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함경도 지명에 대하여 - 1930,40년대 『한글』에 실려 있는 지명자료를 중심으로 = Regarding the Place Names of Hamgyeong Province in North Korea - Focusing on the Place Names Found in the 1930s and 1940s Issues of Hange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951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30,40년대 『한글』에 실려 있는 함경도의 전래지명은 다소 이른 시기의 한글표기지명 자료들이다. 이 지명 자료들은 당대 함경도의 언어 모습을 담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들 342개의 함경도 지명 자료를 중심으로, 자연 부락 등을 담고 있는 『地誌調書』(1916-17)와 당대의 『한글』에 실려 있는 함경도 및 인근의 방언 자료를 함께 고려하여, 음운 및 어휘의 측면에서 일련의 특징들을 찾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함경도 지명에서의 특징적인 음운현상들은 ‘ㅣ’모음 역행동화, 모음상승, ‘ㄴ-ㅁ>ㄹ-ㅁ’의 변이와 설단음 앞에서의 ‘ㄹ’탈락, 받침 ‘ㅇ’탈락 등과 같은 변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성씨에 쓰이는 접미사 ‘가(哥)’가 ‘개’로 보이는 것도 특징적이었다.
      둘째, 어휘적인 특징들 중 하나는, ‘못(池), 나루(津)’에 대한 이 지역의 방언형 ‘늪, 낡’이 지명소에서 보이는 등, 함경도 지역에서 형성된 방언형이 지명에 반영되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들(坪)’과 ‘까치(鵲)’의 고어형 ‘두루’, ‘가치’처럼, 함경도 지명에 옛말의 형태가 남아 있다는 점도 있다. ‘여울(灘)’에 대한 ‘열, 얼, 월’과 같은 변이형과 ‘벌(坪)’에 대한 ‘볼, 불’, ‘구미’에 대한 음운 변이형 ‘귀미, 기미’ 등도 있었다. ‘곶(串)’에 대한 ‘고지’와 ‘구지’, ‘고치’와 ‘구치’가 있었는데, ‘고치’와 ‘구치’는 이 지역의 특징적인 지명소였다. 특히 ‘곶’에 대응하는 ‘湖’ 또한 특징적인 지명소였다. ‘덕(德)’에 대한 ‘덕이’와 ‘덱이’, 전부지명소에 쓰인 ‘된(高)’ 등의 특징적인 지명소들도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는 지명어 고찰뿐만 아니라 전, 후로의 통시적 연구에도 가치가 있는 자료들로 판단하였다.
      번역하기

      1930,40년대 『한글』에 실려 있는 함경도의 전래지명은 다소 이른 시기의 한글표기지명 자료들이다. 이 지명 자료들은 당대 함경도의 언어 모습을 담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들 342개의 함경도...

      1930,40년대 『한글』에 실려 있는 함경도의 전래지명은 다소 이른 시기의 한글표기지명 자료들이다. 이 지명 자료들은 당대 함경도의 언어 모습을 담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들 342개의 함경도 지명 자료를 중심으로, 자연 부락 등을 담고 있는 『地誌調書』(1916-17)와 당대의 『한글』에 실려 있는 함경도 및 인근의 방언 자료를 함께 고려하여, 음운 및 어휘의 측면에서 일련의 특징들을 찾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함경도 지명에서의 특징적인 음운현상들은 ‘ㅣ’모음 역행동화, 모음상승, ‘ㄴ-ㅁ>ㄹ-ㅁ’의 변이와 설단음 앞에서의 ‘ㄹ’탈락, 받침 ‘ㅇ’탈락 등과 같은 변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성씨에 쓰이는 접미사 ‘가(哥)’가 ‘개’로 보이는 것도 특징적이었다.
      둘째, 어휘적인 특징들 중 하나는, ‘못(池), 나루(津)’에 대한 이 지역의 방언형 ‘늪, 낡’이 지명소에서 보이는 등, 함경도 지역에서 형성된 방언형이 지명에 반영되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들(坪)’과 ‘까치(鵲)’의 고어형 ‘두루’, ‘가치’처럼, 함경도 지명에 옛말의 형태가 남아 있다는 점도 있다. ‘여울(灘)’에 대한 ‘열, 얼, 월’과 같은 변이형과 ‘벌(坪)’에 대한 ‘볼, 불’, ‘구미’에 대한 음운 변이형 ‘귀미, 기미’ 등도 있었다. ‘곶(串)’에 대한 ‘고지’와 ‘구지’, ‘고치’와 ‘구치’가 있었는데, ‘고치’와 ‘구치’는 이 지역의 특징적인 지명소였다. 특히 ‘곶’에 대응하는 ‘湖’ 또한 특징적인 지명소였다. ‘덕(德)’에 대한 ‘덕이’와 ‘덱이’, 전부지명소에 쓰인 ‘된(高)’ 등의 특징적인 지명소들도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는 지명어 고찰뿐만 아니라 전, 후로의 통시적 연구에도 가치가 있는 자료들로 판단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raditional place names of Hamgyeong Province found in the 1930s and 1940s issues of Hangeul (Korean script) represent a somewhat early linguistic record of these locations. These place names capture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Hamgyeong Province at that time.
      This study focuses on 342 place name records from Hamgyeong Province, analyzing phonological and lexical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place name data from Jijijoseo (1916, 1917) and dialect data from Hangeul-Dialect (1920s-1940s) were consulted for a more comprehensive perspective.
      First, this study examines distinctive phonological phenomena in Hamgyeong place names as recorded in Hangeul. Phonological features such as umlaut and vowel raising were observed, occurring in both initial and final syllable positions. Other consonant variations identified include the shift from ‘ㄴ-ㅁ(n-m) to ㄹ-ㅁ(l-m),’ deletion of ‘ㄹ(l)’ before apical consonants, and the loss of the coda ‘ㅇ(ng).’ A notable example is the suffix ‘가(ga)’ (a family name suffix) being pronounced as ‘개(gae).’ Second, the study explores lexical features, including dialectal forms unique to the Hamgyeong region, remnants of older forms, and distinctive toponyms specific to this area. The place names in Hangeul reflect regional dialect, with examples such as ‘바위(bawi)(岩, a rock)’ realized as ‘바우(bau),’ ‘못(mot)(池, a pond)’ as ‘늪(neup),’ ‘가마(gama)(釜, an oven)’ as ‘가매(gamae),’ and ‘돼지(dwaeji) (豚, a pig)’ as ‘도야지(doyaji).’ These forms correspond to Hamgyeong dialect entries in Hangeul-Dialect, affirming their dialectal origins.
      Moreover, some place names in Hangeul such as ‘놀구(nolgu)(獐, a roe deer)’ and ‘낡(nalk)(津, a ferry)’ are reflected in various forms like ‘놀가지(nolgaji), 놀기(nolgi), 놁(nolk), 놀구(nolgu)’ and ‘날기(nalgi), 날그(nalgeu), 날개(nalgae)’ in Hangeul-Dialect. These forms, maintaining ‘ㄱ(g)’, reflect a conservative, archaic style.
      Another lexical feature is the preservation of archaic forms in Hamgyeong place names, such as ‘두루(duru)’ and ‘가치(gachi)’ for modern words ‘들(deul)(坪, a plain)’ and ‘까치(kkacti) (鵲, a magpie),’ respectively.
      Finally, some distinctive toponyms were observed, including variants like ‘yeol열, eol얼, wol월’ for ‘여울(yeoul)(灘, shallows)’ and ‘볼(bol), 불(bul)’ for ‘벌(beol)(坪, a plain).’ Other phonological variations included ‘귀미(gwimi), 기미(gimi)’ for ‘구미(gumi)(concave),’ and unique regional forms like ‘고지(goji)’ and ‘구지(guji)’ for ‘곶(got)(串, thrust),’ and ‘덕이(deogi), 덱이(degi)’ for ‘덕(deok)(德, high and flat).’
      번역하기

      The traditional place names of Hamgyeong Province found in the 1930s and 1940s issues of Hangeul (Korean script) represent a somewhat early linguistic record of these locations. These place names capture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Hamgyeong Pro...

      The traditional place names of Hamgyeong Province found in the 1930s and 1940s issues of Hangeul (Korean script) represent a somewhat early linguistic record of these locations. These place names capture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Hamgyeong Province at that time.
      This study focuses on 342 place name records from Hamgyeong Province, analyzing phonological and lexical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place name data from Jijijoseo (1916, 1917) and dialect data from Hangeul-Dialect (1920s-1940s) were consulted for a more comprehensive perspective.
      First, this study examines distinctive phonological phenomena in Hamgyeong place names as recorded in Hangeul. Phonological features such as umlaut and vowel raising were observed, occurring in both initial and final syllable positions. Other consonant variations identified include the shift from ‘ㄴ-ㅁ(n-m) to ㄹ-ㅁ(l-m),’ deletion of ‘ㄹ(l)’ before apical consonants, and the loss of the coda ‘ㅇ(ng).’ A notable example is the suffix ‘가(ga)’ (a family name suffix) being pronounced as ‘개(gae).’ Second, the study explores lexical features, including dialectal forms unique to the Hamgyeong region, remnants of older forms, and distinctive toponyms specific to this area. The place names in Hangeul reflect regional dialect, with examples such as ‘바위(bawi)(岩, a rock)’ realized as ‘바우(bau),’ ‘못(mot)(池, a pond)’ as ‘늪(neup),’ ‘가마(gama)(釜, an oven)’ as ‘가매(gamae),’ and ‘돼지(dwaeji) (豚, a pig)’ as ‘도야지(doyaji).’ These forms correspond to Hamgyeong dialect entries in Hangeul-Dialect, affirming their dialectal origins.
      Moreover, some place names in Hangeul such as ‘놀구(nolgu)(獐, a roe deer)’ and ‘낡(nalk)(津, a ferry)’ are reflected in various forms like ‘놀가지(nolgaji), 놀기(nolgi), 놁(nolk), 놀구(nolgu)’ and ‘날기(nalgi), 날그(nalgeu), 날개(nalgae)’ in Hangeul-Dialect. These forms, maintaining ‘ㄱ(g)’, reflect a conservative, archaic style.
      Another lexical feature is the preservation of archaic forms in Hamgyeong place names, such as ‘두루(duru)’ and ‘가치(gachi)’ for modern words ‘들(deul)(坪, a plain)’ and ‘까치(kkacti) (鵲, a magpie),’ respectively.
      Finally, some distinctive toponyms were observed, including variants like ‘yeol열, eol얼, wol월’ for ‘여울(yeoul)(灘, shallows)’ and ‘볼(bol), 불(bul)’ for ‘벌(beol)(坪, a plain).’ Other phonological variations included ‘귀미(gwimi), 기미(gimi)’ for ‘구미(gumi)(concave),’ and unique regional forms like ‘고지(goji)’ and ‘구지(guji)’ for ‘곶(got)(串, thrust),’ and ‘덕이(deogi), 덱이(degi)’ for ‘덕(deok)(德, high and fla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