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이버안보 위협에 대한 법제적 대응방안 = Coping with Legal Issues on Cyber-Security Threa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rth Korea has been cyber-attacking public and private sectors in the Republic of Korea including government agencies, financial institutions, and media companies indiscriminately and continuously.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spond by laws to this situation. Japan enacted the Framework Act on Cyber Security(サイバーセキュリティ基本法), and has established the legal system to respond to cyber attacks effectively and actively. It seems to be an important reference to legislate fundamental law on cyber security.
      Our current laws relevant to cyber security are not enough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to defend cyber attacks by North Korea, which are evolving tremendously. Therefore, in order to actively prevent and effectively respond to cyber attacks by North Korea, the bill “National Cyber Security Act(governmental legislation)” considered as framework act on cyber security is necessary to be passed in the congress as soon as possible.
      번역하기

      North Korea has been cyber-attacking public and private sectors in the Republic of Korea including government agencies, financial institutions, and media companies indiscriminately and continuously.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spond by laws to this ...

      North Korea has been cyber-attacking public and private sectors in the Republic of Korea including government agencies, financial institutions, and media companies indiscriminately and continuously.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spond by laws to this situation. Japan enacted the Framework Act on Cyber Security(サイバーセキュリティ基本法), and has established the legal system to respond to cyber attacks effectively and actively. It seems to be an important reference to legislate fundamental law on cyber security.
      Our current laws relevant to cyber security are not enough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to defend cyber attacks by North Korea, which are evolving tremendously. Therefore, in order to actively prevent and effectively respond to cyber attacks by North Korea, the bill “National Cyber Security Act(governmental legislation)” considered as framework act on cyber security is necessary to be passed in the congress as soon as possib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북한의 사이버공격은 정부기관ㆍ금융회사ㆍ언론사 등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을망라하여 무차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① 3ㆍ20 방송ㆍ금융전산망 해킹사건(2013.3.20)과 ② 한국수력원자력 문서유출사건(2014.12.15) 그리고 ③ 군 인터넷망과 인트라넷망(국방망) 해킹사건(2016. 9)을 들 수 있다. 먼저 3 ㆍ20 방송ㆍ금융전산망 해킹사건을 계기로 정부가 ‘국가사이버안전 전략회의’를 개최하여 국가 사이버안보 종합대책 을 수립하였고, 다음으로 한수원 문서유출사건은 사이버공격에 대해 기술적 대응 못지않게 사회공학적 해킹에도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는 교훈을 주었으며, 마지막으로 최근의 군 인터넷망과 인트라넷망(국방망) 해킹사건은 고급 군사기밀을 다루는 군인들의 보안의식의 해이와 군내 사이버안보에 대한 명령체계와 담당업무가 명확하지 않다는 점이 드러났다는 점에서 충격을 주고 있다.
      당파적 대립으로 우리나라가 사이버안보 입법에 한 걸음도 내딛지 못하고 있는사이 일본은 사이버시큐리티기본법을 제정하여 사이버공격에 효율적이고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법체계를 갖추었다. 일본의 사이버시큐리티기본법 제정은 일본에 대한 사이버공격의 현저한 증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2020년 도쿄올림픽과 페럴림픽에서의 선수보호 등 안전한 개최에 대한 우려를 법제정을 통해 해결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점증하는 북한의 사이버공격에 대한 대응체제를 구비한다는 측면과 함께 2018년 평창올림픽에서의 참가선수 및 귀빈들에 대한 안전보장의 필요성이 절실함을 감안하면 더이상 법제정을 늦추어서는 안될 것이다.
      따라서 북한의 사이버공격에 대한 적극적인 예방과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서는사이버안보에 대한 일반법을 조속히 제정하여야 한다. 국회에는 국가사이버안보법안(정부입법)이 상정되어 있다. 법안의 주요 내용으로는 ① 사이버안보 추진기구로서 대통령 소속으로 국가사이버안보위원회(위원장: 국가안보실장)의 설치, ② 사이버안보를 위한 예방활동으로 국가정보원장의 사이버안보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③ 사이버안보 실태의 평가, ④ 사이버위협정보공유센터를 통한 사이버 위협정보의 공유, ⑤ 사이버안보를 위한 대응활동으로 사이버공격의 탐지, 사이버공격으로 인한 사고의 통보 및 조사, 사이버위기경보의 발령 및 사이버위기대책본부의 구성 등을 들 수 있다. 개인정보보호 등에 대한 조치(안 제21조)도 규정되어있다.
      현재 공공부문의 사이버안보를 규율하는 국가사이버안전관리규정(대통령훈령)은참여정부에서 제정한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국가사이버안보법의 제정은 사이버안보에 대한 입법적 책무를 참여정부 2기에 해당하는 문재인 정부에서 ‘마무리’한다는 역사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 셈이라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북한의 사이버공격은 정부기관ㆍ금융회사ㆍ언론사 등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을망라하여 무차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① 3ㆍ20 방송ㆍ금융전산망 해킹사건(2013.3.20)과...

      북한의 사이버공격은 정부기관ㆍ금융회사ㆍ언론사 등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을망라하여 무차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① 3ㆍ20 방송ㆍ금융전산망 해킹사건(2013.3.20)과 ② 한국수력원자력 문서유출사건(2014.12.15) 그리고 ③ 군 인터넷망과 인트라넷망(국방망) 해킹사건(2016. 9)을 들 수 있다. 먼저 3 ㆍ20 방송ㆍ금융전산망 해킹사건을 계기로 정부가 ‘국가사이버안전 전략회의’를 개최하여 국가 사이버안보 종합대책 을 수립하였고, 다음으로 한수원 문서유출사건은 사이버공격에 대해 기술적 대응 못지않게 사회공학적 해킹에도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는 교훈을 주었으며, 마지막으로 최근의 군 인터넷망과 인트라넷망(국방망) 해킹사건은 고급 군사기밀을 다루는 군인들의 보안의식의 해이와 군내 사이버안보에 대한 명령체계와 담당업무가 명확하지 않다는 점이 드러났다는 점에서 충격을 주고 있다.
      당파적 대립으로 우리나라가 사이버안보 입법에 한 걸음도 내딛지 못하고 있는사이 일본은 사이버시큐리티기본법을 제정하여 사이버공격에 효율적이고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법체계를 갖추었다. 일본의 사이버시큐리티기본법 제정은 일본에 대한 사이버공격의 현저한 증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2020년 도쿄올림픽과 페럴림픽에서의 선수보호 등 안전한 개최에 대한 우려를 법제정을 통해 해결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점증하는 북한의 사이버공격에 대한 대응체제를 구비한다는 측면과 함께 2018년 평창올림픽에서의 참가선수 및 귀빈들에 대한 안전보장의 필요성이 절실함을 감안하면 더이상 법제정을 늦추어서는 안될 것이다.
      따라서 북한의 사이버공격에 대한 적극적인 예방과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서는사이버안보에 대한 일반법을 조속히 제정하여야 한다. 국회에는 국가사이버안보법안(정부입법)이 상정되어 있다. 법안의 주요 내용으로는 ① 사이버안보 추진기구로서 대통령 소속으로 국가사이버안보위원회(위원장: 국가안보실장)의 설치, ② 사이버안보를 위한 예방활동으로 국가정보원장의 사이버안보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③ 사이버안보 실태의 평가, ④ 사이버위협정보공유센터를 통한 사이버 위협정보의 공유, ⑤ 사이버안보를 위한 대응활동으로 사이버공격의 탐지, 사이버공격으로 인한 사고의 통보 및 조사, 사이버위기경보의 발령 및 사이버위기대책본부의 구성 등을 들 수 있다. 개인정보보호 등에 대한 조치(안 제21조)도 규정되어있다.
      현재 공공부문의 사이버안보를 규율하는 국가사이버안전관리규정(대통령훈령)은참여정부에서 제정한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국가사이버안보법의 제정은 사이버안보에 대한 입법적 책무를 참여정부 2기에 해당하는 문재인 정부에서 ‘마무리’한다는 역사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 셈이라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곽관훈, "최근 일본의 사이버안보 관련법령 현황과 시사점, In 사이버 안보위협 대응 전략의 법정책적 검토 및 전망" 2013

      2 김성천, "최근 독일의 사이버안보 관련법령 동향과 시사점, In 외국의 사이버안보 관련법제 동향 및 법정책적 과제" 2014

      3 윤장홍, "초연결사회의 사이버안보와 관련한 기술적 기반, In 초연결사회와 사이버안보" 2014

      4 김현수, "주요정보기반보호(CIIP) 동향 -미국과 EU를 중심으로-" 한국법제연구원 2012

      5 김태오, "주요 국가별 사이버안보 대응체계 연구, In 국가사이버안전을 위한 법적 과제" 2015

      6 정태진, "주요 국가별 사이버안보 대응체계 연구, In 국가사이버안전을 위한 법적 과제" 2015

      7 박상돈, "정부3.0 성공을 위한 사이버보안의 역할, In 정부3.0시대의 사이버안보" 2015

      8 최경진, "정부 조직 개편에 따른 사이버안보법체계 개선방안, In 사이버위협의 현황과 법제도방안" 2013

      9 김재광, "일본의 사이버위기 관련법제의 현황과 전망" 법학연구소 33 (33): 41-63, 2009

      10 박상돈, "일본 사이버시큐리티기본법에 대한 고찰: 한국의 사이버안보 법제도 정비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50 (50): 145-175, 2015

      1 곽관훈, "최근 일본의 사이버안보 관련법령 현황과 시사점, In 사이버 안보위협 대응 전략의 법정책적 검토 및 전망" 2013

      2 김성천, "최근 독일의 사이버안보 관련법령 동향과 시사점, In 외국의 사이버안보 관련법제 동향 및 법정책적 과제" 2014

      3 윤장홍, "초연결사회의 사이버안보와 관련한 기술적 기반, In 초연결사회와 사이버안보" 2014

      4 김현수, "주요정보기반보호(CIIP) 동향 -미국과 EU를 중심으로-" 한국법제연구원 2012

      5 김태오, "주요 국가별 사이버안보 대응체계 연구, In 국가사이버안전을 위한 법적 과제" 2015

      6 정태진, "주요 국가별 사이버안보 대응체계 연구, In 국가사이버안전을 위한 법적 과제" 2015

      7 박상돈, "정부3.0 성공을 위한 사이버보안의 역할, In 정부3.0시대의 사이버안보" 2015

      8 최경진, "정부 조직 개편에 따른 사이버안보법체계 개선방안, In 사이버위협의 현황과 법제도방안" 2013

      9 김재광, "일본의 사이버위기 관련법제의 현황과 전망" 법학연구소 33 (33): 41-63, 2009

      10 박상돈, "일본 사이버시큐리티기본법에 대한 고찰: 한국의 사이버안보 법제도 정비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50 (50): 145-175, 2015

      11 정태진, "인적 정보(HUMINT)의 역할강화를 통한 사이버 안보위협 대응전략, In 사이버 안보위협 대응전략의 법정책적 검토 및 전망" 2013

      12 김정임, "인도의 IT법제(사이버안보)의 분석과 시사점, In 외국의 사이버안보 관련법제 동향 및 법정책적 과제" 2015

      13 최난설헌, "연성규범(Soft Law)의 기능과 법적 효력 - EU 경쟁법상의 논의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16 (16): 87-123, 2013

      14 정필운, "스마트 환경에서 인터넷 침해사고 대응 조직과 추진체계" 2012

      15 양근원, "사이버테러 대응과 현행 절차법 검토" 3 (3): 2004

      16 김재광, "사이버안보의 사회적 인식 제고를 위한 법정책적 개선방안" 한국사이버안보법정책학회 (1) : 2014

      17 박영철, "사이버안보와 통신비밀보호법" 한국사이버안보법정책학회 (1) : 2014

      18 김인중, "사이버안보 추진체계의 이슈와 과제" 한국사이버안보법정책학회 (1) : 2014

      19 김재광, "사이버안보 입법환경 변화에 따른 입법전략, In 국가사이버안전을 위한 법적 과제" 2015

      20 김성천, "사이버보안 법제에 관한 연구" 중앙법학회 13 (13): 311-336, 2011

      21 강달천, "사이버 침해사고 현황과 법적 의의" 한국사이버안보법정책학회 (1) : 2014

      22 장철준, "빅데이터ㆍ클라우드 시대의 헌법과 사이버안보" 한국사이버안보법정책학회 (1) : 2014

      23 신동만, "북한의 사이버 위협이 한국안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6

      24 박상돈, "미국 사이버보안 입법의 신경향 연구" 한국융합보안학회 11 (11): 19-29, 2011

      25 지성우, "독일의 사이버위기 관련 법제의 현황과 전망" 단국대 법학연구소 2009

      26 김성천, "독일의 사이버보안 법제" 한국사이버안보법정책학회 (1) : 2014

      27 오승진, "국제법상 사이버공격의 적용가능성" 2016

      28 이창범, "국내외 사이버안보관련 법제정 동향과 시사점, In 사이버테러와 법정책적 대응" 2013

      29 김재광, "국가 정보보호 추진체계 관련법제 분석" 한국정보화진흥원 2009

      30 정준현, "국가 사이버안보를 위한 법제 현황과 개선방향" 2012

      31 이정현, "국가 사이버안보(cyber security) 추진체계의 이슈와 과제" 한국사이버안보법정책학회 (1) : 2014

      32 김현수, "국가 사이버안보 법정책의 현황과 인식제고방안 - 미국의 사례를 증심으로 -, In 사이버위협의 현황과 법제도방안" 2013

      33 박균성, "경찰행정법" 박영사 2016

      34 金日煥, "獨逸 基本法上 대테러관련기관과 법제도들에 관한 考察" 법학연구원 15 (15): 75-95, 2003

      35 권현준, "IOT환경과 사이버안보의 법정책적 문제, In 초연결사회와 사이버안보" 2014

      36 박상돈, "2015년도 사이버안보 법제도 연구" 국가보안기술연구소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2-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LAW JOURNAL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5-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학연구소 -> 법학연구원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 0.912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