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독교 선교단체 대학생의 종교성향, 종교적 대처 및 사회적 지지와 소진과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religious orientation, religious coping and social support of college students in christianity mission organiz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4076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 전공 , 2015. 8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150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 69 p.: 표;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연규진
        참고문헌수록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서강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religious orientation, religious coping and social support among the college students in Christian mission organizations. More specifically, the study investigates how intrinsic,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s, collaborative, deferring, self-directed coping styles, and in-group, out-group social supports are associated with the burnout of these students. A total of 231 university students who belong to one of the eight missionary agencies from Seoul, Kyeongki, Incheon, and Jeonju completed a survey which consists of Maslach Burnout Inventory, Religious Orientation Scale, Religious Problem Solving Scale, and Social Support scale. As a result of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ose who reported a lower level of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nd a higher level of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experienced a higher level of burnout. As for the religious coping, those who reported a higher level of self-directing coping experienced a higher level of burnout. Those who reported a higher level of in-group social support experienced a lower level of burnout.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 for counseling practice and religious education were discussed. Also,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religious orientation, religious coping and social support among the college students in Christian mission organizations. More specifically, the study investigates how intr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religious orientation, religious coping and social support among the college students in Christian mission organizations. More specifically, the study investigates how intrinsic,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s, collaborative, deferring, self-directed coping styles, and in-group, out-group social supports are associated with the burnout of these students. A total of 231 university students who belong to one of the eight missionary agencies from Seoul, Kyeongki, Incheon, and Jeonju completed a survey which consists of Maslach Burnout Inventory, Religious Orientation Scale, Religious Problem Solving Scale, and Social Support scale. As a result of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ose who reported a lower level of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nd a higher level of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experienced a higher level of burnout. As for the religious coping, those who reported a higher level of self-directing coping experienced a higher level of burnout. Those who reported a higher level of in-group social support experienced a lower level of burnout.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 for counseling practice and religious education were discussed. Also,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선교단체 대학생의 종교성향, 종교적 대처, 사회적 지지와 소진과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재적, 외재적 종교성향, 협력적, 의존적, 자기주도적 종교적 대처, 그리고 집단 내외의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들의 소진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8개 선교단체를 중심으로 서울, 경기, 인천, 전주 남녀 대학생 231명을 대상으로 소진 척도, 종교성향 척도, 종교적 문제해결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재적 종교성향이 낮을수록, 외재적 종교성향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의 소진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적 대처와 관련해서는, 자기주도적 대처가 높을수록 높은 수준의 소진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부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소진을 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장면과 종교교육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선교단체 대학생의 종교성향, 종교적 대처, 사회적 지지와 소진과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재적, 외재적 종교성향, 협력적, 의존적, 자기주도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선교단체 대학생의 종교성향, 종교적 대처, 사회적 지지와 소진과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재적, 외재적 종교성향, 협력적, 의존적, 자기주도적 종교적 대처, 그리고 집단 내외의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들의 소진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8개 선교단체를 중심으로 서울, 경기, 인천, 전주 남녀 대학생 231명을 대상으로 소진 척도, 종교성향 척도, 종교적 문제해결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재적 종교성향이 낮을수록, 외재적 종교성향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의 소진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적 대처와 관련해서는, 자기주도적 대처가 높을수록 높은 수준의 소진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부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소진을 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장면과 종교교육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