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12주간의 수영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신체조성, 하지근력, 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및 상관관계 = The Effects and Correlations of a 12-Week Swimming Program on Body Composition, Lower Limb Strength, and Balance in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0719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a swimming program on body composition, lower limb muscle strength, and balance in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identify correlations among these variables. The findings will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expanding opportunities for recreational sports and promoting healthy living among this population. Participants were 10 adolescents aged 10-23, diagnosed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r autism spectrum disorders, who were enrolled in a special physical activity program at the Child Development Disability Research Center in Y City, Gyeonggi Province. The swimming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a total of 24 sessions over 12 weeks. Body composition was measured using Inbody570, lower limb strength with IB-LS, and balance with FRA510. Paired t-tests were used to compare outcomes before and after the swimming program, and Cohen's d was applied to evaluate the magnitude of changes in each measuremen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body composition, lower limb strength, and balance.The 12-week swimming program did not result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body composition variables, including weight, skeletal muscle mass, body fat mass, body fat percentage, basal metabolic rate, and abdominal fat percentage (p>0.05). Significant increases were observed in left quadriceps muscle strength (p<0.05), with a trend toward improvement in right quadriceps strength (p<0.10). No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in hamstring flexibility or leg muscle mass (p>0.05). Balance assessment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distance moved per 10 seconds during sensorimotor and proprioceptive testing (p<0.05),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balance variables (p>0.05). Vestibular and somatosensory assessment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minimum value along the X-axis (p<0.05), with no significant changes in other balance parameters (p>0.05). Furthermore, somatosensory function tests, including rapid weight-shifting to targets, weight-shifting along a path, reaction time for rapid foot movements, and maintaining postur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lower limb strength, a very strong correlation between lower limb strength and balance, and a weak correlation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balance. In summary, the 12-week swimming program positively influenced lower limb neuromuscular function, particularly enhancing left quadriceps muscle strength and improving sensorimotor integration, leading to better balance in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duced unstable movements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contributed to overall improvement in balance, highlighting the program's effectiveness in helping adolescents maintain a stable posture without swaying. Therefore, this study elucidates the impact of a swimming program on the physical development and functional performance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roviding essential data to develop effective physical activity programs and health promotion policies tailored for this population.
      Key Words : Swimming program, Developmentally disabled youth, Body composition, lower extremity strength, balance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a swimming program on body composition, lower limb muscle strength, and balance in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identify correlations among these variables. The findings will provide fou...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a swimming program on body composition, lower limb muscle strength, and balance in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identify correlations among these variables. The findings will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expanding opportunities for recreational sports and promoting healthy living among this population. Participants were 10 adolescents aged 10-23, diagnosed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r autism spectrum disorders, who were enrolled in a special physical activity program at the Child Development Disability Research Center in Y City, Gyeonggi Province. The swimming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a total of 24 sessions over 12 weeks. Body composition was measured using Inbody570, lower limb strength with IB-LS, and balance with FRA510. Paired t-tests were used to compare outcomes before and after the swimming program, and Cohen's d was applied to evaluate the magnitude of changes in each measuremen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body composition, lower limb strength, and balance.The 12-week swimming program did not result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body composition variables, including weight, skeletal muscle mass, body fat mass, body fat percentage, basal metabolic rate, and abdominal fat percentage (p>0.05). Significant increases were observed in left quadriceps muscle strength (p<0.05), with a trend toward improvement in right quadriceps strength (p<0.10). No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in hamstring flexibility or leg muscle mass (p>0.05). Balance assessment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distance moved per 10 seconds during sensorimotor and proprioceptive testing (p<0.05),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balance variables (p>0.05). Vestibular and somatosensory assessment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minimum value along the X-axis (p<0.05), with no significant changes in other balance parameters (p>0.05). Furthermore, somatosensory function tests, including rapid weight-shifting to targets, weight-shifting along a path, reaction time for rapid foot movements, and maintaining postur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lower limb strength, a very strong correlation between lower limb strength and balance, and a weak correlation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balance. In summary, the 12-week swimming program positively influenced lower limb neuromuscular function, particularly enhancing left quadriceps muscle strength and improving sensorimotor integration, leading to better balance in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duced unstable movements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contributed to overall improvement in balance, highlighting the program's effectiveness in helping adolescents maintain a stable posture without swaying. Therefore, this study elucidates the impact of a swimming program on the physical development and functional performance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roviding essential data to develop effective physical activity programs and health promotion policies tailored for this population.
      Key Words : Swimming program, Developmentally disabled youth, Body composition, lower extremity strength, bal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2주간의 수영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신체조성, 하지근력, 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및 상관관계 본 연구의 목적은 수영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신체조성, 하지근력, 평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수영 및 수중 신체활동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신체 발달 및 기능수행에 미치는 영향력과 각 변인 간 상관에 대한 결과를 통해 다양한 생활체육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의료기관 진단 결과 지적장애 및 자폐성 장애로 판정 받은 경기도 Y시에 소재한 아동발달장애연구센터의 특수체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10-23세의 발달장애 청소년 10명으로, 12주간 주 2회, 총 24회기 동안 수영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Inbody570(신체조성), IB-LS(하지근력), FRA510(평형성)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 처리 방법은 수영 프로그램 전후를 비교하기 위해 쌍체 비교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Cohen's d를 사용하여 각 측정 항목에서의 변화 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신체조성, 하지근력, 평형성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2주간 수영 프로그램 참여 후 신체조성의 주요 변인인 체중, 골격근량, 체지방 량, 체지방률, 기초대사량, 복부지방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둘째, 하지근력의 주요 변인 중 왼쪽 넙다리네갈레근 신전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했으며(p<0.05), 오른쪽 신전력은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p<0.10). 왼쪽 및 오른쪽 굴곡력, 다리 근육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셋째, 시감각 및 체성감각계를 검사하는 평형성 능력 <검사 1>에서는 10초당 이동 거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했으며(p<0.05), 다른 평형성 변인들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넷째, 전정감각 및 체성신경계을 측정한 <검사 2>에서는 X축 최소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다른 평형성 변인들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다섯째, 체성신경계 검사에서 빠르게 과녁으로 무게 중심 옮기기, 과녁 따라 무게 중심 옮기기, 발 빨리 이동하기 반응시간, 자세 유지 시간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여섯째, 신체조성, 하지근력, 평형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신체조성과 하지근력 사이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하지근력과 평형성 역시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신체조성과 평형성 간의 상관관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12주간의 수영 프로그램은 발달장애 청소년의 근신경계에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켜 하지 넙다리네갈레근의 신전력을 향상시켰고, 감각 기능과 운동 기능의 통합(Sensorimotor Integration) 능력이 개선되어 평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여진다. 특히, 좌측과 우측으로의 불안정한 움직임이 감소 하여 전반적인 평형성이 향상되었으며, 이는 수영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신체 중심 유지 능력을 개선시켜, 좌우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는데 기여 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12주간의 수영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신체 발달 및 기능 수행에 미치는 영향력과 각 변인 간 상관관계를 제시했으며, 이를 통해 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효과적인 체육 프로그램 개발과 건강 증진 정책 수립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12주간의 수영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신체조성, 하지근력, 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및 상관관계 본 연구의 목적은 수영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신체조성, 하지근력, 평형성에 ...

      12주간의 수영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신체조성, 하지근력, 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및 상관관계 본 연구의 목적은 수영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신체조성, 하지근력, 평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수영 및 수중 신체활동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신체 발달 및 기능수행에 미치는 영향력과 각 변인 간 상관에 대한 결과를 통해 다양한 생활체육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의료기관 진단 결과 지적장애 및 자폐성 장애로 판정 받은 경기도 Y시에 소재한 아동발달장애연구센터의 특수체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10-23세의 발달장애 청소년 10명으로, 12주간 주 2회, 총 24회기 동안 수영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Inbody570(신체조성), IB-LS(하지근력), FRA510(평형성)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 처리 방법은 수영 프로그램 전후를 비교하기 위해 쌍체 비교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Cohen's d를 사용하여 각 측정 항목에서의 변화 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신체조성, 하지근력, 평형성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2주간 수영 프로그램 참여 후 신체조성의 주요 변인인 체중, 골격근량, 체지방 량, 체지방률, 기초대사량, 복부지방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둘째, 하지근력의 주요 변인 중 왼쪽 넙다리네갈레근 신전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했으며(p<0.05), 오른쪽 신전력은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p<0.10). 왼쪽 및 오른쪽 굴곡력, 다리 근육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셋째, 시감각 및 체성감각계를 검사하는 평형성 능력 <검사 1>에서는 10초당 이동 거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했으며(p<0.05), 다른 평형성 변인들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넷째, 전정감각 및 체성신경계을 측정한 <검사 2>에서는 X축 최소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다른 평형성 변인들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다섯째, 체성신경계 검사에서 빠르게 과녁으로 무게 중심 옮기기, 과녁 따라 무게 중심 옮기기, 발 빨리 이동하기 반응시간, 자세 유지 시간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여섯째, 신체조성, 하지근력, 평형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신체조성과 하지근력 사이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하지근력과 평형성 역시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신체조성과 평형성 간의 상관관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12주간의 수영 프로그램은 발달장애 청소년의 근신경계에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켜 하지 넙다리네갈레근의 신전력을 향상시켰고, 감각 기능과 운동 기능의 통합(Sensorimotor Integration) 능력이 개선되어 평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여진다. 특히, 좌측과 우측으로의 불안정한 움직임이 감소 하여 전반적인 평형성이 향상되었으며, 이는 수영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신체 중심 유지 능력을 개선시켜, 좌우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는데 기여 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12주간의 수영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신체 발달 및 기능 수행에 미치는 영향력과 각 변인 간 상관관계를 제시했으며, 이를 통해 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효과적인 체육 프로그램 개발과 건강 증진 정책 수립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i
      • 목 차 iii
      • 표 목 차 vi
      • 그림목차 vii
      • 1. 서론 1
      • 국문초록 i
      • 목 차 iii
      • 표 목 차 vi
      • 그림목차 vii
      • 1.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1
      • 1.2. 연구 목적 5
      • 1.3. 연구 문제 5
      • 1.4. 연구 가설 5
      • 2. 이론적 배경 6
      • 2.1. 발달장애의 개념 및 특성 6
      • 2.1.1. 발달장애(Developmental Disability)의 정의 및 분류 6
      • 2.1.2. 발달장애의 신체 기능 및 운동 특성 8
      • 2.2. 발달장애인의 운동 프로그램 적용과 필요성 9
      • 2.2.1. 발달장애인의 스포츠 및 생활체육 참여의 필요성 9
      • 2.2.2. 장애인 수영의 특성 10
      • 2.3. 발달장애인의 수영 운동 효과 11
      • 2.3.1. 수영 운동이 발달장애인의 신체조성에 미치는 효과 11
      • 2.3.2. 수영 운동이 발달장애인의 하지근력에 미치는 효과 12
      • 2.3.3. 수영 운동이 발달장애인의 평형성에 미치는 효과 13
      • 3. 연구방법 16
      • 3.1. 연구대상 16
      • 3.1.1. 연구 대상자의 모집 16
      • 3.1.2. 연구 대상자의 기본 정보 및 신체적 특성 17
      • 3.2. 연구계획 18
      • 3.3. 실험설계 20
      • 3.3.1. 수영 프로그램의 구성 20
      • 3.3.2. 수영 프로그램의 적용 21
      • 3.3.3. 수영 프로그램의 내용과 방법 22
      • 3.4. 측정도구 및 측정방법 24
      • 3.4.1. 측정도구 24
      • 3.4.2. 측정방법 25
      • 3.5. 자료처리 32
      • 4. 연구결과 34
      • 4.1. 신체조성 34
      • 4.2. 하지근력 38
      • 4.3. 평형성 41
      • 4.3.1. 시감각 및 체성신경계 41
      • 4.3.2. 전정감각 및 체성신경계 47
      • 4.3.3. 체성신경계의 통합능력검사 52
      • 4.3.4. 신체조성-하지근력 상관관계 56
      • 4.3.5. 하지근력-평형성 상관관계 58
      • 4.3.6. 신체조성-평형성 상관관계 61
      • 5. 논의 62
      • 5.1. 수영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신체조성에 미치는 효과 62
      • 5.2. 수영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하지근력에 미치는 효과 65
      • 5.3. 수영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평형성에 미치는 효과 66
      • 5.4. 수영 프로그램과 발달장애청소년의 신체조성, 하지근력, 평형성의 상관관계 70
      • 5.5. 연구의 제한점 73
      • 6. 결론 및 제언 74
      • 6.1. 결론 74
      • 6.2. 제언 75
      • 참고문헌 78
      • 1. 국내논저 78
      • 2. 외국논저 83
      • ABSTRACT 85
      • 부록 88
      • 1. 연구 참여 동의서 88
      • 2. 용어의 정리 89
      • 3. 연구대상자 개별 데이터 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