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3D 프린팅 원료를 이용한 방사선 차폐기구의 설계방안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59346

      • 저자
      • 발행사항

        부산 : 부산가톨릭대학교,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방사선학과 , 2019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12.15 판사항(6)

      • DDC

        616.0757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부산

      • 형태사항

        xiv, 184장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정훈
        참고문헌: 장 167-179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부산가톨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use of radiation is increasing every year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medical level of the people through development of industrial technology and medical advancement. These radiation exposures have potential hazards such as cancer induction. Accordingly, the use of appropriate radiation protection devices is necessary to optimize the radiation dose. However, Patients are exposed to secondary scattering radiation, which is generated outside the target site for study in the medical field and shielding devices are generally not used for radiation protection. Radiation worker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of shielding device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y perform their work. Occupational exposure dose for each individual has a wide distribution. Lead, which is used as a conventional radiation shielding device, is avoiding its use due to human toxicity such as heavy metal poisoning and environmental problems. Recently, 3D printing technology using additive manu- facturing has been widely used in medical and biotechnology fields because it can produce various kinds of small quantity and customized production. However, there is no research on the design and fabrication of radiation shielding devices that incorporate 3D printing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of raw materials according to the 3D printing output method and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3D printing shielding device by analyzing the dose of organs in the exposed environment. We also present 3D CAD modeling method for radiation shielding design. Through these studies, we will provide basic data for fabrication and design of radiation shielding device using 3D printing materials in the future.

      Material and Methods: Monte carlo simulation was performed using MCNPX(Ver.2.5.0) code to evaluate the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of 3D printing materials and the applicability of shielding devices in each radiation field. First, we simul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ICRU slab phantom, FDM and SLS printing materials to analyze the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of 3D printing materials. The particle fluences according to the type, energy and thickness of radiation were evaluated and the attenuation efficiency of the flux was calculated. Secondly, we have simulated various radiation exposure environments in the medical and industrial fields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previously proven 3D printing materials to field radiation shielding devices. Organ dose distribution of the human body was evaluated using the MIRD phantom and the dose reduction effect was calculated by using the shielding device using the 3D printing material. Thirdly, we propose 3D CAD modeling method based on human body standard survey and design method of shielding device using medical image for designing radiation shielding system of patients and workers using 3D printer.

      Results: Monte carlo simulation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of 3D printing materials and to evaluate their applicability to radiation shielding device.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of raw materials of FDM and SLS, the PLA / ABS composites and SLS materials in the range of photon beam energy (10 ~ 120 keV) used in the diagnostic field show a high attenuation effect in proportion to the effective atomic number and specific gravity, but tend to decrease gradually with increasing photon energ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plastic series among FDM materials, it is analyzed that attenuation efficiency is effective only at 40 keV or less with low effective atomic number and specific gravity. In the case of electron beam, the attenuation effect was more than 97% in all printing materials at 0.5 MeV energy, but the attenuation efficiency tended to decrease gradually due to the increase in surface fluence with increasing electron range. Also, neutron beams showed effective attenuation efficiency at neutron energies lower than 100 keV, but fast neutrons of 2 MeV or higher showed little attenuation effect due to increased fluence. Secondly, as a result of applicability to 3D printing shielding devices in each field, dose reduction effect of human organ was slightly different according to type and characteristics of various radiological examinations in patients in medical field. It was analyzed that the dose reduction effect was effective for the human organs such as eyes, thyroid, breast, and gonads. The dose reduction effect of 3D printing materials showed high dose reduction in proportion to the effective atomic number and density in the order of ABS+W, ABS+Bi, PLA+SS, PLA+Cu, PLA+Fe and PLA+Al. In the case of the radiation workers, the use of the shielding device using ABS+W showed a dose reduction effect on the hands and eyes of the interventional practitioner and the nuclear medicine practitioner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lead. However, it is necessary to use the shielding devices with improved shielding efficiency due to the work characteristics accompanied by the high exposure dose. In addition, the use of 3D printing shielding device in non-destructive testing was evaluated to be effective for reduction of exposure dose of workers' eyes and gonads by secondary scattering ray generated from inspection source.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database was constructed through the analysis of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of 3D printing materials and the evaluation of applicability in medical and industrial fields using 3D printing shielding device through monte carlo simulation. Based on this database,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sign and fabrication of radiation shielding device using 3D printing material. By developing 3D printing materials and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printing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design and fabrication a human body customized shielding device desired by the customer.
      번역하기

      Purpose: The use of radiation is increasing every year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medical level of the people through development of industrial technology and medical advancement. These radiation exposures have potential hazards such as cancer indu...

      Purpose: The use of radiation is increasing every year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medical level of the people through development of industrial technology and medical advancement. These radiation exposures have potential hazards such as cancer induction. Accordingly, the use of appropriate radiation protection devices is necessary to optimize the radiation dose. However, Patients are exposed to secondary scattering radiation, which is generated outside the target site for study in the medical field and shielding devices are generally not used for radiation protection. Radiation worker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of shielding device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y perform their work. Occupational exposure dose for each individual has a wide distribution. Lead, which is used as a conventional radiation shielding device, is avoiding its use due to human toxicity such as heavy metal poisoning and environmental problems. Recently, 3D printing technology using additive manu- facturing has been widely used in medical and biotechnology fields because it can produce various kinds of small quantity and customized production. However, there is no research on the design and fabrication of radiation shielding devices that incorporate 3D printing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of raw materials according to the 3D printing output method and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3D printing shielding device by analyzing the dose of organs in the exposed environment. We also present 3D CAD modeling method for radiation shielding design. Through these studies, we will provide basic data for fabrication and design of radiation shielding device using 3D printing materials in the future.

      Material and Methods: Monte carlo simulation was performed using MCNPX(Ver.2.5.0) code to evaluate the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of 3D printing materials and the applicability of shielding devices in each radiation field. First, we simul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ICRU slab phantom, FDM and SLS printing materials to analyze the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of 3D printing materials. The particle fluences according to the type, energy and thickness of radiation were evaluated and the attenuation efficiency of the flux was calculated. Secondly, we have simulated various radiation exposure environments in the medical and industrial fields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previously proven 3D printing materials to field radiation shielding devices. Organ dose distribution of the human body was evaluated using the MIRD phantom and the dose reduction effect was calculated by using the shielding device using the 3D printing material. Thirdly, we propose 3D CAD modeling method based on human body standard survey and design method of shielding device using medical image for designing radiation shielding system of patients and workers using 3D printer.

      Results: Monte carlo simulation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of 3D printing materials and to evaluate their applicability to radiation shielding device.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of raw materials of FDM and SLS, the PLA / ABS composites and SLS materials in the range of photon beam energy (10 ~ 120 keV) used in the diagnostic field show a high attenuation effect in proportion to the effective atomic number and specific gravity, but tend to decrease gradually with increasing photon energ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plastic series among FDM materials, it is analyzed that attenuation efficiency is effective only at 40 keV or less with low effective atomic number and specific gravity. In the case of electron beam, the attenuation effect was more than 97% in all printing materials at 0.5 MeV energy, but the attenuation efficiency tended to decrease gradually due to the increase in surface fluence with increasing electron range. Also, neutron beams showed effective attenuation efficiency at neutron energies lower than 100 keV, but fast neutrons of 2 MeV or higher showed little attenuation effect due to increased fluence. Secondly, as a result of applicability to 3D printing shielding devices in each field, dose reduction effect of human organ was slightly different according to type and characteristics of various radiological examinations in patients in medical field. It was analyzed that the dose reduction effect was effective for the human organs such as eyes, thyroid, breast, and gonads. The dose reduction effect of 3D printing materials showed high dose reduction in proportion to the effective atomic number and density in the order of ABS+W, ABS+Bi, PLA+SS, PLA+Cu, PLA+Fe and PLA+Al. In the case of the radiation workers, the use of the shielding device using ABS+W showed a dose reduction effect on the hands and eyes of the interventional practitioner and the nuclear medicine practitioner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lead. However, it is necessary to use the shielding devices with improved shielding efficiency due to the work characteristics accompanied by the high exposure dose. In addition, the use of 3D printing shielding device in non-destructive testing was evaluated to be effective for reduction of exposure dose of workers' eyes and gonads by secondary scattering ray generated from inspection source.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database was constructed through the analysis of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of 3D printing materials and the evaluation of applicability in medical and industrial fields using 3D printing shielding device through monte carlo simulation. Based on this database,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sign and fabrication of radiation shielding device using 3D printing material. By developing 3D printing materials and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printing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design and fabrication a human body customized shielding device desired by the custom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산업 기술의 발달과 의료의 선진화를 통한 국민의 의료수준 향상으로 매년 방사선의 이용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방사선 피폭은 암 유발 등의 잠재적인 위험요소를 내재하고 있으므로 피폭선량의 최적화를 위해 적절한 방사선 방호기구의 사용이 필요하다. 그러나, 의료분야 내 방사선학적 검사 시 환자의 경우 검사 목적 부위 이외 발생되는 2차적인 산란선에 의한 피폭에 노출되고 있으며, 이를 방호하기 위한 차폐기구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방사선 관계 및 작업종사자는 업무를 수행하는 환경에 따라 차폐기구의 사용률은 큰 차이를 보이며 개개인에 따라 직업상 피폭선량은 광범위한 분포를 나타낸다. 기존의 방사선 차폐기구로서 사용되는 납은 중금속 중독 등의 인체 유해성과 환경적인 문제로 사용을 기피하고 있으며, 대체물질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적층제조방식을 이용한 3D 프린팅 기술은 다품종 소량생산과 맞춤형 제작이 가능한 장점으로 의료·바이오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외 3D 프린팅 기술을 접목한 방사선 차폐기구에 대한 설계 및 제작 관련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팅 출력방식에 따른 원료의 방사선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방사선 이용분야별 피폭환경 내 인체 장기의 선량분석을 통해 3D 프린팅 차폐기구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며, 방사선 차폐기구 설계를 위한 3D CAD 모델링 방법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3D 프린팅 원료를 이용한 방사선 차폐기구 설계 및 제작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3D 프린팅 원료에 대한 방사선학적 특성 및 분야별 방사선 차폐기구로의 적용 가능성 평가를 수행하고자 MCNPX(Ver.2.5.0) code를 이용하여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로, 3D 프린팅 원료에 대한 방사선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ICRU slab 팬텀과 FDM, SLS 방식의 프린팅 원료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차폐체를 모사한 후 방사선의 종류, 에너지, 두께에 따른 입자 플루언스를 평가한 후 선속의 감쇠효율을 산정하였다. 두 번째로, 앞서 검증된 3D 프린팅 원료에 대해 분야별 방사선 차폐기구로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의료 및 산업분야 내 다양한 방사선 피폭환경에 대해 모사하였다. MIRD 팬텀을 이용하여 인체 장기별 선량평가를 수행하였으며, 3D 프린팅 원료를 이용한 차폐기구 사용에 따른 선량감소효과를 산정하였다. 세 번째로,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및 종사자의 방사선 차폐기구 설계를 위해 인체 표준인 조사에 따른 3D CAD 모델링 방법과 의료영상을 활용한 차폐기구 설계 방법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 모의실험을 통해 3D 프린팅 원료에 대한 방사선학적 특성분석 및 방사선 차폐기구로의 적용 가능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첫 번째로, FDM, SLS 방식의 원료에 대한 방사선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진단 분야에서 사용되는 광자선 에너지(10 ∼ 120 keV) 범위 내 PLA·ABS 혼합원료와 SLS 원료는 실효원자번호와 비중에 비례하여 높은 감쇠효과를 보였으나, 광자 에너지 증가에 따라 점차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FDM 원료 중 플라스틱 계열의 경우, 낮은 실효원자번호 및 비중으로 40 keV 이하에서만 유효한 차폐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분석된다. 전자선의 경우, 0.5 MeV에서는 평가한 두께 내 모든 원료에서 97% 이상의 감쇠효과를 보였고, 전자 에너지 증가에 따른 비정의 증가로 표면부의 선속이 증가되어 감쇠효율이 점차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중성자선에 대해서는 100 keV 이하 낮은 중성자 에너지에서 유효한 감쇠효과를 보였으나, 2 MeV 이상 고속 중성자에서는 오히려 선속이 증가되어 감쇠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로, 분야별 3D 프린팅 차폐기구에 대한 적용 가능성 평가 결과, 의료분야 내 환자의 경우 다양한 방사선학적 검사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인체장기별 선량감소효과는 다소 상이한 결과를 보였으나, 검사 부위 외 인체 결정장기인 눈, 갑상샘, 유방, 생식샘 등에 대해서 유효한 선량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3D 프린팅 원료별 차폐효과는 ABS+W, ABS+Bi, PLA+SS, PLA+Cu, PLA+Fe, PLA+Al의 순서로 실효원자번호와 밀도에 비례하여 높은 선량감소효과를 보였다. 또한 종사자의 경우, ABS+W을 이용한 차폐기구 적용 시 기존의 납과 대비하여 중재적 시술자 및 핵의학 종사자의 손과 눈에 대해 유효한 선량감소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높은 피폭선량을 수반하는 업무 특성상 향상된 차폐효율을 갖춘 차폐기구의 활용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산업분야 내 비파괴 검사 시 3D 프린팅 차폐기구 사용은 검사 선원에서 발생되는 2차적인 산란선에 기인한 종사자의 눈과 생식샘의 피폭선량감소에 유효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모의실험을 통해 3D 프린팅 원료에 대한 방사선학적 특성 분석과 3D 프린팅 차폐기구를 이용한 의료, 산업분야 내 적용 가능성 평가를 통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3D 프린팅 원료를 이용한 방사선 차폐기구 설계 및 제작을 위한 시스템 구축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지속적인 3D 프린팅 원료의 개발과 경쟁력 향상을 통해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수요자 중심의 인체 맞춤형 차폐기구의 설계 및 제작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목적: 산업 기술의 발달과 의료의 선진화를 통한 국민의 의료수준 향상으로 매년 방사선의 이용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방사선 피폭은 암 유발 등의 잠재적인 위험요소를 내재하...

      목적: 산업 기술의 발달과 의료의 선진화를 통한 국민의 의료수준 향상으로 매년 방사선의 이용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방사선 피폭은 암 유발 등의 잠재적인 위험요소를 내재하고 있으므로 피폭선량의 최적화를 위해 적절한 방사선 방호기구의 사용이 필요하다. 그러나, 의료분야 내 방사선학적 검사 시 환자의 경우 검사 목적 부위 이외 발생되는 2차적인 산란선에 의한 피폭에 노출되고 있으며, 이를 방호하기 위한 차폐기구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방사선 관계 및 작업종사자는 업무를 수행하는 환경에 따라 차폐기구의 사용률은 큰 차이를 보이며 개개인에 따라 직업상 피폭선량은 광범위한 분포를 나타낸다. 기존의 방사선 차폐기구로서 사용되는 납은 중금속 중독 등의 인체 유해성과 환경적인 문제로 사용을 기피하고 있으며, 대체물질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적층제조방식을 이용한 3D 프린팅 기술은 다품종 소량생산과 맞춤형 제작이 가능한 장점으로 의료·바이오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외 3D 프린팅 기술을 접목한 방사선 차폐기구에 대한 설계 및 제작 관련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팅 출력방식에 따른 원료의 방사선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방사선 이용분야별 피폭환경 내 인체 장기의 선량분석을 통해 3D 프린팅 차폐기구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며, 방사선 차폐기구 설계를 위한 3D CAD 모델링 방법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3D 프린팅 원료를 이용한 방사선 차폐기구 설계 및 제작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3D 프린팅 원료에 대한 방사선학적 특성 및 분야별 방사선 차폐기구로의 적용 가능성 평가를 수행하고자 MCNPX(Ver.2.5.0) code를 이용하여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로, 3D 프린팅 원료에 대한 방사선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ICRU slab 팬텀과 FDM, SLS 방식의 프린팅 원료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차폐체를 모사한 후 방사선의 종류, 에너지, 두께에 따른 입자 플루언스를 평가한 후 선속의 감쇠효율을 산정하였다. 두 번째로, 앞서 검증된 3D 프린팅 원료에 대해 분야별 방사선 차폐기구로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의료 및 산업분야 내 다양한 방사선 피폭환경에 대해 모사하였다. MIRD 팬텀을 이용하여 인체 장기별 선량평가를 수행하였으며, 3D 프린팅 원료를 이용한 차폐기구 사용에 따른 선량감소효과를 산정하였다. 세 번째로,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및 종사자의 방사선 차폐기구 설계를 위해 인체 표준인 조사에 따른 3D CAD 모델링 방법과 의료영상을 활용한 차폐기구 설계 방법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 모의실험을 통해 3D 프린팅 원료에 대한 방사선학적 특성분석 및 방사선 차폐기구로의 적용 가능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첫 번째로, FDM, SLS 방식의 원료에 대한 방사선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진단 분야에서 사용되는 광자선 에너지(10 ∼ 120 keV) 범위 내 PLA·ABS 혼합원료와 SLS 원료는 실효원자번호와 비중에 비례하여 높은 감쇠효과를 보였으나, 광자 에너지 증가에 따라 점차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FDM 원료 중 플라스틱 계열의 경우, 낮은 실효원자번호 및 비중으로 40 keV 이하에서만 유효한 차폐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분석된다. 전자선의 경우, 0.5 MeV에서는 평가한 두께 내 모든 원료에서 97% 이상의 감쇠효과를 보였고, 전자 에너지 증가에 따른 비정의 증가로 표면부의 선속이 증가되어 감쇠효율이 점차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중성자선에 대해서는 100 keV 이하 낮은 중성자 에너지에서 유효한 감쇠효과를 보였으나, 2 MeV 이상 고속 중성자에서는 오히려 선속이 증가되어 감쇠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로, 분야별 3D 프린팅 차폐기구에 대한 적용 가능성 평가 결과, 의료분야 내 환자의 경우 다양한 방사선학적 검사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인체장기별 선량감소효과는 다소 상이한 결과를 보였으나, 검사 부위 외 인체 결정장기인 눈, 갑상샘, 유방, 생식샘 등에 대해서 유효한 선량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3D 프린팅 원료별 차폐효과는 ABS+W, ABS+Bi, PLA+SS, PLA+Cu, PLA+Fe, PLA+Al의 순서로 실효원자번호와 밀도에 비례하여 높은 선량감소효과를 보였다. 또한 종사자의 경우, ABS+W을 이용한 차폐기구 적용 시 기존의 납과 대비하여 중재적 시술자 및 핵의학 종사자의 손과 눈에 대해 유효한 선량감소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높은 피폭선량을 수반하는 업무 특성상 향상된 차폐효율을 갖춘 차폐기구의 활용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산업분야 내 비파괴 검사 시 3D 프린팅 차폐기구 사용은 검사 선원에서 발생되는 2차적인 산란선에 기인한 종사자의 눈과 생식샘의 피폭선량감소에 유효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모의실험을 통해 3D 프린팅 원료에 대한 방사선학적 특성 분석과 3D 프린팅 차폐기구를 이용한 의료, 산업분야 내 적용 가능성 평가를 통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3D 프린팅 원료를 이용한 방사선 차폐기구 설계 및 제작을 위한 시스템 구축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지속적인 3D 프린팅 원료의 개발과 경쟁력 향상을 통해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수요자 중심의 인체 맞춤형 차폐기구의 설계 및 제작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Ⅱ. 이론적 배경 4
      • 1. 방사선과 물질과의 상호작용 4
      • 2. 방사선 방호 이론 15
      • 3. 3D Printing Technology 32
      • Ⅰ. 서 론 1
      • Ⅱ. 이론적 배경 4
      • 1. 방사선과 물질과의 상호작용 4
      • 2. 방사선 방호 이론 15
      • 3. 3D Printing Technology 32
      • 4. Monte Carlo Simulation 39
      • Ⅲ. 기술현황 분석 42
      • 1. 선량평가 및 방사선 차폐관련 연구 42
      • 2. 3D 프린팅 기술 관련 연구 52
      • Ⅳ. 재료 및 방법 58
      • 1. 3D 프린팅 원료에 대한 방사선학적 특성 분석 58
      • 가. 3D 프린터 출력방식에 따른 원료에 대한 검증 58
      • 2. 방사선 이용분야별 3D 프린팅 차폐기구의 적용 가능성 평가 62
      • 가. 의료분야 내 환자 및 종사자의 선량평가를 통한 차폐분석 65
      • 나. 산업분야 내 종사자의 선량평가를 통한 차폐분석 85
      • 다. 3D CAD modeling을 이용한 차폐기구 설계 87
      • Ⅴ. 결 과 89
      • 1. 3D 프린팅 원료에 대한 방사선학적 특성 분석 89
      • 2. 분야별 3D 프린팅 차폐기구의 적용 가능성 평가 98
      • 3. 3D CAD modeling을 통한 방사선 차폐기구 설계 151
      • Ⅵ. 고 찰 156
      • Ⅶ. 결 론 166
      • 참고문헌 167
      • Abstract 180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신영림, "골밀도의 평가", 대한소아내분비학회지, 11(2), 123-130, 2006

      2 원자력안전위원회,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 2016년 원자력안전연감", 2016년 원자력안전연감, 2017

      3 국가과학기술심의회, "3D 프린팅 산업 발전전략", 2014

      4 류승우, "비파괴검사 기술 현황 및 전망", 대한기계학회저널, 56(4), 37-40, 2016

      5 이양창, "금속 3D 프린터와 CNC로 제조혁신", 전자공학회지, 43(8), 648-653, 2016

      6 박형욱, "3D 프린팅 기술 현황 및 응용 개요", 대한기계학회저널, 54(4), 32-35, 2014

      7 한국비파괴검사협회, "비파괴검사 안전성 증진방안 연구", 2013년도 원자력정 책연구사업 최종보고서, 2013M2B5A1033021, 2014

      8 강은보, 황인철, 신운재, "X-선 단순 Series 촬영 시 피폭 선량 평가", 한국방 사선학회 논문지, 8(2), 81-88, 2014

      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이용실태조사", 2016

      10 식품의약품안전처, "중재적 방사선 시술 장치 성능평가 기술정보", 2011

      1 신영림, "골밀도의 평가", 대한소아내분비학회지, 11(2), 123-130, 2006

      2 원자력안전위원회,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 2016년 원자력안전연감", 2016년 원자력안전연감, 2017

      3 국가과학기술심의회, "3D 프린팅 산업 발전전략", 2014

      4 류승우, "비파괴검사 기술 현황 및 전망", 대한기계학회저널, 56(4), 37-40, 2016

      5 이양창, "금속 3D 프린터와 CNC로 제조혁신", 전자공학회지, 43(8), 648-653, 2016

      6 박형욱, "3D 프린팅 기술 현황 및 응용 개요", 대한기계학회저널, 54(4), 32-35, 2014

      7 한국비파괴검사협회, "비파괴검사 안전성 증진방안 연구", 2013년도 원자력정 책연구사업 최종보고서, 2013M2B5A1033021, 2014

      8 강은보, 황인철, 신운재, "X-선 단순 Series 촬영 시 피폭 선량 평가", 한국방 사선학회 논문지, 8(2), 81-88, 2014

      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이용실태조사", 2016

      10 식품의약품안전처, "중재적 방사선 시술 장치 성능평가 기술정보", 2011

      11 이재기, "2007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 권고 ICRP 간행물 103", 대한방사선방 어학회, 2009

      12 식품의약품안전처, "영상의학 검사(일반촬영)에서의 표준촬영기법", 방사선안 전관리 시리즈 No. 38, 2014

      13 정우경, "투시와 중재시술의 방사선 피폭과 저감화 방법", 대한의사협회지, 54(12), 1269-1276, 2011

      14 김옥배, 최태진, 오영기, 김진희, "의료영상용 방사선방호를 위한 무납차폐체 개발", 의학물리, 21(2), 232-237, 2010

      15 성동욱, "지역별 국가 환자선량 권고량 개발에 관한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청 연구보고서, 2011

      16 이형래, "텅스텐-실리콘 혼합 X선 차폐제 제조 및 특성분석", 계명대학교 대 학원 화학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14

      17 한국방사선진흥협회, "2014년도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 이용실태 조사", 2016

      18 김진욱, 정상민, 이승현, 염두석, 양진호, "3D 프린터를 이용한 Customized Bolus 제작에 관한 연구",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27(1), 61-71, 2015

      19 정기석, "의료기관 방사선관계종사자의 개인피폭선량 연보", 질병관리본부 질 병예방센터, 2016

      20 식품의약품안전처, "일반영상의학검사의 환자선량 권고량 가이드라인", 방사 선안전관리시리즈 No. 30, 2012

      21 최성관, "X선 촬영에서 조사야 크기에 따른 산란선량의 변화", 한국콘텐츠학 회논문지, 13(3), 198-203, 2013

      22 고려공업검사(주), "비파괴검사업 종사자의 작업별 피폭방사선량 평가", KINS/HR-977 최종연구보고서, 2009

      23 나정현, "소듐냉각고속로 핵설계 방법론의 타당성 평가연구", 경희대학교 원자력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13

      24 식품의약품안전처, "중재적 방사선 시술에 따른 방사선방어 가이드라인", 2006

      25 강병삼, 정홍량, 임청환, 유인규, 박형신, "중재적방사선검사에서 환자 피폭선 량에 관한 연구", 한국방사선기술연구회지, 35(4), 299-308, 2012

      26 김상욱, 정요천, 이완규, 서일택, 서명덕, 김영선, "PET 검사 프러시저별 방사선 차폐기구의 유용성 평가", 핵의학기술학회, 14(2), 65-76, 2010

      27 천권수, "무연 방사선 차폐 시트에 대한 몬테카를로 전산모사", 한국방사선학 회 논문지. 11(4), 189-195, 2017

      28 나수경, 한상효, "엑스선 촬영실의 공간산란선 발생 인자에 관한 연구", 방사 선기술연구회지, 32(4), 393-399, 2009

      29 윤여표, "유방엑스선검사에서의 환자선량 권고량 가이드라인", 2008

      30 김동현, 최우전, 예수영, "3D 프린트를 활용한 자기공명영상검사 보조기구 제작",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10(6), 403-409, 2016

      31 최보열, "원전 내 고방사능 입자의 피부오염에 대한 선량 평가", 한양대학교 원자력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08

      32 김성길, 은성종, 민병운, "X선 촬영시 테이블 주변 촬영도움자의 피폭선량 측 정",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5(6), 415-420, 2011

      33 김용완, 전주섭, 박혁, "중재적 방사선 시술 시 환자선량에 대한 참고 준위 비교",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6(1), 11-17, 2012

      34 김형균, 최성대, 윤재호, "의료영상 검사를 위한 상지 보조기구의 3D 프린터 제작 연구",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38(4), 389-394, 2015

      35 성해준, "GEANT4를 이용한 99mTc syringe container의 재질별 방사선 차폐 해석", 전북대학교 대학원 방사선과학기술학과 석사학위논문, 2008

      36 이동훈, "3D프린터 출력물의 상용화를 위한 표면처리(후가공) 기술연구", 동 의대학교산업문화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석사학위논문, 2016

      37 김상태, "영 유아의 입사피부선량 측정을 위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12(6), 346-352, 2012

      38 박은태, "의료용 선형가속기에서 발생되는 광중성자 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 가톨릭대학교 방사선학과 박사학위논문, 2015

      39 송유빈, "3D 프린터를 이용한 맞춤형 의료기기의 제조 및 품질관리 기법", 충 북대학교 의공학 석사학위논문, 2016

      40 김경호, "MCNP코드를 이용한 우리나라 국민의 의료방사선 피폭선량 평가", 경희대학교 대학원 원자력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15

      41 임동혁, "치조골 재생을 위한 3D 프린팅 생분해성 복합재료 차폐막 개발", 한 국산업기술대학교 기계공학과 박사학위논문, 2016

      42 정동락, "DXA 골밀도 측정 시 산란선에 의한 생식샘의 피폭선량과 저감화", 대구가톨릭대학교 방사선학과 석사학위논문, 2016

      43 임영기, "몬테카를로 방법을 이용한 중재방사선시술자에 대한 선량평가", 방 사선방어학회지, 39(4), 213-217, 2014

      44 김정훈, 조용인, "혈관조영 및 중재적 시술 분야 내 종사자의 눈에 대한 선량 평가",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12(2), 209-216, 2018

      45 김수근, "비파괴검사자의 반복되는 방사선 과다 피폭과 업무상 질병 발생.", 산업보건 Vol. 350, 2017

      46 식품의약품안전처, "중재적 시술에서 환자선량 저감을 위한 방사선 방어 가 이드라인", 2014

      47 한국비파괴검사협회, "방사선투과검사 작업장의 안전환경 향상과 지원제도 에 관한 연구", 원자력정책연구사업 최종연구보고서, 2003

      48 권오현, 오승철, 송지영, 김광표, 김경호, "몬테카를로 방법론을 이용한 구내촬영 검사 시 환자 방사선량 평가", 방사선산업학회지, 10(3), 139∼144, 2016

      49 배만재, 이형민,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보호복용 방사선 차폐 소 재 연구", 한국품질경영학회보, 43(3), 239-252, 2015

      50 강상식, 정봉재, 박지군, 노시철, 김교태, "의료방사선 피폭선량 저감을 위한 맞춤형 차폐재 설계에 관한 연구", 8(6), 333-338, 2014

      51 대한산업보건협회, "연구보고서 소개 - 비파괴검사작업 방사선노출 저감방 안 개발 연구", 산업보건 309, 68-70, 2014

      52 최성백, "3D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방사선 치료 보조도구 제작의 활용지표 개 발",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53 CHO Alliance, "의료용 3D프린팅과 바이오장기, 생체재료 시장 실태와 기술 개발 전략", 2017

      54 오왕균, "정형외과 수술환자의 맞춤형 골 모형 제작을 위한 3D 프린터 시스 템 개발",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55 박기정, "진료용엑스선방어용앞치마 장갑 및 칸막이 유리판의 기준규격 개발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처 자체연구개발과제, 2009

      56 김가중, 최준구, 김형균, "방사선 DICOM 영상을 이용한 3차원 프린팅 출력 물의 형상 비교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2), 558-565, 2016

      57 노재혁, "인체 친화형 방사선 방어복의 경량화를 위한 소재 및 제조기술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기계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13

      58 김교태, 박지군, 김선칠,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한 바륨화합물의 의료 방사선 차폐능 비교 분석",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7(6), 403-408, 2013

      59 이상호, 한상현, 이종석, "유방촬영에서 Geant4 시뮬레이션를 이용한 유방조 직내 흡수선량에 관한 연구", 한국방사선기술연구회지, 35(4), 345-352, 2012

      60 홍현승, "MCNPX 코드를 이용한 X선관의 특성연구와 X선 여과기에 따른 해 상도 비교 연구", 명지대학교 물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5

      61 김희중, 조효민, 이창래, 유아람, 박혜숙, "평균 유선선량 측정방법의 표준화 및 유방 두께, 실질양상과의 상관관계 분석", 의학물리, 20(1), 21-29, 2009

      62 김규영, "국내 의료 3D프린팅 산업의 활성화 전략 연구(산업/기술/시장 분석 을 기반으로)", 충북대학교 의생명과학경영융합학과 석사학위 캡스톤보고서, 2017

      63 윤정수, "이중에너지 X-선 흡수계측법(DXA)을 이용한 골밀도 검사 시 피폭 선량에 관한 연구", 을지대학교 방사선학과 석사학위논문, 2017

      64 김대호, 한동균, 임종천, 이영진, 김상현, "뇌혈관 중재적 시술에서 차폐체를 이용한 시술자의 피폭선량과 화질에 관한 연구",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11(7), 2017

      65 김교태, 허예지, 한무재, 안기정, 박성광, 김주희, "비파괴검사 분야에서 방사 선원의 위치 확인을 위한 반도체 검출기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11(3), 171-175, 2017

      66 조동헌, 한만석, "이중에너지 X-ray 흡수법을 적용한 근위 대퇴골 및 요추부 골밀도 검사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17(9), 165-169, 2012

      67 강상묵, 최창일, 이승규, 박상기, 김용균, "Computed Radiography 시스템에 192Ir과 75Se 동위원소를 적용하여 촬영한 비파괴검사 영상 비교", 방사선방어학 회지, 35(1), 26-33, 2010

      68 보건복지부, "진단용 방사선발생장치의 안전관리 규칙(개정) 제4조 3항, 별표 2 방사선방어시설검사기준", 2013

      69 홍은애, "유방촬영 시 갑상샘과 수정체의 피폭선량 경감을 위한 face block 제작 및 유용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의용과학대학원 의학물리학과 석사 학위논문, 2012

      70 정진홍, "3차원 프린팅 기술로 제작한 폐 모형을 이용한 사이버나이프 종양 추적방사선치료의 정확도 검증", 울산대학교 의학과 박사학위논문, 2015

      71 오동렬, "척추 전이 환자의 체부정위방사선치료 방사선량 검증을 위한 3D 프 린터 활용 환자맞춤형 팬톰의 개발", 성균관대학교, 2017

      72 오왕균, "보급형 3D 프린터로 제작한 쇄골 골절 모델을 이용한 정형외과 수 술에 대한 유용성과 활용가능성 평가", 한국방사선기술연구회지, 37(3), 203-209, 2014

      73 이보람, "몬테칼로 시뮬레이션과 실험에 의한 두부 규격 방사선 촬영법에서 선택적 콜리메이션의 선량 감소효과", 고려대학교 방사선학과 석사학위논문, 2010

      74 성열훈, "3D 프린터로 제작된 CT 팬톰을 이용한 물리적 관심영역과 설정 관 심영역의 크기에 따른 하운스필드의 비교", 한국방사선기술연구회지, 38(4), 421-427, 2015

      75 강상식, 허예지, 조창훈, 정봉재, 노시철, 김교태, "등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을 통한 연속 엑스선 에너지에서 납(Pb)과 텅스텐(W)의 흡수 스펙트럼 비교 연구", 한국방사선학회, 6(6), 483-487, 2012

      76 한채연, "골밀도 검사 시 산란선에 의한 유방의 피폭선량을 경감시키기 위하 여 제작한 차폐체(Breast shield)의 유용성 평가", 고려대학교 방사선학과 석사 학위논문, 2014

      77 박규태, "국내 방사성물질 수송위험도 평가를 위한 지역별 건축물 방사선 차 폐계수 산출 및 몬테카를로 방법론에 의한 검증", 경희대학교 원자력공학과 석 사학위논문,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