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놀이의 특성을 활용하여 변혁적 성격의 세계시민교육을 교육 현장에서 실천할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실시되었다. 먼저, ‘교육적 목적의 놀이’를 정의하고 변혁적 세계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192359
2020
-
370
KCI등재
학술저널
55-84(3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놀이의 특성을 활용하여 변혁적 성격의 세계시민교육을 교육 현장에서 실천할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실시되었다. 먼저, ‘교육적 목적의 놀이’를 정의하고 변혁적 세계시...
본 연구는 놀이의 특성을 활용하여 변혁적 성격의 세계시민교육을 교육 현장에서 실천할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실시되었다. 먼저, ‘교육적 목적의 놀이’를 정의하고 변혁적 세계시민교육과의 연결점을 찾아보았다. 지속적인 행동 변화를 통해 개인과 사회의 변화를 추구하는세계시민교육은 변혁적 교수법을 필요로 하며 교육방법으로서 놀이가 가지는 특징은 세계시민교육의 변혁적 성격을 반영할 수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들의 교사연구공동체 활동을 통해 ‘놀이’를 활용한 세계시민교육을 적용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계시민교육의 학습 목표 중 인지적 영역보다 사회정서, 실천 및 행동 영역이 더 많이 적용되었으며다양성 존중, 적극적 행동에 참여, 실생활 연계에 해당하는 변혁적 교수법이 강조되었다. 이러한분석에 따라, 행동과 실천을 지향하는 세계시민교육에 놀이 방법의 사용이 지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놀이와 변혁적 세계시민교육의 의미, 학교 현장 적용에의 어려움 등을 연구공동체 토론을 통해 성찰하여 연구 주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구성원들의놀이 활동 공유를 통한 상호 교차적용, 공통 놀이 교구를 활용한 수업의 비교가 시도되었다. 이를 통해 학생 수, 학생 수준 등의 교실 상황에 따라 다채롭게 변형 가능한 놀이의 활용 가능성과함께 변혁적 교육의 주체로서 교사 역할의 중요성 또한 확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transformativ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school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play. First of all, the meaning of play for educational purposes was defined, and the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transformativ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school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play. First of all, the meaning of play for educational purposes was defined, and thereupon the connection point with transformativ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CED) was found. As GCED pursues personal and social transformation through continuous behavioral change, it requires a transformative pedagogy. The research argu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lay can meet this demand of the transformative nature of GCED. Based on this discussion, GCED using play was applied to each class and analyzed through the learning community of Lead Teachers. As a result, among the learning objectives of GCED, it was applied more to social emotion, behaviors, and action than to the cognitive domain. The transformative teaching method corresponding to respect for diversity, active participation in behaviors, and the real-life connection was emphasized. According to this analysi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play in GCED, aiming at action and practice. In addition, the meaning of play and transformational GCED and difficulties in applying to the school were discussed in the learning community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In the research process, cross-application through sharing of play activities among members and comparing classes using common play tools were attempted. By doing so,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 s role as an agency of transformational education was confirmed, along with the possibility of applying play in various classroom situations such as the number of students and the level of studen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민경, "한국사회의 다문화 교육 방향성 고찰: 서구 사례를 통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8 (18): 83-104, 2008
2 Dewey, J., "하우 위 싱크 : 과학적 사고의방법과 교육" 학이시습 2011
3 황향희, "초등학교 놀이교육과 인성함양" 교육연구소 24 (24): 371-386, 2018
4 오소영, "초등사회과 활동의 본질로서 놀이적 성격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9
5 유승희, "초등교실에서 놀이수업의 접근 방안" 한국초등교육학회 15 (15): 283-314, 2002
6 양시내, "유아 시민의식 함양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7 이성회, "세계시민교육의 실태와 실천과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과제 2015
8 이성회,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현실적 딜레마" 한국다문화교육학회 9 (9): 31-56, 2016
9 UNESCO, "세계시민교육: 학습주제 및 학습목표" 2015
10 박순용,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들의 현장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2 (12): 49-88, 2017
1 이민경, "한국사회의 다문화 교육 방향성 고찰: 서구 사례를 통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8 (18): 83-104, 2008
2 Dewey, J., "하우 위 싱크 : 과학적 사고의방법과 교육" 학이시습 2011
3 황향희, "초등학교 놀이교육과 인성함양" 교육연구소 24 (24): 371-386, 2018
4 오소영, "초등사회과 활동의 본질로서 놀이적 성격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9
5 유승희, "초등교실에서 놀이수업의 접근 방안" 한국초등교육학회 15 (15): 283-314, 2002
6 양시내, "유아 시민의식 함양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7 이성회, "세계시민교육의 실태와 실천과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과제 2015
8 이성회,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현실적 딜레마" 한국다문화교육학회 9 (9): 31-56, 2016
9 UNESCO, "세계시민교육: 학습주제 및 학습목표" 2015
10 박순용,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들의 현장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2 (12): 49-88, 2017
11 권오정, "사회과교육의 구조와 쟁점" 교육과학사 2006
12 권순정, "변혁적 세계시민교육의 가능성 모색: B중학교 평화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58 (58): 245-273, 2020
13 Dewey, "민주주의와 교육" 교육과학사 1990
14 박순용, "모두를 위한 국제이해교육" 살림터 82-96, 2015
15 이혜수, "로제카이와의 놀이이론 관점에서 본 시각놀이로서 이모티콘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3 (13): 211-218, 2010
16 Huizinga, J., "놀이하는 인간 호모루덴스" 연암서가 2010
17 전경화, "놀이의 교육적 의미 : 존 듀이의 관점" 서울교육대학교 2019
18 김무길, "놀이의 교육적 성격: 듀이와 디어든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35) : 167-188, 2006
19 Caillois, R., "놀이와 인간" 문예출판사 1994
20 박애경, "놀이로 하는세계시민교육 Play with Me" 유네스코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2019 세계시민교육 중앙연구회 분과연구모임 2019
21 양진희,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유아세계시민 관련 연구동향 및 교육담론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40 (40): 215-240, 2020
22 UNESCO, "글로벌시민교육: 21세기 새로운 인재 기르기" 2014
23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글로벌시민교육 : 새로운 교육의제" 한림출판사 2014
24 강순원, "국제이해교육 페다고지" 도서출판 살림터 2019
25 정훈, "교육적 놀이의 범주화를 위한 시도:프레네 ‘놀이-일’ 개념으로" 교육과학연구소 39 (39): 1-17, 2008
26 서경혜, "교육과정 재구성 논쟁" 한국교육과정학회 34 (34): 209-235, 2016
27 Dearden, R. F., "The Concept of Education" Routledge & Kegan Paul 73-91, 1967
28 Schön, D. A, "Reflective Practitioner" Basic Books 1983
29 Park, A. K., "Promoting teachers’ citizenship by participation in PLC" 9 : 27-36, 2020
30 UNESCO, "Preparing Teachers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 Template"
31 김진희, "Post 2015 맥락의 세계시민교육 담론 동향과 쟁점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7 (47): 59-88, 2015
32 Freire, P, "Pedagogy of the oppressed" Penguin 1972
33 McTaggart, R.,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International Contexts and Consequence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7
34 Merriam, S. B., "Learning in Adulthood. A comprehensive guide" Jossy-Bass 2006
35 McIntyre, A., "Inner-city Kids: Adolescents Conferment Life and Violence in an Urban Community"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0
36 김재철, "E. 핑크의 놀이존재론(I)-실존범주로서의 놀이" 한국하이데거학회 (32) : 189-216, 2013
37 Truong-White, H., "Digital storytelling for transformativ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38 (38): 1-28, 2015
38 Frost, J. L., "Children's Play and Playgrounds" Allyn & Bacon 1979
한-베 다문화가정 자녀를 가르치는 한글학교 교사의 경험에 대한 연구 : 베트남 호치민 지역 한글학교 교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