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始见於≪世说新语≫之“车脚”意思演变考察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220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현존하는 문헌 중 ≪世说新语≫에 처음 보이는 단어 “车脚”의 의미 발전 과정을 살펴보았다. “车脚”은 上古汉语에는 나타나지 않으며, ≪世说新语≫에 최초로 나타나는 점으로 미루어보아 中古汉语시기에 생겨난 새로운 단어라 볼 수 있다. ≪世说新语≫에 쓰인 이 단어의 原义는 수레바퀴(“车轮”)였다. “车脚”이 ‘수레바퀴’라는 의미로 쓰인 예는 이후 唐宋을 거쳐 현대 중국어에 이르기 까지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南朝시 대에 이르러 ≪宋書≫, ≪南齊書≫ 등의 기록에 “车脚”이 ‘수레’(“车辆”)라는 의미로 파생되어 쓰인 예가 나타난다. 이 의미 역시 이후 宋元을 거쳐 현대 중국어에 이르기까지 계속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중국에서 가장 방대한 어휘를 수록한≪汉语大词典≫에는 이 용례가 수록되
      지 않았다. 마땅히 보충해야할 것이다. 隋代에 이르면 释智顗의 ≪遗书與晋王≫에 수레를 빌어 물건을 운송할 때 드는 비용(“车费”)이라는 의미가 파생되어 쓰인 예가 보이는데 이 의미 또한 唐宋을 거쳐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다. 北宋시기 沈括의 ≪梦溪笔谈≫에는 ‘수레를 모는 사람’(“车夫”)이라는 뜻으로 사용된 예가 나타나는데 明代 白話小說에 그 예가 많이 보이며 현대 중국어에도 여전히 쓰이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현대 중국어에서는 “车脚夫”라는 말이 더 많이 쓰인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魏晉시대에 형성된 “车脚”이라는 단어가 최초의 의미인 ‘수레바퀴’에서 ‘수레’, ‘차비’, ‘수레를 모는 사람’이라는 의미로 파생되면서 近古漢語, 近代漢語를 거처 현대 중국어에 이르기까지 도태되지 않고 계속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고는 현존하는 문헌 중 ≪世说新语≫에 처음 보이는 단어 “车脚”의 의미 발전 과정을 살펴보았다. “车脚”은 上古汉语에는 나타나지 않으며, ≪世说新语≫에 최초로 나타나는 점으로 ...

      본고는 현존하는 문헌 중 ≪世说新语≫에 처음 보이는 단어 “车脚”의 의미 발전 과정을 살펴보았다. “车脚”은 上古汉语에는 나타나지 않으며, ≪世说新语≫에 최초로 나타나는 점으로 미루어보아 中古汉语시기에 생겨난 새로운 단어라 볼 수 있다. ≪世说新语≫에 쓰인 이 단어의 原义는 수레바퀴(“车轮”)였다. “车脚”이 ‘수레바퀴’라는 의미로 쓰인 예는 이후 唐宋을 거쳐 현대 중국어에 이르기 까지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南朝시 대에 이르러 ≪宋書≫, ≪南齊書≫ 등의 기록에 “车脚”이 ‘수레’(“车辆”)라는 의미로 파생되어 쓰인 예가 나타난다. 이 의미 역시 이후 宋元을 거쳐 현대 중국어에 이르기까지 계속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중국에서 가장 방대한 어휘를 수록한≪汉语大词典≫에는 이 용례가 수록되
      지 않았다. 마땅히 보충해야할 것이다. 隋代에 이르면 释智顗의 ≪遗书與晋王≫에 수레를 빌어 물건을 운송할 때 드는 비용(“车费”)이라는 의미가 파생되어 쓰인 예가 보이는데 이 의미 또한 唐宋을 거쳐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다. 北宋시기 沈括의 ≪梦溪笔谈≫에는 ‘수레를 모는 사람’(“车夫”)이라는 뜻으로 사용된 예가 나타나는데 明代 白話小說에 그 예가 많이 보이며 현대 중국어에도 여전히 쓰이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현대 중국어에서는 “车脚夫”라는 말이 더 많이 쓰인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魏晉시대에 형성된 “车脚”이라는 단어가 최초의 의미인 ‘수레바퀴’에서 ‘수레’, ‘차비’, ‘수레를 모는 사람’이라는 의미로 파생되면서 近古漢語, 近代漢語를 거처 현대 중국어에 이르기까지 도태되지 않고 계속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evolution of “chejiao(车脚)”, a word that was first seen in the book “A New Account of the World(Shih‐shuo Hsin‐yü)”. In times before the Three Kingdoms Period, this word had not been used in any books; therefore we can infer that this word first appeare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Jin Dynasty. At first, the original meaning of this word was “wheel”, after however; it had by extrapolation come to mean “coach”. “The Great Dictionary of Chinese (Han‐yu Da Ci‐dian)” omitted to record this example. In The Sui Dynasty “chejiao” had by extension been used to mean “cartage” and “car fare”, and then before The Song Dynasty it came to mean “a coachman”. These four meanings of this word are still being used today.
      번역하기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evolution of “chejiao(车脚)”, a word that was first seen in the book “A New Account of the World(Shih‐shuo Hsin‐yü)”. In times before the Three Kingdoms Period, this word had not been used in any books; ther...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evolution of “chejiao(车脚)”, a word that was first seen in the book “A New Account of the World(Shih‐shuo Hsin‐yü)”. In times before the Three Kingdoms Period, this word had not been used in any books; therefore we can infer that this word first appeare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Jin Dynasty. At first, the original meaning of this word was “wheel”, after however; it had by extrapolation come to mean “coach”. “The Great Dictionary of Chinese (Han‐yu Da Ci‐dian)” omitted to record this example. In The Sui Dynasty “chejiao” had by extension been used to mean “cartage” and “car fare”, and then before The Song Dynasty it came to mean “a coachman”. These four meanings of this word are still being used toda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 요약>
      • 一. 緖 論
      • 二. 本 論
      • 三. 結 論
      • <参考文献>
      • <논문 요약>
      • 一. 緖 論
      • 二. 本 論
      • 三. 結 論
      • <参考文献>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