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유섭과 최순우의 한국미 담론과 미학 비교 = A Comparative Analysis of Discourse on the Beauty of Korea and Esthetics of Yuseop Koh and Soonwoo Cho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287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미술문화 전반에서 한국미의 특색을 규명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므로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그런데 지금까지 한국미의 특색으로 규정된 용어들은 대체...

      한국 미술문화 전반에서 한국미의 특색을 규명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므로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그런데 지금까지 한국미의 특색으로 규정된 용어들은 대체로 고유섭과 최순우의 담론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다. 그만큼 한국미를 연구하는 데는 두 사람이 영향이 큰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유섭과 최순우가 어떤 가치와 의미를 가지고 한국미의 특색을 도출하고 담론을 이끌어내었는지 두 견해를 비교 분석하였다. 두 사람의 견해를 살펴보면 사용한 용어는 비록 다르지만 본질적인 의미는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한 의미에서 고유섭과 최순우의 견해가 유사한 용어들을 대입시켜 그 사례를 분석하고 한국미의 특색을 좀 더 정확하게 이해시키고자 하였다. 한국미의 특색에 대해 고유섭은 무기교의 기교, 무계획의 계획 , 민예적인 것 , 비정제성 , 무관심성 , 구수한 큰 맛 , 기술적인 면의 상감기술 을 꼽았으며, 최순우는 같은 맥락으로 은근의 미 , 담조의 미 , 고요와 익살의 미 , 순리와 분수의 미 , 백색의 미 , 청자비색, 곡선, 상감기법의 독자적인 아름다움 을 꼽았다. 하지만 두 사람이 말한 한국미의 특색은 각각의 특색이 개별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라 서로 교집합을 이루며 결국 특색 하나하나가 합쳐져서 한국미의 특색으로 귀결됨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thought that because it is a very important matter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auty of Korea, it has been studied by many scholars. However, those terms which are defined as the characteristics so far have never been contrary from the...

      It is thought that because it is a very important matter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auty of Korea, it has been studied by many scholars. However, those terms which are defined as the characteristics so far have never been contrary from the discourse of Yuseop Koh and Soonwoo Choi on the whole. Therefore, the present research has compared and analyzed the two s opinions to understand what value and meaning they have had in order to draw a conclus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auty of Korea. It is shown that we can realize after examining their opinions that the terms they used are different but that essentially they are not so different in meaning. In that sense, the writer tried to mak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auty of Korea more precisely understood by substituting those terms in which they have the similar opinions. Concer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auty of Korea, Yuseop Koh pointed out technique with no techniques, planning with no planning , something that is folk art , no refining , indifference , delicate big flavor , and inlay techniques of technical aspect while Soonwoo Choi in the same context picked the beauty of secrecy , the beauty of serenity , the beauty of quietness and humor , the beauty of rationalism and discretion , the beauty of white , and the unique beauty of celadon s jade green color, its curve, and inlay . It is revealed, however, that what they talked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auty of Korea was, each characteristic did not mean individually, but that they compose the intersection of two sets and eventually each of the characteristics are gathered up, resulting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auty of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고유섭과 최순우의 미학사상 Ⅲ. 고유섭과 최순우의 한국미 담론과 미학 Ⅳ. 결론
      • Ⅰ. 서론 Ⅱ. 고유섭과 최순우의 미학사상 Ⅲ. 고유섭과 최순우의 한국미 담론과 미학 Ⅳ.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휘준, "한국회화의 전통" 문예출판사 44-45, 1988

      2 최순우, "한국적 현대적인 것" 중앙일보사 20 : 44-51, 1981

      3 최순우, "한국의 미, 4" 중앙일보사 1983

      4 김임수, "한국미술의 본질 규정과 미학적 접근의 문제 : 유종열과 고유섭을 중심으로" 183-204, 1988

      5 문명대, "한국미술사의 특수 성격론" 일조각 (여름) : 348-, 1975

      6 고유섭, "한국미술사급미학논고" 통문관 1963

      7 고유섭, "한국미술문화사논총" 통문관 1983

      8 고유섭, "한국미술문화사논총" 통문관 1966

      9 문명대, "한국 미술사학의 이론과 방법" 열화당 1978

      10 최순우, "최순우전집, 1~5" 학고재 1992

      1 안휘준, "한국회화의 전통" 문예출판사 44-45, 1988

      2 최순우, "한국적 현대적인 것" 중앙일보사 20 : 44-51, 1981

      3 최순우, "한국의 미, 4" 중앙일보사 1983

      4 김임수, "한국미술의 본질 규정과 미학적 접근의 문제 : 유종열과 고유섭을 중심으로" 183-204, 1988

      5 문명대, "한국미술사의 특수 성격론" 일조각 (여름) : 348-, 1975

      6 고유섭, "한국미술사급미학논고" 통문관 1963

      7 고유섭, "한국미술문화사논총" 통문관 1983

      8 고유섭, "한국미술문화사논총" 통문관 1966

      9 문명대, "한국 미술사학의 이론과 방법" 열화당 1978

      10 최순우, "최순우전집, 1~5" 학고재 1992

      11 고유섭, "조선 고대미술의 특색과 그 전승문제" 조선춘추사 2 (2): 168-179, 1941

      12 유홍준, "정직한 관객" 학고재 1996

      13 오귀스트 콩트, "논증주의 서설" 한길사 2001

      14 야나기무네요시, "공예문화" 신구문화사 1966

      15 고유섭, "고유섭전집(3)" 통문관 1929

      16 오병남, "고유섭의 미학사상에 접근하는 하나의 자세" 한국미학회 42 : 203-240, 2005

      17 이인범, "고유섭 해석의 제 문제" 한국미학예술학회 22 : 221-246, 2005

      18 김임수, "高裕燮 연구" 弘益大學校 大學院 1991

      19 朴來卿, "韓國 美術 造形觀의 藝術 哲學的 硏究 : 高裕燮과 柳宗悅의 史觀比較를 중심으로"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3

      20 老子, "道德經, 38章"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미술교육학회논총 -> 미술교육논총 KCI등재후보
      2005-05-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미술교육학회논총 -> 미술교육논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5 0.74 0.916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