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성선영, "텍스트 중심 통합적 문법교육의 실행 방안 연구 : '문법 요소'의 내용 범주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 김규훈,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내용 구성 연구 : 생태학 기반의 사회문화적 소통을 근간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4
3 김용운, "카오스의 날개짓-복잡성 과학과 원형사관으로 본 한국" 김영사 1999
4 김병수, "초등학교 국어과 통합적 수업 방안 연구 : 읽기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5 박미정, "초등 국어과 생태학적 평가 방안 : 교육연극 방법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6 윤여탁, "중학교 국어①~⑥" 미래엔 2012
7 류수경, "중학교 국어 교과서 텍스트 구성의 특성과 학습 독자의 반응 연구-교수·학습 텍스트의 소통 구조와 목소리를 중심으로" 2007
8 윤희준, "중학교 국어 교과서 어휘 단원 구성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9 김경희, "중고등학교 국어과 교과서 작품의 생태학적 성격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5
10 이재승, "좋은 국어 수업 어떻게 할 것인가(수업 방법 19가지)" 교학사 2005
11 정종진, "인문학 강화를 위한 현대문학의 방향 탐색" 2000
12 노상우, "인간과 자연의 상생을 위한 생태교육학" 교육과학사 2015
13 한정현, "쓰기 영역 수행평가의 생태학적 구성 방안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90) : 201-232, 2012
14 이성영, "생태학적으로 타당한 독서 교육을 위하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2) : 123-156, 2003
15 김규연, "생태학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한 생태소설 교육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16 박인기, "생태학적 국어교육의 현실과 지향"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2) : 1-36, 2003
17 김윤옥, "생태학적 국어교육 -듣기 말하기 교육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학회 (31) : 33-51, 2005
18 고희성, "생태학적 관점의 통합 문법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연구 —‘협력학습’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47) : 187-224, 2013
19 신헌재, "생태학적 관점에 의한 국어과 평가 방안 연구" 학술진흥재단 2003
20 김혜숙, "생태학 담론을 통한 국어교육 설계" 동국대학교출판부 2014
21 이준영, "생태적 문학 독서교육 방안 연구" 국어교육학회 49 (49): 471-525, 2014
22 노상우, "생태적 담론의 교육학적 함의 -새로운 생태교육관의 모색-" 한국교육학회 41 (41): 1-21, 2003
23 권혜정, "생태의식 고양을 위한 고전문학 교육 방안 연구 : 이규보 문학에 나타난 생태의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4 김수이, "생태시의 교육 목표와 범주 설정" 비평문학 2008
25 이형권, "생태시 교육과 텍스트 구성의 문제―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32) : 143-171, 2011
26 정유민, "생태시 교육 방법 연구 : 중학교 검정 교과서 수록시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7 진소라, "생태문해력의 사회과교육적 의미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3 (23): 145-158, 2015
28 김향미, "생태문학 지도방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9 김용민, "생태문학" 책세상 2003
30 김민정, "생태 공동체론과 대안사회 논의" 인문학연구원 92 : 241-265, 2010
31 고희성, "상호문화적 문법교육의 내용 구성 연구 - 생태학적 인식론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6
32 김혜숙, "상호문화적 국어교육의 교수-학습 방향 모색 - 다문화 사회의 통합형 문법교육을 위하여" 한국국어교육학회 (93) : 5-46, 2012
33 김지하, "밥" 창작과 비평 1988
34 서현석, "미래 사회를 준비하는 국어교육 연구의 과제" 국어문학회 61 (61): 295-317, 2016
35 곽춘옥, "문식성 학습과 평가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 국어교육학회 (18) : 5-34, 2003
36 김명순, "문식력 개념의 변화 양상과 재개념화 방향" 한국어교육학회 (110) : 2-44, 2003
37 김규훈, "문법교육의 소통적 관점에 관한 고찰 - 텍스트 중심성 원리의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92) : 35-66, 2012
38 김규훈, "문법교육의 생태학적 평가 방안 연구 -텍스트와 맥락을 활용한 평가 문항 개발을 위하여-" 국어교육학회 (43) : 5-34, 2012
39 박이문, "문명의 위기와 문화의 전환 – 생태학적 세계관을 위하여" 민음사 1996
40 박이문, "문명의 미래와 생태학적 세계관" 당대 1998
41 김라연, "모둠 독서 활동에서의 독서 행동 변화 양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42 KBS <명견만리> 제작팀, "명견만리 - 윤리, 기술, 중국, 교육 편"
43 이창덕, "듣기·말하기 영역의 문식력 교육 -초등학교 중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5) : 211-243, 2011
44 이진우, "녹색사유와 에코토피아" 문예출판사 1998
45 한정현, "국어교육의 상생적 의사소통 능력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5
46 이호형, "국어 수업의 교사 자기 평가 원리 탐색-생태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94) : 281-312, 2013
47 최미숙, "국어 교육의 이해" 사회평론아카데미 2016
48 박수자, "구성주의 이론의 국어교육학적 의의" 한국독서학회 (18) : 1-26, 2007
49 김성란, "교과서에 나타난 생태시 고찰-중·고등학교 국어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78) : 75-98, 2008
50 김승구,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에 수록된 생태시에 관한 연구 : 생태의식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51 오정훈, "‘비판’과 ‘공존’의 시학으로서의 생태시 교육방법" 국어교육학회 (43) : 377-410, 2012
52 문순홍, "[단행본] 생태학의 담론" 솔 1999
53 Naess, A., "The Shallow and the Deep, Longrange Ecology Movement" (16) : 1973
54 Commoner, B., "The Closing Circle : Nature, Man, and Technology" Knopf 1971
55 Barton, D., "Literacy – An Introduction to the Ecology of Written Language" Blackwell 2007
56 Colucci-Gray, "From Scientific Literacy to Sustainability Literacy : An Ecological Framwork For Education" 90 (90): 2005
57 Orr, D., "Ecological Literacy-Education and the Transition to a Postmodern World"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2
58 류수열,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문학 영역의 논리" 국어교육학회 51 (51): 135-159,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