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연의 지명화와 유산화 - 제주도 폭포의 차별적인 지명화와 명승화 과정 = The Differential Toponymization and Heritagization of Natural Landscap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951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도의 세 폭포를 사례로 지명을 만들고 유산을 선정하는 차별적인 지명화와 유산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의 지명화와 유산화 과정에는 사회적 주체가 거주하는 장소의 지리적, 언어적, 문화적 특성과 함께 그들이 소유한 정체성, 이데올로기, 권력 관계에 따라 지명에 대한 차별적인 인식과 명명 및 개정, 그리고 장소에 대한 가치 판단 과정이 동반된다. 둘째, 제주도 세 폭포의 지명화 과정은 차별적으로 전개되어 왔다. 정방폭포는 16세기 초반에 관련 명칭이 기록되어 세 폭포 중 가장 이른 지명화가 이루어졌다. 반면 천지연폭포와 천제연폭포는 각각 17세기와 18세기에 현재의 명칭이 문헌에 기록되기 시작하여, 19세기 후반까지도 서로 지명이 혼용되거나 혼동되어 사용되었다. 이후 19세기 말에 이르러 현재 사용되고 있는 표기로 정착되었다. 또한 서귀진에 가까이 위치한 천지연폭포가 천제연폭포보다 더 빠른 지명화 과정을 겪었다. 셋째, 세 폭포의 명승화 과정의 경우, 정방폭포가 조선 후기 ‘영주 10경’에 선정되면서 2008년에 우리나라 폭포들 중 가장 먼저 국가유산의 한 유형인 자연유산의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반면 천지연폭포와 천제연폭포는 생물지리적인 가치가 인정되어 계곡 주변의 식생과 어류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을 뿐 아직까지 폭포 자체는 명승으로 지정되지 않았다. 그 이유는 명승으로서의 충분한 가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체된 지명화가 유산화에 일정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제주도의 세 폭포를 사례로 지명을 만들고 유산을 선정하는 차별적인 지명화와 유산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의 지명화와 유산화 과정에는 사...

      본 연구는 제주도의 세 폭포를 사례로 지명을 만들고 유산을 선정하는 차별적인 지명화와 유산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의 지명화와 유산화 과정에는 사회적 주체가 거주하는 장소의 지리적, 언어적, 문화적 특성과 함께 그들이 소유한 정체성, 이데올로기, 권력 관계에 따라 지명에 대한 차별적인 인식과 명명 및 개정, 그리고 장소에 대한 가치 판단 과정이 동반된다. 둘째, 제주도 세 폭포의 지명화 과정은 차별적으로 전개되어 왔다. 정방폭포는 16세기 초반에 관련 명칭이 기록되어 세 폭포 중 가장 이른 지명화가 이루어졌다. 반면 천지연폭포와 천제연폭포는 각각 17세기와 18세기에 현재의 명칭이 문헌에 기록되기 시작하여, 19세기 후반까지도 서로 지명이 혼용되거나 혼동되어 사용되었다. 이후 19세기 말에 이르러 현재 사용되고 있는 표기로 정착되었다. 또한 서귀진에 가까이 위치한 천지연폭포가 천제연폭포보다 더 빠른 지명화 과정을 겪었다. 셋째, 세 폭포의 명승화 과정의 경우, 정방폭포가 조선 후기 ‘영주 10경’에 선정되면서 2008년에 우리나라 폭포들 중 가장 먼저 국가유산의 한 유형인 자연유산의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반면 천지연폭포와 천제연폭포는 생물지리적인 가치가 인정되어 계곡 주변의 식생과 어류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을 뿐 아직까지 폭포 자체는 명승으로 지정되지 않았다. 그 이유는 명승으로서의 충분한 가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체된 지명화가 유산화에 일정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differential toponymization and heritagization which is a series of process to differentially make a common noun into a proper name, that is, toponym and to select a natural heritage, particularly a scenic spot (名勝). Three results of research work are as follows: First, The practices over toponymization and heritagization of Mother Nature may result in the discriminative geographical, linguistic, and cultural traits in places in related to their identity, ideology, and power relations belonged to the domain of life-world, as well as in the differential perceiving, naming, and renaming within the valuation on placeness. Second, the levels of toponymization on three waterfalls in Jeju Island have been developing into diverse and respective aspects. Jeongbangpokpo Falls(正房瀑布) had been recorded in the early 16th century, and become the fastest toponymization among three waterfalls. Whereas Cheonjiyeon Waterfall(天地淵瀑布) and Cheonjeyeon Waterfall(天帝淵瀑布) had been firstly recorded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respectively, and particularly us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r got confused to notate until late in the 19th century. In particular, Cheonjiyeon Waterfall had become more early toponymization than Cheonjeyeon Waterfall because of being ease of access from Seogwijin Fort(西歸鎭). Third, in case of the heritagization, Jeongbangpokpo Falls had been firstly listed as a scenic spot of National Heritage in 2008 due to being early designated as one of the Ten Sights of Yeongju ev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On the other hand, Cheonjiyeon and Cheonjeyeon Waterfall, notwithstanding their enough heritage value intrinsic in it, still have not been listed as a scenic spot.
      번역하기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differential toponymization and heritagization which is a series of process to differentially make a common noun into a proper name, that is, toponym and to select a natural heritage, particularly a scenic spot (名勝...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differential toponymization and heritagization which is a series of process to differentially make a common noun into a proper name, that is, toponym and to select a natural heritage, particularly a scenic spot (名勝). Three results of research work are as follows: First, The practices over toponymization and heritagization of Mother Nature may result in the discriminative geographical, linguistic, and cultural traits in places in related to their identity, ideology, and power relations belonged to the domain of life-world, as well as in the differential perceiving, naming, and renaming within the valuation on placeness. Second, the levels of toponymization on three waterfalls in Jeju Island have been developing into diverse and respective aspects. Jeongbangpokpo Falls(正房瀑布) had been recorded in the early 16th century, and become the fastest toponymization among three waterfalls. Whereas Cheonjiyeon Waterfall(天地淵瀑布) and Cheonjeyeon Waterfall(天帝淵瀑布) had been firstly recorded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respectively, and particularly us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r got confused to notate until late in the 19th century. In particular, Cheonjiyeon Waterfall had become more early toponymization than Cheonjeyeon Waterfall because of being ease of access from Seogwijin Fort(西歸鎭). Third, in case of the heritagization, Jeongbangpokpo Falls had been firstly listed as a scenic spot of National Heritage in 2008 due to being early designated as one of the Ten Sights of Yeongju ev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On the other hand, Cheonjiyeon and Cheonjeyeon Waterfall, notwithstanding their enough heritage value intrinsic in it, still have not been listed as a scenic spo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