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만성질환 입원 노인 환자의 가족지지, 건강증진행위,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Relationship among Family Support,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of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3716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만성질환으로 입원한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가족지지와 건강증진행위,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만성질환으로 입원한 노인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

      본 연구는 만성질환으로 입원한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가족지지와 건강증진행위,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만성질환으로 입원한 노인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시행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의정부시에 소재한 종합병원에 만성질환으로 입원 중인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총 연구 대상자는 194명이었다. 선정 기준은 65세 이상의 만성질환 진단명(고혈압, 당뇨, 뇌혈관질환, 심혈관질환, 골관절질환, 만성호흡기계 질환)을 가진 의식이 명료한 입원 노인 환자로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이해하고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서면 동의한 자로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약 3개월 간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가족지지 정도는 40.58(±7.77)로 평균 보다 높았고, 건강증진행위 정도는 79.94(±11.88)로 평균보다 높았으며, 대상자의 삶의 질 정도는 102.07(±13.96)로 평균 보다 높았다.

      2.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는 경제사정(F=3.77, P=.006), 주된 소득원(F=3.39, P=.006), 건강문제 상의(F=6.59, P=.000), 가족관계(F=30.61, P=.000), 치료비 지불(F=2.87, P=.024)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는 학력(F=3.17, P=.015), 경제사정(F=3.49. P=.009), 주된 소득원(F=4.95, P=.000), 건강문제 상의(F=6.81,P=.000), 인지하는 가족 관계(F=7.86, P=.000)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은 학력(F=2.7, P=.031), 경제 사정 (F=9.81, P=.000), 건강문제 상의(F=2.51,P=.031), 지각된 건강상태(F=4.30, P=.002), 가족관계(F=.691, P=.000)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가족지지와 건강증진행위는 양의 상관관계(r=.46,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지지와 삶의 질은 양의 상관관계(r=.41.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은 양의 상관관계(r=.45,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만성질환 입원노인들의 가족지지가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가족지지가 만성질환 입원 노인환자들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므로 가족지지를 높일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과 적절한 치료법에 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the factors which woul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senile patients who admitted with chronic disease. Senile patients who were admitted with chronic disease in Uijeongbu city were enrolled. The familial suppor...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the factors which woul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senile patients who admitted with chronic disease.

      Senile patients who were admitted with chronic disease in Uijeongbu city were enrolled. The familial support, health improving behaviors, and the degree of quality of life were examined. They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selves. Al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software, version 18.0. The data was showed in percentage, minimum value, maximum value, mean value,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efficient were used.

      The degree of familial support was 40.58 ( ±7.77). The degree of health improving behavior was 79.94 (±11.88). The degree of quality of life was 102.07 (± 13.93) and higher. They all were higher than mean values.
      The familial suppor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s of familial relationship, health problem, socioecomic state, educational state. The health improving behavio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levels of familial relationship, health problem, income, economic state, and educational state. The quality of lif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economic state, familial relationship, health problem, and educational state.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ial support and health improving behavior (r=0.46, p<0.001). Familial suppor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quality of life (r=0.41, p<0.001). Health improving behavior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 (r=0.45, p<0.001).

      The higher familial support was, the higher health improv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were. Familial support was the important factor to effect on health improv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Thus nursing intervention and proper treatment to increase in familial support will be need through further stud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논문요약…………………………………………………………………………………ⅳ
      • Ⅰ 서론 …………………………………………………………………………‥…… 1
      • 목차
      • 논문요약…………………………………………………………………………………ⅳ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4
      • 3. 용어 정의 ………………………………………………………………………………4
      • Ⅱ 문헌고찰 ………………………………………………………………………………7
      • 1. 만성질환 ………………………………………………………………………………7
      • 2. 가족지지 ………………………………………………………………………………10
      • 3. 건강증진행위………………………………………………………………………… 14
      • 4. 삶의 질……………………………………………………………………‥…………17
      • Ⅲ 연구 방법…………………………………………………………………………… 21
      • 1. 연구 설계………………………………………………………………………………21
      • 2. 연구 대상………………………………………………………………………………21
      • 3. 연구 도구……………………………………………………………………………· 21
      • 4. 자료 수집 방법………………………………………………………………………·23
      • 5. 자료 분석 방법………………………………………………………………………·23
      • 6. 윤리적 고려……………………………………………………………………………24
      • Ⅳ 연구 결과……………………………………………………………………………25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5
      • 2. 대상자의 가족지지, 건강증진행위, 삶의 질 정도 ………………………………30
      •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건강증진행위, 삶의 질 차이
      • ……………………………………………………………………………………………32
      • 4. 대상자의 가족지지, 건강증진행위, 삶의 질의 상관관계…………………………41
      • Ⅴ논의……………………………………………………………………………………43
      • Ⅵ. 결론 및 제언……………………………………………………………………… 49
      • 1. 결론……………………………………………………………………………………49
      • 2. 제언……………………………………………………………………………………51
      • 참고 문헌…………………………………………………………………………………53
      • 부록(설문지)…………………………………………………………………………… 64
      • Abstrat……………………………………………………………………………………72
      • 감사의 글…………………………………………………………………………………7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