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화두참구의 두 가지 방법과 漢岩禪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6629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간화선은 大慧宗杲(1089∼1163)에 의해 완성⋅체계화 되었다. 대혜는 “망 념이 일어날 때는 오로지 이 ‘無’라고 하는 한 글자를 참구하라(妄念起時, 但 舉箇無字).”, “조주가 ‘無’라고 ...

      간화선은 大慧宗杲(1089∼1163)에 의해 완성⋅체계화 되었다. 대혜는 “망 념이 일어날 때는 오로지 이 ‘無’라고 하는 한 글자를 참구하라(妄念起時, 但 舉箇無字).”, “조주가 ‘無’라고 했으니, 이 ‘無’라고 하는 한 글자는 곧 허다한 惡知見)과 惡覺을 꺾어 버리는 도구이다.”라고 하며 단순히 無字만을 참구하 라고 강조하였다. 이것을 ‘單提參句’방법, 또는 ‘單提無字參句’방법이라고 한 다. 그런데 약 1세기 반 후 元代에 이르러 皖山正凝과 蒙山德異(1231∼1308?) 에 의하여 수정된 새로운 참구법이라고 할 수 있는 全提參意방법이 제시되 었다. 완산과 몽산은 疑團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일체 함령은 모두 불성을 갖고 있는데 어째서 조주는 ‘無’라고 했는지 그 뜻을 참구해야 한다(一切含 靈, 皆有佛性, 趙州因甚道無. 意作麼生).”라고 하여, 대혜종고와는 다른 방식 을 제시했다. 몽산의 全提參意방법은 우리나라에는 고려 후기에 들어와 조선, 근현대를 통하여 대혜의 單提參句방식을 제치고 주요 간화방법으로 정착되었다. 백용 성⋅경허⋅만공⋅전강⋅성철 등 선승들은 몽산의 ‘趙州因甚道無’를 무자화두 참구방법으로 수용⋅권유했다. 그러나 간화선을 대성시킨 대혜선사는 그런 방식으로 말한 적이 없다. 보 조지눌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지눌은 “화두를 참구하는 데에는 參意와 參句 라는 두 가지 방식이 있는데, 요즘(보조 당시) 參句하여 깨닫는 사람은 매우 드물고, 거의가 參意방법을 택하고 있다.”라고 하며 參意방법을 비판했다. 그 는 參意보다는 參句로 공부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參意는 死句이고 參句는 活句라고 규정했다. 근대의 선승 漢岩重遠(1876∼1951)은 몽산의 全提參意방식은 수용하지 않 았다. 대신 대혜종고의 單提參句방식을 수용했다. 한암은 대혜종고와 같이 ‘無字를 참구만 하라’는 식으로 말하고 있을 뿐, 몽산방식인 ‘어째서 조주가 無라고 했는지를 참구하라(趙州因甚道無)’는 논조로는 말한 적이 없다. 또 몽 산이 깨달음의 척도로 삼았던 ‘動靜一如’, ‘夢中一如’, ‘寤寐一如’에 대해서도 일체 언급한 적이 없다. 한암은 몽산의 간화방법을 택하지 않았다. 그 이유 는 대혜의 단제방법 속에는 이미 疑團이 형성되고 있어서 몽산의 參意방법을 택할 필요가 없었던 것이고 또 몽산의 參意방법은 死句에 가깝기 때문에 수용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anhwa Seon(看話禪) was completed and organized by Daehye Jong'go (大慧宗杲, 1089∼1163). Daehye simply emphasized on only a letter, ‘Mu (無)', saying "when a delusion arises, only focus on a letter, ‘Mu (無)’(Mangnyeomgisi Dangeogaemu...

      Ganhwa Seon(看話禪) was completed and organized by Daehye Jong'go (大慧宗杲, 1089∼1163). Daehye simply emphasized on only a letter, ‘Mu (無)', saying "when a delusion arises, only focus on a letter, ‘Mu (無)’(Mangnyeomgisi Dangeogaemuja(妄念起時但舉箇無字)).”, “Because Joju(趙州) said ‘Mu(無)’, this letter ‘Mu(無)’ is the tool to cut down many bad short views and bad enlightenments.” This is called, the way of Danjaechamgu(單提參句) or the way of Danjaemujachamgu(單提無字參句). But, after a century and a half in Yuan Dynasty(元代), Wansan Jeongeung(皖山正凝) and Mongsan Doekiee(蒙山德異, 1231∼1308?) suggested a new meditation method, so called, Jeonjechameui(全提參意). Wansan(皖山) and Mongsan(蒙山) showed another way from Daehye Jong'go(大慧宗杲), saying “all the sentient beings had Buddhata(佛性), but we should try to understand the reason why Joju said ‘Mu (無)’(Iljeolhamryeong, Gaeyubulseong, Jojuinsimdomu. Euijakmasaeng(一切 含靈, 皆有佛性, 趙州因甚道無. 意作麼生)).” to form a doubt, Euidan(疑團). In Korea, Mongsan's Jeonjechameui(全提參意) method was settled as the major Ganhwa method beating out Daehye's Danjaechamgu(單提參句) method through the times of Joseon to the modern times since its inflow in the late of Goryeo. Seon Masters, Baek Yongseong, Gyeongheo, Mangong, Jeongang, and Seongcheol etc positively recommended to accept Mongsan's ‘‘Jojuinsimdomu(趙州因甚道無)’ as the meditation method with the Whadu of ‘Mu(無)’ letter. Especially in the ‘how to study Hwadu’, Seon Master, Seongcheol emphasized ‘Jojuinsimdomu(趙州因甚道無)’, Mongsan's Jeonje(全提) method, saying “Joju said Mu(無), why did he say Mu(無)? Doing like this is the basis to do Hwadu." and also “if you just say ‘Mu(無)∼’ or just ‘Masamgeun', it is a wrong way to do Hwadu.” But Seon Master, Daehye who brought Ganhwa Seon to a big success haven't said like the way. Bojo Jinul was also same. Especially Jinul criticized the chameui(參意) method saying “there are 2 kinds of methods, Chameui(參意) and Chamgu(參句) when it comes to do Hwadu, recently(at the time when Bojo lived) there are few people who do meditation with it, most of practitioners choose the Chameui(參意) method which is only focusing on clarifying meaning of Hwadu.” He insisted that we should practice with Chamgu(參句), not Chameui(參意), and defined that Chameui(參意) was Sagu(死句), and Chamgu(參句) was Hwalgu(活句). Seon Master, Hanam Jungwon(1876∼1951) in the modern times didn't accept Mongsan's Jeonjechameui(全提參意) method. But he accepted Daehye Jong'go's Danjaechamgu(單提參句) method. Hanam just said ‘Meditate with only a letter, Mu(無)' like Daehye Jong'go, he never had said in the tone of Mongsan's method, ‘Meditate why Joju said Mu(Jojuinsimdomu(趙州因甚道無))'. And also, he never mentioned anything about ‘Dongjeongilyeo(動靜一如)’, ‘Mongjungilyeo(夢中一如)’, ‘Omaeilyeo(寤寐一如)’ that Mongsan considered as the yardstick of enlightenment. Hanam didn't select Mongsan's Ganhwa method. The reason seems that Mongsan's chameui(參意) method was close to Sagu (死句), so he didn't accept i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글요약
      • Ⅰ. 서론
      • Ⅱ. 간화방법(화두참구법)의 두 갈래
      • 1. 대혜종고의 간화방법-單提參句
      • 2. 몽산덕이의 간화방법 - 全提參意
      • 한글요약
      • Ⅰ. 서론
      • Ⅱ. 간화방법(화두참구법)의 두 갈래
      • 1. 대혜종고의 간화방법-單提參句
      • 2. 몽산덕이의 간화방법 - 全提參意
      • Ⅲ. 몽산의 대혜방법 비판
      • Ⅳ. 대혜⋅몽산 간화법의 한국 전래와 수용
      • 1. 대혜방법의 전래와 수용
      • 2. 몽산방법의 전래와 수용
      • Ⅴ. 漢岩禪의 간화방법 - 單提參句(대혜)와 全提參意(몽산) -
      • Ⅵ. 한암의 화두참구법--중도
      • Ⅶ. 맺는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인경, "화엄교학과 간화선의 만남" 명상상담연구원 2010

      2 성철스님, "화두 공부하는 법" 해인사출판부 2004

      3 김광식, "한암의 종조관과 도의국사" 3 : 2009

      4 윤창화, "한암의 자전적 구도기 일생패궐" 1 : 2006

      5 고영섭, "한암의 일발선" 2 : 2007

      6 변희욱, "한암의 격외관문과 간화" 4 : 2011

      7 김종진, "한암선사의 참선곡" 2 : 2007

      8 신규탁, "한암선사의 승가오칙과 조계종의 신행" 3 : 2009

      9 종범, "한암선사의 선사상" 1 : 2006

      10 윤창화, "한암선사의 서간문 고찰" 2 : 2007

      1 인경, "화엄교학과 간화선의 만남" 명상상담연구원 2010

      2 성철스님, "화두 공부하는 법" 해인사출판부 2004

      3 김광식, "한암의 종조관과 도의국사" 3 : 2009

      4 윤창화, "한암의 자전적 구도기 일생패궐" 1 : 2006

      5 고영섭, "한암의 일발선" 2 : 2007

      6 변희욱, "한암의 격외관문과 간화" 4 : 2011

      7 김종진, "한암선사의 참선곡" 2 : 2007

      8 신규탁, "한암선사의 승가오칙과 조계종의 신행" 3 : 2009

      9 종범, "한암선사의 선사상" 1 : 2006

      10 윤창화, "한암선사의 서간문 고찰" 2 : 2007

      11 김두종, "한국고인쇄기술사" 탐구당 1974

      12 "정본 한암일발록 상권" 오대산 월정사 2010

      13 정성본, "보조지눌과 육조단경" (3) : 2002

      14 보조지눌, "보조법어, 간화결의논"

      15 원오극근, "벽암록"

      16 박재현, "방한암의 선적(禪的) 지향점과 역할 인식에 대한 연구" 철학사상연구소 (23) : 2006

      17 김호성, "방한암선사" 민족사 1996

      18 김광식, "방한암과 조계종단" 민족사 2006

      19 김호성, "바가바드기타와 관련해서 본 한암의 염불참선무이론" 민족사 1996

      20 무문혜개, "무문관"

      21 몽산덕이, "몽산화상법어"

      22 인경, "몽산덕이와 고려후기 간화선사상 연구" 명상상담연구원 2009

      23 만공, "만공법어" 덕숭산 수덕사 능인선원 1982

      24 신규탁, "남종선의 지평에서 본 방한암선사의 선사상" 2 : 2007

      25 김광식, "그리운 스승 한암스님" 민족사 2006

      26 허흥식, "고려에 남긴 휴휴암의 불빛" 창비 2008

      27 경허, "경허집" 1943

      28 윤창화, "경허의 지음자 한암" 4 : 2011

      29 백용성, "각해일륜" 대각교당 1930

      30 백용성, "鮮漢文譯 禪門撮要" 법어사 1923

      31 운서주굉, "禪關策進"

      32 "禪文撮要" 범어사

      33 白坡, "禪文手鏡"

      34 淸虛휴정, "心法要抄"

      35 천목중봉, "天目中峰法語"

      36 대혜종고, "大慧普覺禪師語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48 1.03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