

      As changes in the financial environment centered on mobile finance gradually spread, aged consumers in their 60s and older tend to be treated uniformly as information-vulnerable groups. However, there is a limit to classifying aged consumers as homoge...

      As changes in the financial environment centered on mobile finance gradually spread, aged consumers in their 60s and older tend to be treated uniformly as information-vulnerable groups. However, there is a limit to classifying aged consumers as homogeneous groups just because they are of the same age group. In this study, we divided groups of aged consumers into how they are currently using banking channels, and looked into what characteristics each group has and what major factors affect determining the group.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online survey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conducting cluster analysis and poly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many aged consumers in their 60s or older use various types of financial transaction channels. Second, aged consumers who use mobile finance for financial transactions not only functionally handle mobile devices better than those who usually use face-to-face banking channels, but also have a stable psychological attitude toward new technologies. Third, aged consumers tend to gradually accept channels that utilize face-to-face channels, PCs, and mobile channels as banking channels. In conclusion, education and related policy for aged consumers need to be developed and pro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various levels of aged consumers’ use of banking channels. Through this, the final goal is not to make good use of mobile finance for all aged consumers. However, in the midst of rapid changes in the market environment, the focus should be on supporting each aged consumer to pursue an appropriate level of adapt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고찰
      • 1. 금융환경의 변화와 모바일뱅킹 서비스
      • 2. 금융소비자의 채널 선택과 영향요인
      • 요약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고찰
      • 1. 금융환경의 변화와 모바일뱅킹 서비스
      • 2. 금융소비자의 채널 선택과 영향요인
      • 3. 금융시장에서의 고령소비자의 특성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연구문제
      • 2. 자료의 수집과 분석방법
      • 3. 측정도구
      • 4.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Ⅳ. 연구결과
      • 1. 고령소비자의 금융거래 채널 이용 유형 구분
      • 2. 금융거래 채널 이용 유형별 특성
      • 3. 금융거래 채널 이용 유형의 결정요인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소비자원, "한국소비자원, 고령 소비자용 비대면 소비생활 꿀팁 제공: ‘언택트 시대 스마트하게 살아가기’ 제작"

      2 정용제, "플랫폼 산업현황 및 우체국 모바일금융 플랫폼 전략" 110 (110): 73-92, 2017

      3 서울신문, "코로나19 여파에 고령층 모바일뱅킹 가입자 급증"

      4 오승연, "중․고령층 보험․금융소비자의정보격차 실태와 시사점" 470 : 1-8, 2019

      5 한국은행, "전자금융총람" 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한국은행 금융결제국 2015

      6 강임호, "전자금융 발달에 따른 금융기관 및 금융당국의 과제와 역할" 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 2010

      7 이승제, "온라인 뱅킹 서비스 수용 영향 요인: 인터넷 뱅킹과 모바일 뱅킹서비스 비교를 중심으로" 950-956, 2008

      8 손상희,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소비생활적응 연구" 한국소비자원 45 (45): 329-357, 2014

      9 탁동일, "스마트폰을 활용한 모바일뱅킹(Mobile banking) 서비스 이용자 만족요인 연구" 금융지식연구소 12 (12): 253-277, 2014

      10 권영모, "스마트폰 모바일뱅킹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경제학회 28 (28): 529-549, 2015

      1 한국소비자원, "한국소비자원, 고령 소비자용 비대면 소비생활 꿀팁 제공: ‘언택트 시대 스마트하게 살아가기’ 제작"

      2 정용제, "플랫폼 산업현황 및 우체국 모바일금융 플랫폼 전략" 110 (110): 73-92, 2017

      3 서울신문, "코로나19 여파에 고령층 모바일뱅킹 가입자 급증"

      4 오승연, "중․고령층 보험․금융소비자의정보격차 실태와 시사점" 470 : 1-8, 2019

      5 한국은행, "전자금융총람" 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한국은행 금융결제국 2015

      6 강임호, "전자금융 발달에 따른 금융기관 및 금융당국의 과제와 역할" 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 2010

      7 이승제, "온라인 뱅킹 서비스 수용 영향 요인: 인터넷 뱅킹과 모바일 뱅킹서비스 비교를 중심으로" 950-956, 2008

      8 손상희,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소비생활적응 연구" 한국소비자원 45 (45): 329-357, 2014

      9 탁동일, "스마트폰을 활용한 모바일뱅킹(Mobile banking) 서비스 이용자 만족요인 연구" 금융지식연구소 12 (12): 253-277, 2014

      10 권영모, "스마트폰 모바일뱅킹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경제학회 28 (28): 529-549, 2015

      11 이지은,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뱅킹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기술준비도와 전문지식을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 16 (16): 155-172, 2011

      12 이진명, "스마트워치에 대한 소비자의 혁신저항과 수용의도: 효용․비용 인식에 따른 소비자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소비자학회 28 (28): 111-132, 2017

      13 손지연, "소비자의 인터넷 뱅킹 이용 경험과 이용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PC뱅킹과 스마트폰 뱅킹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FP학회 12 (12): 29-57, 2019

      14 서가연, "소비자의 금융소외에 관한 연구: 금융상품과 거래채널을 중심으로" 한국소비자학회 30 (30): 67-84, 2019

      15 한지형, "소비자는 왜 모바일금융 환경에서 불안을 느끼는가?: 모바일금융 불안의 개념과 영향요인 탐색"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15 (15): 51-73, 2019

      16 서희석, "소비자기본법 30년과 소비자법의 구조전환 - 소비자법의 제3의 물결을 위하여 -" 법조협회 60 (60): 84-147, 2011

      17 남궁현경, "서울시 고령자의 정보격차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73-81, 2017

      18 정수연, "서비스 유형의 조절효과를 고려한 모바일 서비스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모바일 게임과 모바일 금융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경영정보학회 9 (9): 23-44, 2007

      19 이유진, "모바일뱅킹사용 결정요인에 관한연구" 10-17, 2005

      20 문윤지, "모바일뱅킹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 대한경영정보학회 38 (38): 103-120, 2019

      21 한지형, "모바일금융 환경에서의 소비자적응" 2017

      22 정운영, "모바일금융 이용여부의 결정요인 : 모바일금융 이용자와 비이용자의 특성을 중심으로" 6 (6): 83-108, 2016

      23 이규복, "디지털금융에서의 소비자보호-금융상품라이프사이클 측면을 중심으로" 29 (29): 3-8, 2020

      24 이동현, "기술수용모형을 이용한 모바일뱅킹 이용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학회 1-19, 2005

      25 정경영, "금융환경의 변화에 대한 법적 대응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원 29 (29): 293-328, 2017

      26 황진자, "금융상품 판매에 있어 고령소비자보호 방안" 한국소비자원 (41) : 171-183, 2012

      27 주소현, "금융거래에서 핀테크 수용에 관한 연령대별 비교 및 관련변수의 탐색" 한국소비문화학회 21 (21): 175-202, 2018

      28 유순덕, "국내 전자금융 연구동향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175-189, 2015

      29 이건창, "국내 인터넷 뱅킹 사용자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간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12 (12): 191-212, 2002

      30 김현정, "고령자층을 위한 금융자동화기기(ATM)의 사용성 연구Ⅰ" 한국디자인학회 21 (21): 127-136, 2008

      31 배순영, "고령자의 소비자역량 현황과 변화" 96 : 1-15, 2018

      32 이승진, "고령소비자의 금융거래에 관한 권익 향상 방안" 법학연구소 27 (27): 591-624, 2016

      33 한국소비자원, "고령소비자 비대면 거래 실태조사" 1-100, 2020

      34 홍재원, "개인정보보호태도가 모바일뱅킹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혁신성과 흡수역량의 조절효과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31-40, 2016

      35 조선비즈, "‘언택트 시대’가 혼란스러운 고령층... “소외계층․지역 격차 커진다”"

      36 Parasuraman, A., "Technology Readiness Index(TRI)a multiple-item scale to measure readiness to embrace new technologies" 2 (2): 307-320, 2000

      37 안수현, "IT환경하에서의 고령소비자 보호 – 소비생활과 금융거래시의 사전·사후적 보호방안 모색 -" 법학연구소 29 (29): 67-100, 2018

      38 Czaja, S. J., "Factors Predicting the Use of Technology : Findings from the Center for Research and Education on Aging and Technology Enhancement(CREATE)" 21 (21): 333-352, 2006

      39 Olson, K. E., "Diffusion of Technology : Frequency of Use for Younger and Older Adults" 36 (36): 123-145, 2011

      40 Laukkanen, P., "Consumer Resistance to Internet Banking : Postponers, Opponents and Rejectors" 26 (26): 440-455, 2008

      41 Kleijnen, M., "Consumer Acceptance of Wireless Finance" 8 (8): 206-217, 2004

      42 Lee, EJ., "A Two-Step Estimation of Consumer Adoption of Technology-Based Service Innovations" 37 (37): 256-282, 2003

      43 Shen, YC., "A Benefit-Cost Perspective of The Consumer Adoption of The Mobile Banking System" 29 (29): 497-511, 2010

      44 한국소비자원, "60대 이상 고령소비자의 금융, 패션, 가전, 건강 품목군 상담 증가: 고령소비자 상담의 최근 3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3.5%"

      45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0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2020

      46 한국은행, "2019년 지급수단 및 모바일금융서비스이용행태 조사결과" 2020

      47 정보통신기획평가원, "2019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2020

      48 배순영, "2019 고령소비자의 소비생활 진단 및 시사점" 104 : 1-25, 2020

      49 한국은행, "2018년 모바일 금융서비스 이용행태조사 결과" 2019

      50 한국은행, "2017년 모바일 금융서비스 이용행태조사 결과 및 시사점"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유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6-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소비자정책·교육학회 ->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12-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소비자정책ㆍ교육학회 -> 소비자정책·교육학회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14 1.22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