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규성, "한국 근대 생(生)철학의 조류와 구조"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9 (19): 19-53, 2008
2 이돈화, "천도교 창건사" 경인문화사 1982
3 리쩌허우, "중국근대사상사론" 한길사 2005
4 칼 마르크스, "정치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In 칼 맑스/프리드리히 엥겔스 저작선집 2권" 박종철출판사 1993
5 정인보, "양명학 연론" 계명대학교 출판부 2004
6 변동현, "숨은 애국 선열, In 改革의 理論과 獨立運動 (8)" 순국선열 笑來 金中建先生 2011
7 림 연, "소래학에 대한 중국에서의 연구 현황-연변사회의 문단과 사학계를 중심으로-, In 改革의 理論과 獨立運動 (8)" 순국선열 笑來 金中建先生 記念事業會 2011
8 서굉일, "소래선생의 농주의와 주의촌 건설, In 改革의 理論과 獨立運動 (7)" 순국선열 笑來 金中建先生 記念事業會 2009
9 김동환, "새바람사건의 전말과 당시의 언론보도 -일본계 신문『 間島新報』 記事를 중심으로-, In 改革의 理論과 獨立運動 (8)" 순국선열 笑來 金中建先生 記念事業會 2011
10 김지용, "새로 펴낸 소리집 3집 수상록 평론" 순국선열 소래 김중건선생 기념사업회 2009
1 이규성, "한국 근대 생(生)철학의 조류와 구조"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9 (19): 19-53, 2008
2 이돈화, "천도교 창건사" 경인문화사 1982
3 리쩌허우, "중국근대사상사론" 한길사 2005
4 칼 마르크스, "정치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In 칼 맑스/프리드리히 엥겔스 저작선집 2권" 박종철출판사 1993
5 정인보, "양명학 연론" 계명대학교 출판부 2004
6 변동현, "숨은 애국 선열, In 改革의 理論과 獨立運動 (8)" 순국선열 笑來 金中建先生 2011
7 림 연, "소래학에 대한 중국에서의 연구 현황-연변사회의 문단과 사학계를 중심으로-, In 改革의 理論과 獨立運動 (8)" 순국선열 笑來 金中建先生 記念事業會 2011
8 서굉일, "소래선생의 농주의와 주의촌 건설, In 改革의 理論과 獨立運動 (7)" 순국선열 笑來 金中建先生 記念事業會 2009
9 김동환, "새바람사건의 전말과 당시의 언론보도 -일본계 신문『 間島新報』 記事를 중심으로-, In 改革의 理論과 獨立運動 (8)" 순국선열 笑來 金中建先生 記念事業會 2011
10 김지용, "새로 펴낸 소리집 3집 수상록 평론" 순국선열 소래 김중건선생 기념사업회 2009
11 김지용, "새로 펴낸 소래집』 2집, 철학과 주의 사상, 창가집" 순국선열 소래 김중건선생 기념사업회 2009
12 김지용, "새로 펴낸 소래집』 1집, 제가의 평전과 저자의 주의 사상" 순국선열 소래 김중건선생 기념사업회 2009
13 김지용, "독립운동가 笑來 金中建선생이 원종사상을 실현하는 새 주의촌 건설과 그 실상, In 改革의 理論과 獨立運動 (5)" 순국선열 笑來 金中建先生 記念事業會 2005
14 전동현, "대한제국시기 중국 양계초를 통한 근대적 민권개념의 수용, In 근대계몽기 지식개념의 수용과 그 변용"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소명출판 2004
15 칼 마르크스, "꼭 읽어야 할 인문고전 서양편09 마르크스 선집" 타임기획 2006
16 함동주, "근대적 한국상의 창출과 제국지배, In 근대계몽기 지식의 굴절과 현실적 심화"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소명출판 2007
17 고유경, "근대계몽기 한국의 독일 인식, In 근대계몽기 지식의 굴절과 현실적 심화"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소명출판 2007
18 崔峰龍, "笑來先生의 元宗思想과 宗敎觀, In 改革의 理論과 獨立運動 (5)" 순국선열 笑來 金中建先生 記念事業會 2005
19 이길연, "笑來 金中建 先生의 世界 認識과 文學的 形象化, In 改革의 理論과 獨立運動 (4)" 殉國先烈 笑來 金中建先生 記念事業會 2004
20 김지용, "笑來 金中建선생의 元宗思想과 間島에서의 主義村 건설과정, In 改革의 理論과 獨立運動 (6)" 순국선열 笑來 金中建先生 記念事業會 2007
21 김동환, "極元哲學에 나타나는 韓國的 思惟, In 改革의 理論과 獨立運動 (7)" 순국선열 笑來 金中建先生 記念事業會 2009
22 길진숙, "『독립신문』 『 매일신문』에 수용된 ‘문명/야만’ 담론의 의미 층위, In 근대계몽기 지식 개념의 수용과 그 변용"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소명출판 2004
23 김지용, "《 ‘소래학’을 정립하면서》 소래선생의 우주관과 진화론 「- 천기대경」「 대종원부경」을 중심으로-」"
24 서굉일, "2·1결의단」의 독립운동사적 의의, In 改革의 理論과 獨立運動 (8)" 순국선열 笑來 金中建先生 記念事業會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