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래 김중건의 삶의 여정과 사회개혁 사상- 동서교섭과 천도교를 중심으로 = Solae Kim Junggon’s Life Journey and His Idea of Social Reformation -- Focused on EastWest Exchanges and Chondoky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224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 study on the life and thoughts of Solae(pen name) Kim Junggon was the activist for the Korean Independence as well as a social Darwinist and socialist in his ideological aspects when I examine from the viewpoint of exchange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Solae was Korean intellectual who accepted modern ideas in the West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this study, I have traced the path how Solae tried to apply those ideas to the colonial realities, and advance to the great future of the nation.
      Solae, who used to be a Confucian scholar and Chondokyo follower, accepted modern sciences, founded Wonjong, formulated a system of ideas, and lived intensely as an activist for the Independence, educator, and man of religious faith until his death for the nation. Advocating solipsism which sees each individual being as the most precious and respectable, Solae put up Wonjong as the idea of which principle belief is 'eating' and 'being a person'.
      While fighting against Japanese army, he tried to build up rural community and to practice life in rural communities and humanitarianism with the realization of coproduction and co-share. Solae dreamed an ideal society that is, a unity in equality with neighboring lives-not a unity within human being only. Based on his idea of unity society, this study concludes that if we can combine Solae's ideas with ecological point of view, and then develop into new direction, it can be a great help save lives on the earth. Most of all, just like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intellectuals had a strong nationalistic concerns, he also stressed the importance of ethics for selfsacrifice and public interests relative to the value of individuals, and he gave priority to the value of community. Thus, while the modernism in the West started out with the awakening to the value of individuals, the modernism in Korea did with the virtue,universally public interests, and the significance of community.
      As such, this study concludes that Solae harmonized self-love by individual being and universal justice with his emphasis on the significance of individual being and the awakening of modern individual being.
      번역하기

      This is a study on the life and thoughts of Solae(pen name) Kim Junggon was the activist for the Korean Independence as well as a social Darwinist and socialist in his ideological aspects when I examine from the viewpoint of exchange between the East ...

      This is a study on the life and thoughts of Solae(pen name) Kim Junggon was the activist for the Korean Independence as well as a social Darwinist and socialist in his ideological aspects when I examine from the viewpoint of exchange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Solae was Korean intellectual who accepted modern ideas in the West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this study, I have traced the path how Solae tried to apply those ideas to the colonial realities, and advance to the great future of the nation.
      Solae, who used to be a Confucian scholar and Chondokyo follower, accepted modern sciences, founded Wonjong, formulated a system of ideas, and lived intensely as an activist for the Independence, educator, and man of religious faith until his death for the nation. Advocating solipsism which sees each individual being as the most precious and respectable, Solae put up Wonjong as the idea of which principle belief is 'eating' and 'being a person'.
      While fighting against Japanese army, he tried to build up rural community and to practice life in rural communities and humanitarianism with the realization of coproduction and co-share. Solae dreamed an ideal society that is, a unity in equality with neighboring lives-not a unity within human being only. Based on his idea of unity society, this study concludes that if we can combine Solae's ideas with ecological point of view, and then develop into new direction, it can be a great help save lives on the earth. Most of all, just like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intellectuals had a strong nationalistic concerns, he also stressed the importance of ethics for selfsacrifice and public interests relative to the value of individuals, and he gave priority to the value of community. Thus, while the modernism in the West started out with the awakening to the value of individuals, the modernism in Korea did with the virtue,universally public interests, and the significance of community.
      As such, this study concludes that Solae harmonized self-love by individual being and universal justice with his emphasis on the significance of individual being and the awakening of modern individual be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사상적인 측면에서 사회진화론자이며, 사회주의자이며, 무정부주의자였던 독립운동가 소래 김중건(笑來 金中建; 1889-1933)의 삶과 사상을 동서교섭의관점에서 탐구하였다.
      서구 근대사상을 수용했던 20세기 초 한국의 지식인, 김중건이 어떻게 그 사상을식민지 현실에 적용하고 더 큰 미래를 향해 나아가려고 했는지 그 경로를 추적해 보았다. 유학자에서 신학문을 받아들이고, 천도교에서 원종을 창건하고, 독립운동가로, 교육자로, 종교인으로 깊이 있는 사상체계를 구축하고 치열한 삶을 살다가 순국한 소래는 개개인, 곧 개체가 가장 소중하고 존중되어야 한다는 유아론(唯我論)을내세우면서, ‘먹는 일’과 ‘사람 됨’이 으뜸이 되는 주의가 바로 원종이라 했다.
      소래는 만주(滿洲)에서 20여 년간 재만 일본군과 싸우면서 이상적 농촌공동체를건설하여 공동 생산과 공동 분배가 이루어지는 농촌주의와 인도주의를 실천하려했다 .
      소래는 인간 평등의 대동사회가 아닌 인간과 이웃 생명들이 함께 평등한 대동을이루는 이상 사회를 꿈꾸었다는 데 주목하고 소래의 이러한 사상을 생태론적 견지에서 결합시켜 새로운 방향으로 발전시킨다면 지구의 생명을 살리는 데 큰 도움이 되리라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한국의 일 세대 지식인들은 민족주의적 관심에 지배된 측면이 있기에 자기희생의 도덕을 강조하고 개개인의 가치보다는 공익을 생각하고 공동체의 가치를우선하였다. 따라서 서구의 근대가 개인의 가치의 자각에서 출발한다면 한국의 근대는 공효(公效)와 보편적 공리(公理)와 공동체의 가치에서 출발한다. 그러나 소래는 개체의 의의와 근대적 개체의 자각을 강조함으로써 개체의 자기애와 보편적 정의를 조화시키고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사상적인 측면에서 사회진화론자이며, 사회주의자이며, 무정부주의자였던 독립운동가 소래 김중건(笑來 金中建; 1889-1933)의 삶과 사상을 동서교섭의관점에서 탐구하였다. 서구 근...

      이 논문은 사상적인 측면에서 사회진화론자이며, 사회주의자이며, 무정부주의자였던 독립운동가 소래 김중건(笑來 金中建; 1889-1933)의 삶과 사상을 동서교섭의관점에서 탐구하였다.
      서구 근대사상을 수용했던 20세기 초 한국의 지식인, 김중건이 어떻게 그 사상을식민지 현실에 적용하고 더 큰 미래를 향해 나아가려고 했는지 그 경로를 추적해 보았다. 유학자에서 신학문을 받아들이고, 천도교에서 원종을 창건하고, 독립운동가로, 교육자로, 종교인으로 깊이 있는 사상체계를 구축하고 치열한 삶을 살다가 순국한 소래는 개개인, 곧 개체가 가장 소중하고 존중되어야 한다는 유아론(唯我論)을내세우면서, ‘먹는 일’과 ‘사람 됨’이 으뜸이 되는 주의가 바로 원종이라 했다.
      소래는 만주(滿洲)에서 20여 년간 재만 일본군과 싸우면서 이상적 농촌공동체를건설하여 공동 생산과 공동 분배가 이루어지는 농촌주의와 인도주의를 실천하려했다 .
      소래는 인간 평등의 대동사회가 아닌 인간과 이웃 생명들이 함께 평등한 대동을이루는 이상 사회를 꿈꾸었다는 데 주목하고 소래의 이러한 사상을 생태론적 견지에서 결합시켜 새로운 방향으로 발전시킨다면 지구의 생명을 살리는 데 큰 도움이 되리라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한국의 일 세대 지식인들은 민족주의적 관심에 지배된 측면이 있기에 자기희생의 도덕을 강조하고 개개인의 가치보다는 공익을 생각하고 공동체의 가치를우선하였다. 따라서 서구의 근대가 개인의 가치의 자각에서 출발한다면 한국의 근대는 공효(公效)와 보편적 공리(公理)와 공동체의 가치에서 출발한다. 그러나 소래는 개체의 의의와 근대적 개체의 자각을 강조함으로써 개체의 자기애와 보편적 정의를 조화시키고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규성, "한국 근대 생(生)철학의 조류와 구조"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9 (19): 19-53, 2008

      2 이돈화, "천도교 창건사" 경인문화사 1982

      3 리쩌허우, "중국근대사상사론" 한길사 2005

      4 칼 마르크스, "정치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In 칼 맑스/프리드리히 엥겔스 저작선집 2권" 박종철출판사 1993

      5 정인보, "양명학 연론" 계명대학교 출판부 2004

      6 변동현, "숨은 애국 선열, In 改革의 理論과 獨立運動 (8)" 순국선열 笑來 金中建先生 2011

      7 림 연, "소래학에 대한 중국에서의 연구 현황-연변사회의 문단과 사학계를 중심으로-, In 改革의 理論과 獨立運動 (8)" 순국선열 笑來 金中建先生 記念事業會 2011

      8 서굉일, "소래선생의 농주의와 주의촌 건설, In 改革의 理論과 獨立運動 (7)" 순국선열 笑來 金中建先生 記念事業會 2009

      9 김동환, "새바람사건의 전말과 당시의 언론보도 -일본계 신문『 間島新報』 記事를 중심으로-, In 改革의 理論과 獨立運動 (8)" 순국선열 笑來 金中建先生 記念事業會 2011

      10 김지용, "새로 펴낸 소리집 3집 수상록 평론" 순국선열 소래 김중건선생 기념사업회 2009

      1 이규성, "한국 근대 생(生)철학의 조류와 구조"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9 (19): 19-53, 2008

      2 이돈화, "천도교 창건사" 경인문화사 1982

      3 리쩌허우, "중국근대사상사론" 한길사 2005

      4 칼 마르크스, "정치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In 칼 맑스/프리드리히 엥겔스 저작선집 2권" 박종철출판사 1993

      5 정인보, "양명학 연론" 계명대학교 출판부 2004

      6 변동현, "숨은 애국 선열, In 改革의 理論과 獨立運動 (8)" 순국선열 笑來 金中建先生 2011

      7 림 연, "소래학에 대한 중국에서의 연구 현황-연변사회의 문단과 사학계를 중심으로-, In 改革의 理論과 獨立運動 (8)" 순국선열 笑來 金中建先生 記念事業會 2011

      8 서굉일, "소래선생의 농주의와 주의촌 건설, In 改革의 理論과 獨立運動 (7)" 순국선열 笑來 金中建先生 記念事業會 2009

      9 김동환, "새바람사건의 전말과 당시의 언론보도 -일본계 신문『 間島新報』 記事를 중심으로-, In 改革의 理論과 獨立運動 (8)" 순국선열 笑來 金中建先生 記念事業會 2011

      10 김지용, "새로 펴낸 소리집 3집 수상록 평론" 순국선열 소래 김중건선생 기념사업회 2009

      11 김지용, "새로 펴낸 소래집』 2집, 철학과 주의 사상, 창가집" 순국선열 소래 김중건선생 기념사업회 2009

      12 김지용, "새로 펴낸 소래집』 1집, 제가의 평전과 저자의 주의 사상" 순국선열 소래 김중건선생 기념사업회 2009

      13 김지용, "독립운동가 笑來 金中建선생이 원종사상을 실현하는 새 주의촌 건설과 그 실상, In 改革의 理論과 獨立運動 (5)" 순국선열 笑來 金中建先生 記念事業會 2005

      14 전동현, "대한제국시기 중국 양계초를 통한 근대적 민권개념의 수용, In 근대계몽기 지식개념의 수용과 그 변용"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소명출판 2004

      15 칼 마르크스, "꼭 읽어야 할 인문고전 서양편09 마르크스 선집" 타임기획 2006

      16 함동주, "근대적 한국상의 창출과 제국지배, In 근대계몽기 지식의 굴절과 현실적 심화"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소명출판 2007

      17 고유경, "근대계몽기 한국의 독일 인식, In 근대계몽기 지식의 굴절과 현실적 심화"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소명출판 2007

      18 崔峰龍, "笑來先生의 元宗思想과 宗敎觀, In 改革의 理論과 獨立運動 (5)" 순국선열 笑來 金中建先生 記念事業會 2005

      19 이길연, "笑來 金中建 先生의 世界 認識과 文學的 形象化, In 改革의 理論과 獨立運動 (4)" 殉國先烈 笑來 金中建先生 記念事業會 2004

      20 김지용, "笑來 金中建선생의 元宗思想과 間島에서의 主義村 건설과정, In 改革의 理論과 獨立運動 (6)" 순국선열 笑來 金中建先生 記念事業會 2007

      21 김동환, "極元哲學에 나타나는 韓國的 思惟, In 改革의 理論과 獨立運動 (7)" 순국선열 笑來 金中建先生 記念事業會 2009

      22 길진숙, "『독립신문』 『 매일신문』에 수용된 ‘문명/야만’ 담론의 의미 층위, In 근대계몽기 지식 개념의 수용과 그 변용"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소명출판 2004

      23 김지용, "《 ‘소래학’을 정립하면서》 소래선생의 우주관과 진화론 「- 천기대경」「 대종원부경」을 중심으로-」"

      24 서굉일, "2·1결의단」의 독립운동사적 의의, In 改革의 理論과 獨立運動 (8)" 순국선열 笑來 金中建先生 記念事業會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Donghak Studies -> The Korea Journal of Donghak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5 0.797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