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커뮤니티웰빙 지표를 활용한 지역 커뮤니티의 탐색적 유형화 - Kee의 커뮤니티웰빙 6자본요인 및 지표의 활용 - = A Study on the Exploratory Typology of Regional Communities via Community Wellbeing Indica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8998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지역차원의 웰빙구현과 관련하여 커뮤니티의 유형화를 시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형화의 기준으로는 국제적으로 부각되고 있는 커뮤니티웰빙 지표를 기준지표로 사용하였...

      이 연구는 지역차원의 웰빙구현과 관련하여 커뮤니티의 유형화를 시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형화의 기준으로는 국제적으로 부각되고 있는 커뮤니티웰빙 지표를 기준지표로 사용하였다. 유형화의 방법은 k-평균 군집분석에 의하였는데, 각 유형별 지표기준치를 도출하고, 이를 기초로 각 영역과 하위영역(ex: 보건, 복지, 교육 등)으로 환원하여 기준치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농촌형과 도시형 커뮤니티는 상호 명확히 차별되는 특성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커뮤니티웰빙 지표의 6개 자본영역 전부, 18개 지표의 측정항목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별적 특징이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6개 자본영역의 지표를 기준으로 농촌형과 도시형 지역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나아가서 각 유형에 포함된 실제 지역도 확인해 준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한국 지역이 커뮤니티 웰빙지표를 기준으로 유효하게 구분될 수 있음을 확인해준다. 이는 지역차원의 커뮤니티웰빙을 위한 정책적 노력 역시 그에 따라 차별화되어야 함을 가르쳐 주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the core indicators of the regional wellbeing. For this aim, we used to Kee`s community wellbeing Indicators, which is a criteria of the regional wellbeing. The method applied to k-mean clustering. It presents the in...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the core indicators of the regional wellbeing. For this aim, we used to Kee`s community wellbeing Indicators, which is a criteria of the regional wellbeing. The method applied to k-mean clustering. It presents the indicator`s values of typology. The results show the following implications. It is different to between rural type and urban type. For example, the each capitals appears 6 point to 7 point`s value in the rural 1 type. And, the each capitals appears 5 point to 6 point`s value in the rural 2 type. Nextly, the each capitals appears 4 point to 5 point`s value in the rural 3 type. This is because of the differentiation clearly. Additionally, in urban type cases, the each capitals appears 7 point to 9 point`s value in the urban 1 type. But, the each capitals appears 4 point to 5 point`s value in the urban 2 type. It means that the typology is a distintion. This results implies the regional natures are presenting the indicators of CWB than was though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태훈, "커뮤니티웰빙 평가요소로서 지방행정서비스요인의 적합성분석 : 경쟁가설모형들의 신뢰성 및 타당성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8 (28): 81-109, 2014

      2 이승종, "커뮤니티웰빙 지표에 대한 공무원과 전문가의 평가비교연구: AHP 기법의 적용" 한국행정학회 47 (47): 313-337, 2013

      3 기영화, "커뮤니티웰빙 이론개념 구성에 관한 연구-자원(Resource) 영역, 자본(Capital) 요소, 하위지표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26 (26): 243-269, 2014

      4 기영화, "커뮤니티웰빙 연구를 위한 국제지표 분석: 한국적 함의의 도출"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2 (22): 1-35, 2013

      5 서인석, "지방행정서비스와 커뮤니티웰빙 구성요소 간 관계: Kee 모형의 6개 자본요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3 (23): 175-202, 2014

      6 서인석, "지방정부 가치척도로서 주관적 삶의 질 증진과 커뮤니티웰빙 구성요소의 관계: Kee 커뮤니티웰빙 모형의 6자본요인을 적용하여" 한국행정연구원 24 (24): 29-66, 2015

      7 Atkinson, S., "Well-being and Place" Ashgate 2012

      8 Easterlin, R. A., "The Happiness-Income Paradox Revisited" 107 (107): 22463-22468, 2010

      9 Hicks, J. R., "The Foundations of Welfare Economics" 49 : 696-712, 1939

      10 Kim, Y,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ommunity Wellbeing Index in Korean Metropolitan Cities" 119 (119): 533-558, 2013

      1 김태훈, "커뮤니티웰빙 평가요소로서 지방행정서비스요인의 적합성분석 : 경쟁가설모형들의 신뢰성 및 타당성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8 (28): 81-109, 2014

      2 이승종, "커뮤니티웰빙 지표에 대한 공무원과 전문가의 평가비교연구: AHP 기법의 적용" 한국행정학회 47 (47): 313-337, 2013

      3 기영화, "커뮤니티웰빙 이론개념 구성에 관한 연구-자원(Resource) 영역, 자본(Capital) 요소, 하위지표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26 (26): 243-269, 2014

      4 기영화, "커뮤니티웰빙 연구를 위한 국제지표 분석: 한국적 함의의 도출"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2 (22): 1-35, 2013

      5 서인석, "지방행정서비스와 커뮤니티웰빙 구성요소 간 관계: Kee 모형의 6개 자본요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3 (23): 175-202, 2014

      6 서인석, "지방정부 가치척도로서 주관적 삶의 질 증진과 커뮤니티웰빙 구성요소의 관계: Kee 커뮤니티웰빙 모형의 6자본요인을 적용하여" 한국행정연구원 24 (24): 29-66, 2015

      7 Atkinson, S., "Well-being and Place" Ashgate 2012

      8 Easterlin, R. A., "The Happiness-Income Paradox Revisited" 107 (107): 22463-22468, 2010

      9 Hicks, J. R., "The Foundations of Welfare Economics" 49 : 696-712, 1939

      10 Kim, Y,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ommunity Wellbeing Index in Korean Metropolitan Cities" 119 (119): 533-558, 2013

      11 Morgan, K., "Sustainable Regions: Governance, Innovation and Scale" 12 (12): 871-889, 2004

      12 Perrons, D., "Regional Performance and Inequality: Linking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through a Capabilities Approach" 5 (5): 15-29, 2012

      13 Perrons, D, "Regional Development, Equality and Gender: Moving towards More Inclusive and Socially Sustainable Measures" 34 (34): 483-499, 2013

      14 Tomaney, John, "Region and Place Ⅲ: Well-being" Progress in Human Geography 1-9, 2015

      15 Canzanelli, G, "Overview and Learned Lessons on Local Economic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and Decent Work" International Labour Organisation

      16 Easterlin, R. A., "Nations and Households in Economic Growth" Academic Press 98-125, 1974

      17 Smith, Jan Pieter, "Measuring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ocietal Progress: Overview and Conceptual Approach" Statistics Netherlands 1-106, 2011

      18 Morrison, P., "Local Expressions of Subjective Well-being: The New Zealand Experience" 45 (45): 1039-1058, 2011

      19 Seers, D., "IDS Communication 44" Institute of Development Studies 1969

      20 OECD, "How’s Life in Your Region? Measuring Regional and Local Well-being for Policy Making" OECD 2014

      21 Kahneman, D, "High Income Improves Evaluation of Life but Not Emotional Wellbeing" 107 (107): 16489-16493, 2010

      22 Perrons, D., "Handbook of Local and Regional Development" Routledge 2011

      23 Max-Neef, M., "Economic Growth and Quality of Life: A Threshold Hypothesis" 15 : 115-118, 1995

      24 Sen, A., "Development as Freedom"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25 Kee, Youngwha, "Community Wellbeing: Learning in Communities" Springer Briefs Series 2014

      26 Lee, Seung-Jong, "Community Well-being and Community Development: Conceptions and Applications" Springer 2014

      27 Solow, "A Contribution to the Theory of Economic Growth" 70 (70): 65-94, 195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3-1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 Public Administration Journal -> The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4-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 Public Administration Journal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행정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5 1.75 1.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8 1.39 1.761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