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논문 : 행복 교육을 위한 교육 수요자들의 요구 분석 연구 = A Survey Research on School Demanders` the Education for Happi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452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행복 교육에 대한 교육 수요자들의 이해 및 이에 따른 교육적 요구사항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행복 교육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행복을 위한 교육 내용 요소에 대한 논의를 교과 및 범교과 교육과정 안에서 연계시키면서, 우리 학교 상황에서 요구되는 행복 교육의 방향성과 내용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범교과영역은 행복 교육을 실현하는 데 중요한 교육과정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교과 일변도의 교육과정 운영 풍토로 인해 활성화되지 못해 그 편성 및 운영에 있어서 보다 분명한 방향성과 실행 방법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서울, 경기, 인천) 30개 학교 초중고 학생과 학부모 100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연구 결과는 행복 교육을 위한 제도적 기반, 교과 교육과정의 방향성과 범교과 교육과정의 방향성, 내용 요소 및 학습 방법에 관해서 반영할만한 시사점을 제시해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행복 교육에 대한 교육 수요자들의 이해 및 이에 따른 교육적 요구사항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행복 교육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행복을 위한 교육 내용 요소에 대한 논의...

      본 연구에서는 행복 교육에 대한 교육 수요자들의 이해 및 이에 따른 교육적 요구사항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행복 교육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행복을 위한 교육 내용 요소에 대한 논의를 교과 및 범교과 교육과정 안에서 연계시키면서, 우리 학교 상황에서 요구되는 행복 교육의 방향성과 내용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범교과영역은 행복 교육을 실현하는 데 중요한 교육과정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교과 일변도의 교육과정 운영 풍토로 인해 활성화되지 못해 그 편성 및 운영에 있어서 보다 분명한 방향성과 실행 방법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서울, 경기, 인천) 30개 학교 초중고 학생과 학부모 100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연구 결과는 행복 교육을 위한 제도적 기반, 교과 교육과정의 방향성과 범교과 교육과정의 방향성, 내용 요소 및 학습 방법에 관해서 반영할만한 시사점을 제시해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improve school curriculum for developing institutional grounds for the education for happiness and to investigate ways to practically link subject and cross subject curriculum. The agenda of education for happiness has been advocated during the last a few years, and one of the main topics to motivate the current government policies for school reform. This study examines a theoretical clarification of what it is meant by the education for happiness, and how the agenda could be realized in school curriculum. In particular, cross curriculum is an essential domain in which the agenda could be settled in school curriculum, but for now the domain of cross curriculum has never been virtually activated in schools, even though the implementation of cross curriculum is requir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finds a way to demonstrate a desirable direction and contents elements in which cross curriculum could be implemented in order for students to experience life competenc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takes a survey of education demanders, 1000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3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is study presents the directions for improvements in the subject curricula and suggests changes for the development of contents elem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subject and cross subject curriculum.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herefore, to give basic data and implications for planning of future curriculum development and investigating the suitable approaches to subject area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improve school curriculum for developing institutional grounds for the education for happiness and to investigate ways to practically link subject and cross subject curriculum. The agenda of education for happiness h...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improve school curriculum for developing institutional grounds for the education for happiness and to investigate ways to practically link subject and cross subject curriculum. The agenda of education for happiness has been advocated during the last a few years, and one of the main topics to motivate the current government policies for school reform. This study examines a theoretical clarification of what it is meant by the education for happiness, and how the agenda could be realized in school curriculum. In particular, cross curriculum is an essential domain in which the agenda could be settled in school curriculum, but for now the domain of cross curriculum has never been virtually activated in schools, even though the implementation of cross curriculum is requir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finds a way to demonstrate a desirable direction and contents elements in which cross curriculum could be implemented in order for students to experience life competenc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takes a survey of education demanders, 1000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3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is study presents the directions for improvements in the subject curricula and suggests changes for the development of contents elem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subject and cross subject curriculum.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herefore, to give basic data and implications for planning of future curriculum development and investigating the suitable approaches to subject area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