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럽의 이주와 포퓰리즘: 체코공화국 사례를 중심으로 = Migration and Populism in Europe: A Case of Czech Republic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115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ti-migration/anti-refugee frame and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far right-wing political parties or right-wing populism in Czech Republic. The existing literature suggests that socio-economic, political-institutional, and history-cultural factors affect the increasing support of right-wing populism in Europe.
      Socio-economic conditions are unfavorable to the development of populism in Czech Republic; Czech Republic demands skilled labor force as emigration rate has long been higher than immigration. Anti-migration discourse is closely related to the discourse of Euroscepticism that enjoys a strong support for sovereignty of Czech Republic that has developed during the Soviet period. Euroscepticism, in this context, was advocated not only by the right-wing populist political parties, but also by left and moderate political parties.
      Populist rhetoric in Czech Republic appear to be soft than hard Euroscepticism when the main stream of populist demands rejects the policy of refuge quotas for EU member states and excludes anti-EU establishment. In this context, Euroscepticism in Czech Republic can be categorized as a historical/copy-cat model that is influenced by a long search of independence. Populism in Czech Republic, based on a soft Euroscepticism, suggests that anti-migration/anti-refugee discourse can be fledged without a solid challenge of migration and be mobilized in the conflicting socio-political agenda other than migration issu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ti-migration/anti-refugee frame and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far right-wing political parties or right-wing populism in Czech Republic. The existing literature suggests that socio-economic, political-in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ti-migration/anti-refugee frame and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far right-wing political parties or right-wing populism in Czech Republic. The existing literature suggests that socio-economic, political-institutional, and history-cultural factors affect the increasing support of right-wing populism in Europe.
      Socio-economic conditions are unfavorable to the development of populism in Czech Republic; Czech Republic demands skilled labor force as emigration rate has long been higher than immigration. Anti-migration discourse is closely related to the discourse of Euroscepticism that enjoys a strong support for sovereignty of Czech Republic that has developed during the Soviet period. Euroscepticism, in this context, was advocated not only by the right-wing populist political parties, but also by left and moderate political parties.
      Populist rhetoric in Czech Republic appear to be soft than hard Euroscepticism when the main stream of populist demands rejects the policy of refuge quotas for EU member states and excludes anti-EU establishment. In this context, Euroscepticism in Czech Republic can be categorized as a historical/copy-cat model that is influenced by a long search of independence. Populism in Czech Republic, based on a soft Euroscepticism, suggests that anti-migration/anti-refugee discourse can be fledged without a solid challenge of migration and be mobilized in the conflicting socio-political agenda other than migration issu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유럽내 극우정당 혹은 포퓰리즘의 성장과정에서 나타나는 반이주ㆍ반난민 프레임의 성격을 분석하고, 포퓰리즘 정당의 지지율 증가 요인을 체코공화국을 사례로 분석하는 데 있다. 유럽내 우파 포퓰리즘의 지지율 증가는 사회경제적 요인, 정치ㆍ제도적 요인, 그리고 역사ㆍ문화적 요인이 작동하고 있다.
      체코공화국은 이주민 유출국가이면서 동시에 이주민 유입이 필요해 반이주ㆍ반난민 정서 형성의 사회경제적 기반은 약하다. 체코공화국내 반이주 담론은 대체로 반유럽 정서를 반영하는 것이며, 유럽회의주의적 정서는 소비에트시기에 축적된 주권에 대한 강한 지지가 탈소비에트시기 EU에 대한 반발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극단 포퓰리스트 정당이외에도 신규정당들이 반이주, 유럽회의주의를 표방함으로써 지지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체코공화국내 포퓰리즘은 탈EU보다는 난민쿼터 배정에 대한 반발과 같은 ‘온건한 유럽회의주의’에 기초하고 있으며, ‘역사/모방형’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포퓰리즘의 발전은 반이주ㆍ반난민 담론이 이주ㆍ난민 이외의 다른 정치적 문제에도 동원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의 목적은 유럽내 극우정당 혹은 포퓰리즘의 성장과정에서 나타나는 반이주ㆍ반난민 프레임의 성격을 분석하고, 포퓰리즘 정당의 지지율 증가 요인을 체코공화국을 사례로 분석하는 ...

      이 글의 목적은 유럽내 극우정당 혹은 포퓰리즘의 성장과정에서 나타나는 반이주ㆍ반난민 프레임의 성격을 분석하고, 포퓰리즘 정당의 지지율 증가 요인을 체코공화국을 사례로 분석하는 데 있다. 유럽내 우파 포퓰리즘의 지지율 증가는 사회경제적 요인, 정치ㆍ제도적 요인, 그리고 역사ㆍ문화적 요인이 작동하고 있다.
      체코공화국은 이주민 유출국가이면서 동시에 이주민 유입이 필요해 반이주ㆍ반난민 정서 형성의 사회경제적 기반은 약하다. 체코공화국내 반이주 담론은 대체로 반유럽 정서를 반영하는 것이며, 유럽회의주의적 정서는 소비에트시기에 축적된 주권에 대한 강한 지지가 탈소비에트시기 EU에 대한 반발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극단 포퓰리스트 정당이외에도 신규정당들이 반이주, 유럽회의주의를 표방함으로써 지지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체코공화국내 포퓰리즘은 탈EU보다는 난민쿼터 배정에 대한 반발과 같은 ‘온건한 유럽회의주의’에 기초하고 있으며, ‘역사/모방형’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포퓰리즘의 발전은 반이주ㆍ반난민 담론이 이주ㆍ난민 이외의 다른 정치적 문제에도 동원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정, "프랑스 민족전선(FN) 지지기반 확대 : 이민문제의 정치화" 국가안보전략연구원 14 (14): 93-130, 2014

      2 강혜련, "폴란드의 포퓰리즘 정치: 민족주의적 수사학의 대중적 동원력과 그 한계" 국가관리연구원 15 (15): 177-223, 2011

      3 이규영, "체제전환 이후 동유럽 극우주의의 발흥과 극우정당의 발전에 대한 연구" 한국유럽학회 30 (30): 43-72, 2012

      4 김종법, "이탈리아 극우주의 정당의 정치적 배경과 유럽통합의 이중성" 인류사회재건연구원 30 (30): 279-313, 2015

      5 박재영, "유럽 다문화사회의 문화적 충돌: 영국ㆍ프랑스ㆍ독일을 중심으로" (창간) : 2008

      6 고상두, "우파 포퓰리즘 부상에 대한 제약요인: 독일의 정치안정 사례" 국제지역연구센터 21 (21): 135-156, 2017

      7 박설아, "신생 소수정당의 성장과 포퓰리즘: 독일 대안당(AfD: Alternative für Deutschland)과 우파 포퓰리즘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7 (27): 493-520, 2018

      8 신정완, "스웨덴 거주 이주민의 사회적 배제의 실태와 원인" 한국산업노동학회 20 (20): 277-315, 2014

      9 김성진, "사회 갈등과 정치적 소통" 오름 2016

      10 윤덕희, "불가리아의 극우 포퓰리즘 연구: 아타카(Ataka)를 중심으로" 한국유럽학회 35 (35): 289-318, 2017

      1 김민정, "프랑스 민족전선(FN) 지지기반 확대 : 이민문제의 정치화" 국가안보전략연구원 14 (14): 93-130, 2014

      2 강혜련, "폴란드의 포퓰리즘 정치: 민족주의적 수사학의 대중적 동원력과 그 한계" 국가관리연구원 15 (15): 177-223, 2011

      3 이규영, "체제전환 이후 동유럽 극우주의의 발흥과 극우정당의 발전에 대한 연구" 한국유럽학회 30 (30): 43-72, 2012

      4 김종법, "이탈리아 극우주의 정당의 정치적 배경과 유럽통합의 이중성" 인류사회재건연구원 30 (30): 279-313, 2015

      5 박재영, "유럽 다문화사회의 문화적 충돌: 영국ㆍ프랑스ㆍ독일을 중심으로" (창간) : 2008

      6 고상두, "우파 포퓰리즘 부상에 대한 제약요인: 독일의 정치안정 사례" 국제지역연구센터 21 (21): 135-156, 2017

      7 박설아, "신생 소수정당의 성장과 포퓰리즘: 독일 대안당(AfD: Alternative für Deutschland)과 우파 포퓰리즘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7 (27): 493-520, 2018

      8 신정완, "스웨덴 거주 이주민의 사회적 배제의 실태와 원인" 한국산업노동학회 20 (20): 277-315, 2014

      9 김성진, "사회 갈등과 정치적 소통" 오름 2016

      10 윤덕희, "불가리아의 극우 포퓰리즘 연구: 아타카(Ataka)를 중심으로" 한국유럽학회 35 (35): 289-318, 2017

      11 김성진, "몰도바 이주문제: 현황과 시사점" 아태지역연구센터 39 (39): 223-260, 2015

      12 김주희, "독일의 극우정당과 유럽의회의 진출요인" 한독사회과학회 25 (25): 27-58, 2015

      13 구춘권, "독일 이주정책의 변화와 통합모델의 전환" 21세기정치학회 27 (27): 137-164, 2017

      14 김면회, "독일 극우주의 정치 세력의 성장 요인 연구: 정당 쇠퇴와 정당체제 변화" 한국유럽학회 34 (34): 23-48, 2016

      15 고상두, "다문화주의와 역동성: 연구동향 및 쟁점" 한국정치정보학회 14 (14): 217-240, 2011

      16 고상두, "극우정당 출현의 제약요인 분석: 스페인 사례연구" 한국정치학회 47 (47): 185-203, 2013

      17 김용찬, "국제이주분석과 이주체계접근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국제지역연구센터 10 (10): 81-106, 2006

      18 Ziesemer, Thomas H. W., "Worker Remittances, Migration, Accumulation and Growth in Poor Developing Countries: Survey and Analysis of Direct and Indirect Effects" 29 (29): 103-118, 2012

      19 Canovan, Margaret, "Trust the People! Populism and the Two Faces of Democracy" 47 (47): 2-16, 1999

      20 Spanje, Joost Van, "The Wrong and the Right: A Comparative Analysis of ‘Anti-Immigration’ and ‘Far Right’ Parties" 46 (46): 293-320, 2011

      21 Spencer, Sarah, "The Migration Debate" The Policy Press 2011

      22 IOM Moscow, "The Impact of the Economic Crisis on Migration Trends and Migration Policy in the Russian Federation and the Eastern Europe and Central Asia Area" IOM Moscow 2009

      23 Levitt, Peggy, "Social Remittances Revisited" 37 (37): 1-22, 2010

      24 Suksomboon, Panitee, "Remittances and ‘Social Remittances’: Their Impact on Livelihoods of Thai Women in the Netherlands and Non-migrants in Thailand" 12 (12): 461-482, 2008

      25 Mudde, Cas, "Populist Radical Right Parties in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26 Kaniok, Petr, "Populism and Euroscepticism in the Czech Republic: Meeting Friends or Passing By?" 16 (16): 20-35, 2016

      27 Mohapatra, Sanket, "Outlook for Remittance Flows 2011-12: Recovery after the Crisis, but Risks Lie Ahead" 13 : 2011

      28 Ruhs, Martin, "Numbers vs. Rights: Trade-offs and Guest Workers’ Programs" 42 (42): 249-265, 2008

      29 World Bank, "Migration and Development Brief, No. 26"

      30 World Bank, "Migration and Development Brief, No. 23"

      31 Dauvergne, Catherine, "Beyond Numbers Versus Rights: Shifting the Parameters of Debate on Temporary Labour Migration" 15 (15): 525-545, 2014

      32 심성은, "2017년 프랑스 대선과 극우정당 지지도 상승요인 분석" 한국정치학회 52 (52): 29-50, 2018

      33 조기숙, "2016 미국 대선에 나타난 포퓰리즘 연구: 이념적 포퓰리스트 트럼프, 전략적 포퓰리즘 샌더스"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6 (26): 183-214, 2017

      34 오창룡, "2014년 유럽의회 선거와 극우 세력의 부상" 84 :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9-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KCI등재
      2009-09-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슬라브연구 -> 슬라브硏究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1 0.844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