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벽체일체형 강제순환 태양열온수기의 열성능 평가(제2보: 시뮬레이션) = Thermal Performance Evaluation of Building Integrated Forced Circulation Solar Water Heater (Part 2: Simul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544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general, flat-plate solar collectors are installed at an angle of 30° or 45° for the best annual thermal performance. Through experiments in previous stud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building integrated forced circulation solar water heater was good in thermal performance.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mpare under the same conditions with the 30° and 45° collectors, which were used much more popularly. In this study, it was impossible to experiment with the same environment, so simulation was conducted. Simulation was performed with TRNSYS18, and the simulation model was verified by comparing it with experimental data. As a result of simulation, in the order of 30°, 45°, and 90° of collector inclination angle, the collection efficiency in the winter season was 37.6%, 38.6%, 39.2%, and the solar fraction was 54.2%, 50.3%, 48.1%, respectively. The performance in summer when the load for hot water supply is small is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 inclination angles, but there is little risk of overheating due to the low system temperature.
      번역하기

      In general, flat-plate solar collectors are installed at an angle of 30° or 45° for the best annual thermal performance. Through experiments in previous stud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building integrated forced circulation solar water heater was...

      In general, flat-plate solar collectors are installed at an angle of 30° or 45° for the best annual thermal performance. Through experiments in previous stud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building integrated forced circulation solar water heater was good in thermal performance.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mpare under the same conditions with the 30° and 45° collectors, which were used much more popularly. In this study, it was impossible to experiment with the same environment, so simulation was conducted. Simulation was performed with TRNSYS18, and the simulation model was verified by comparing it with experimental data. As a result of simulation, in the order of 30°, 45°, and 90° of collector inclination angle, the collection efficiency in the winter season was 37.6%, 38.6%, 39.2%, and the solar fraction was 54.2%, 50.3%, 48.1%, respectively. The performance in summer when the load for hot water supply is small is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 inclination angles, but there is little risk of overheating due to the low system tempera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일일 및 월간 시뮬레이션 결과를 실험 데이터와 비교하여 TRNSYS18 시뮬레이션 모델을 검증하였다. 집열량에 비해 더 많은 부하를 공급하는 경향이며, 동절기에 시뮬레이션 모델의 오차가 적은 것은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입사각의 영향이 큰데, 동절기에 상대적으로 입사각이 줄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급탕부하가 집중되는 동절기가 주된 관심사이므로 비교적 적절한 시뮬레이션 모델로 판단되며, 이를 활용하여 30°, 45°, 90° 경사를 갖는 집열기의 연간 성능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1) 연간 시뮬레이션 결과 45° 집열기일 때 최댓값을 보이며, 4 m2 집열기를 갖는 태양열온수기의 연간 급탕부하 공급량은 6308 MJ, CO2 저감효과는 393 kg으로 소나무 167그루의 연간 CO2 흡수량과 동일하다. 이와 비교하여 30° 집열기는 96.5%, 90° 집열기는 68.0% 수준이다.
      (2) 동절기 시뮬레이션 결과 45°, 90°, 30° 순으로 큰 일사량을 가지나 의미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집열효율 또한 비슷하였다. 동일한 부하조건에서 태양열 의존율은 45° 경사에서 54.2%로 가장 큰 값을 나타내었고 90°는 50.3%, 30°는 48.1%를 보여 거의 대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하절기에는 30°, 45°, 90° 순서로 큰 일사량을 보이며 그 차이가 명확하였다. 같은 순서로 태양열 의존율은 88.5%, 84.5%, 29.0%, 집열효율은 18.7%, 19.2%, 11.4%를 나타내었다. 30°, 45°의 경우 높은 태양열 의존율을 보였지만 축열조 및 집열기의 온도가 높게 유지됨에 따라 낮은 집열효율을 보였고 내구성 저하가 우려된다. 벽체일체형인 90°의 경우 태양열 의존율 및 집열효율이 낮게 나타났지만 급탕부하 소요가 작고 적은 집열량으로 인해 낮은 온도를 유지함을 보였으며, 이는 실증실험에서 하절기 과열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은 것과 일치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일일 및 월간 시뮬레이션 결과를 실험 데이터와 비교하여 TRNSYS18 시뮬레이션 모델을 검증하였다. 집열량에 비해 더 많은 부하를 공급하는 경향이며, 동절기에 시뮬레이션 모...

      본 연구에서는 일일 및 월간 시뮬레이션 결과를 실험 데이터와 비교하여 TRNSYS18 시뮬레이션 모델을 검증하였다. 집열량에 비해 더 많은 부하를 공급하는 경향이며, 동절기에 시뮬레이션 모델의 오차가 적은 것은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입사각의 영향이 큰데, 동절기에 상대적으로 입사각이 줄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급탕부하가 집중되는 동절기가 주된 관심사이므로 비교적 적절한 시뮬레이션 모델로 판단되며, 이를 활용하여 30°, 45°, 90° 경사를 갖는 집열기의 연간 성능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1) 연간 시뮬레이션 결과 45° 집열기일 때 최댓값을 보이며, 4 m2 집열기를 갖는 태양열온수기의 연간 급탕부하 공급량은 6308 MJ, CO2 저감효과는 393 kg으로 소나무 167그루의 연간 CO2 흡수량과 동일하다. 이와 비교하여 30° 집열기는 96.5%, 90° 집열기는 68.0% 수준이다.
      (2) 동절기 시뮬레이션 결과 45°, 90°, 30° 순으로 큰 일사량을 가지나 의미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집열효율 또한 비슷하였다. 동일한 부하조건에서 태양열 의존율은 45° 경사에서 54.2%로 가장 큰 값을 나타내었고 90°는 50.3%, 30°는 48.1%를 보여 거의 대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하절기에는 30°, 45°, 90° 순서로 큰 일사량을 보이며 그 차이가 명확하였다. 같은 순서로 태양열 의존율은 88.5%, 84.5%, 29.0%, 집열효율은 18.7%, 19.2%, 11.4%를 나타내었다. 30°, 45°의 경우 높은 태양열 의존율을 보였지만 축열조 및 집열기의 온도가 높게 유지됨에 따라 낮은 집열효율을 보였고 내구성 저하가 우려된다. 벽체일체형인 90°의 경우 태양열 의존율 및 집열효율이 낮게 나타났지만 급탕부하 소요가 작고 적은 집열량으로 인해 낮은 온도를 유지함을 보였으며, 이는 실증실험에서 하절기 과열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은 것과 일치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진국, "태양열 온수급탕 시스템의 TRNSYS 열성능 분석" 한국태양에너지학회 32 (32): 59-67, 2012

      2 김종현 ; 이용걸 ; 이욱재 ; 홍희기, "열교환코일 내장형 태양열 축열조의 성능향상(제2보 시뮬레이션)" 대한설비공학회 28 (28): 361-366, 2016

      3 최태규 ; 홍희기, "벽체일체형 강제순환 태양열온수기의 열성능 평가(제1보 : 실증실험)" 대한설비공학회 33 (33): 385-394, 2021

      4 백남춘 ; 한승현 ; 이왕제 ; 신우철, "단독주택용 태양열/지열 융복합시스템의 태양열 급탕성능 평가" 대한설비공학회 27 (27): 581-586, 2015

      5 이성훈 ; 손효석 ; 홍희기, "나선유로에 의한 태양열 축열조 성층화 촉진(제2보 시뮬레이션)" 대한설비공학회 26 (26): 8-14, 2014

      6 임희원 ; 이왕제 ; 윤종호 ; 조성구 ; 백남춘 ; 신우철, "공동주택에 적용된 PV/T 태양열 급탕시스템 연간 열 및 발전성능 분석" 한국태양에너지학회 41 (41): 107-118, 2021

      7 Mauthner, F, "Solar Heat Worldwide 2012" SHC, IEA 2014

      8 Duffiie, J. A, "Solar Engineering of Thermal Processes" Wiley 2013

      9 DGS, "Planning & Installing Solar Thermal Systems : A Guide for Installers, Architects and Engineers" German Solar Energy Society 2010

      10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National Standard for Forest Carbon Uptake"

      1 손진국, "태양열 온수급탕 시스템의 TRNSYS 열성능 분석" 한국태양에너지학회 32 (32): 59-67, 2012

      2 김종현 ; 이용걸 ; 이욱재 ; 홍희기, "열교환코일 내장형 태양열 축열조의 성능향상(제2보 시뮬레이션)" 대한설비공학회 28 (28): 361-366, 2016

      3 최태규 ; 홍희기, "벽체일체형 강제순환 태양열온수기의 열성능 평가(제1보 : 실증실험)" 대한설비공학회 33 (33): 385-394, 2021

      4 백남춘 ; 한승현 ; 이왕제 ; 신우철, "단독주택용 태양열/지열 융복합시스템의 태양열 급탕성능 평가" 대한설비공학회 27 (27): 581-586, 2015

      5 이성훈 ; 손효석 ; 홍희기, "나선유로에 의한 태양열 축열조 성층화 촉진(제2보 시뮬레이션)" 대한설비공학회 26 (26): 8-14, 2014

      6 임희원 ; 이왕제 ; 윤종호 ; 조성구 ; 백남춘 ; 신우철, "공동주택에 적용된 PV/T 태양열 급탕시스템 연간 열 및 발전성능 분석" 한국태양에너지학회 41 (41): 107-118, 2021

      7 Mauthner, F, "Solar Heat Worldwide 2012" SHC, IEA 2014

      8 Duffiie, J. A, "Solar Engineering of Thermal Processes" Wiley 2013

      9 DGS, "Planning & Installing Solar Thermal Systems : A Guide for Installers, Architects and Engineers" German Solar Energy Society 2010

      10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National Standard for Forest Carbon Uptake"

      11 Stephen, H, "A Review of strategies for the control of high temperature stagnation in solar collectors and systems" 30 : 793-804, 2012

      12 최봉수 ; 김진홍 ; 강용태 ; 홍희기, "6kW급 태양열 온수급탕 시스템의 실증실험 및 분석(제2보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대한설비공학회 16 (16): 556-565,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44 0.622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