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A) study on the stabilization of Chinese nationalism : drawing on the analysis of PRC’s political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6278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offers a useful analysis of PRC’s nationalism related to its political system. The concept of Chinese nationalism as a political principle is produced to show nation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comparing with other generalized concepts of nationalism. According Ernest Gellner, the origin of nationalism as a political ideology is drawn from nation’s industrialization. In contrast, nationalism was introduced into China in the middle of 19th century by means of resisting imperialist invaders. Ernest Gellner indicates the two aspects of nationalism: first, nationalism is a political principle and movement; second, nationalism is the functional product of industrialization. However, Anthony D. Smith indicates that Gellner’s view a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ism and industrial society is too functionalist. The thesis, thus, is given heavy emphasis to two aspects as for the concept of nationalism: the first is nationalism as not the functional product of industrialization but each nation’s political principle based on its member’s consensus; the second is nationalism as each nation’s ideological nativism which has been adopted since its modernization.
      First, the thesis tries approach to political system in order to achieve objective validity o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nationalism. Second, the author also traces the historical process of Chinese pro-nationalism movements from the Opium War to the present.
      We may get more specific concept of Chinese nationalism as a political behavior through the analysis of Chinese nationalism drawing on political system. According to Robert A. Dahl and Hannah Arendt, power is based on conflict and authority is based on a rule; however, both depend on consensus drawn from the people. A nation humiliated by heterogeneous invaders could not preserve its people’s security; thus, the people would not support the existing government. Finally, a new-born nation is established through a revolution led by political elites. The government would try to achieve the nation’s goal, escape political turmoil, and reach national consensus; thus the new-born nation is getting more stabilized than before.
      번역하기

      This thesis offers a useful analysis of PRC’s nationalism related to its political system. The concept of Chinese nationalism as a political principle is produced to show nation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comparing with other generalized conc...

      This thesis offers a useful analysis of PRC’s nationalism related to its political system. The concept of Chinese nationalism as a political principle is produced to show nation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comparing with other generalized concepts of nationalism. According Ernest Gellner, the origin of nationalism as a political ideology is drawn from nation’s industrialization. In contrast, nationalism was introduced into China in the middle of 19th century by means of resisting imperialist invaders. Ernest Gellner indicates the two aspects of nationalism: first, nationalism is a political principle and movement; second, nationalism is the functional product of industrialization. However, Anthony D. Smith indicates that Gellner’s view a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ism and industrial society is too functionalist. The thesis, thus, is given heavy emphasis to two aspects as for the concept of nationalism: the first is nationalism as not the functional product of industrialization but each nation’s political principle based on its member’s consensus; the second is nationalism as each nation’s ideological nativism which has been adopted since its modernization.
      First, the thesis tries approach to political system in order to achieve objective validity o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nationalism. Second, the author also traces the historical process of Chinese pro-nationalism movements from the Opium War to the present.
      We may get more specific concept of Chinese nationalism as a political behavior through the analysis of Chinese nationalism drawing on political system. According to Robert A. Dahl and Hannah Arendt, power is based on conflict and authority is based on a rule; however, both depend on consensus drawn from the people. A nation humiliated by heterogeneous invaders could not preserve its people’s security; thus, the people would not support the existing government. Finally, a new-born nation is established through a revolution led by political elites. The government would try to achieve the nation’s goal, escape political turmoil, and reach national consensus; thus the new-born nation is getting more stabilized than befo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당대 중국 민족주의를 정치시스템이론에 맞춰 분석한다. 또한 민족주의의 일반론적인 개념과 중국 민족주의의 실제적 정치활동을 비교함으로써 중국 민족주의가 갖는 특수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민족주의는 원래 서구의 근대국가 건설 개념으로써 봉건 국가에서 근대국가로 넘어가는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하였다. 반면 중국의 민족주의는 외세에 대항하는 저항 민족주의적 색채가 강하다. 민족주의의 일반적인 개념으로써는 어네스트 겔너의 이론을 중심으로 하여 그의 이론에 대해 수용과 비판을 한다. 겔너는 민족주의의 기능적인 측면을 강조하여 민족주의가 산업화 사회의 정치적 부산물임을 주장하는데 이를 비판하기 위하여 민족주의의 역사와 문화적 측면을 강조한 안소니 스미스의 주장을 예로 든다. 이로써 본 논문에서는 정치적 주의로서의 민족주의 개념과 더불어 중국 민족주의의 특수한 역사와 문화적인 측면도 함께 고려한다. 즉, 본 논문은 중국 민족주의를 분석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개념을 전제로 한다.
      첫째, 민족주의는 정치적 주의며, 정치적 운동이다.
      둘째 민족주의는 해당 민족이 공유하는 문화와 역사를 기반으로 한다.
      위의 두 가지 전제로 중국 민족주의를 분석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민족주의의 일반론적 개념을 정치시스템이론으로 분석한다. ‘민족주의는 정치적 주의이다’라는 겔너의 지적은 정치적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민족주의가 발생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근대의 중국의 정치적 목적은 무엇인지, 어떠한 성격을 지니고 있는 지를 살펴본다.
      중국 민족주의를 정치시스템적으로 분석해 보면, 중국 민족주의는 힘과 권위를 기반으로 하는 정치적 행위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한 근거로는 로버트 달과 한나 아렌트의 이론을 들 수가 있다. 정치시스템에 있어서 힘과 권위에 대한 그들의 개념을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즉, 민족주의에 있어서 정치적 힘은 충돌적 성격이 있는 반면에 정치적 권위는 통치적 성격이 강하다. 그리고 힘과 권위는 모두 국민적 합의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개념을 전제로 중국 민족주의의 발생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편전쟁 이후로, 청 정부는 제국주의에 대항할 통치기반이 약화되었다. 이에 새로운 국가를 세우고자 하는 혁명가와 지식인들에 의해 반전통적이며 반제국주의적인 성격을 지닌 중국 민족주의가 발생하였다. 즉, 서구 열강에 대항하여 실추된 국가의 권위를 회복하고 낡고 무능한 청 정부를 대신 할, 보다 부강하고 자주적인 민족국가를 건설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중국 민족주의가 발생한 것이다.
      한편, 1990년 이후로 중국은 그 급속한 경제 발전과 이로 인한 국력신장에 힘입어 또 다시 민족주의적 색채를 띠며 국제정치무대에서 부상하였다. 이로 인하여, 또한 세계 정치 학계는 중국이 머지 않아 세계적 강국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하게 되었다. 이렇게 중국에서 민족주의가 부상하게 된 원인을 분석해 보면, 중국 민족주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첫째, 중국 민족주의는 현재 안정화 단계에 있다. 둘째, 중국 민족주의는 계속적이며 안정적 성장을 이끌어야 하는 공산당의 주도의 정치적 주의이며, 정치적 운동이다. 셋째, 중국 정부는 이미 국제적으로 퇴조한 사회주의 이념에 대한 대체 이데올로기로써 그리고 계속적으로 중국 정부를 괴롭혀 왔던 소수 민족의 분리주의운동에 대한 대응 방편으로써 정치이데올로기로써의 민족주의운동을 주도하고 있다. 현재 이와 같은 정부 주도형의 중국 민족주의는 본토주의와 애국주의로 표출 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중국 지도부는 민족주의의 안정화를 통해서 자신들의 정치체제를 본토주의적으로 고수할 것이며, 더불어 이러한 당 주도적인 정치시스템에 대한 국민적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해서 정부주도의 애국주의운동은 중국 정치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남아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당대 중국 민족주의를 정치시스템이론에 맞춰 분석한다. 또한 민족주의의 일반론적인 개념과 중국 민족주의의 실제적 정치활동을 비교함으로써 중국 민족주의가 갖는 특수성을 ...

      본 논문은 당대 중국 민족주의를 정치시스템이론에 맞춰 분석한다. 또한 민족주의의 일반론적인 개념과 중국 민족주의의 실제적 정치활동을 비교함으로써 중국 민족주의가 갖는 특수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민족주의는 원래 서구의 근대국가 건설 개념으로써 봉건 국가에서 근대국가로 넘어가는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하였다. 반면 중국의 민족주의는 외세에 대항하는 저항 민족주의적 색채가 강하다. 민족주의의 일반적인 개념으로써는 어네스트 겔너의 이론을 중심으로 하여 그의 이론에 대해 수용과 비판을 한다. 겔너는 민족주의의 기능적인 측면을 강조하여 민족주의가 산업화 사회의 정치적 부산물임을 주장하는데 이를 비판하기 위하여 민족주의의 역사와 문화적 측면을 강조한 안소니 스미스의 주장을 예로 든다. 이로써 본 논문에서는 정치적 주의로서의 민족주의 개념과 더불어 중국 민족주의의 특수한 역사와 문화적인 측면도 함께 고려한다. 즉, 본 논문은 중국 민족주의를 분석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개념을 전제로 한다.
      첫째, 민족주의는 정치적 주의며, 정치적 운동이다.
      둘째 민족주의는 해당 민족이 공유하는 문화와 역사를 기반으로 한다.
      위의 두 가지 전제로 중국 민족주의를 분석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민족주의의 일반론적 개념을 정치시스템이론으로 분석한다. ‘민족주의는 정치적 주의이다’라는 겔너의 지적은 정치적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민족주의가 발생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근대의 중국의 정치적 목적은 무엇인지, 어떠한 성격을 지니고 있는 지를 살펴본다.
      중국 민족주의를 정치시스템적으로 분석해 보면, 중국 민족주의는 힘과 권위를 기반으로 하는 정치적 행위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한 근거로는 로버트 달과 한나 아렌트의 이론을 들 수가 있다. 정치시스템에 있어서 힘과 권위에 대한 그들의 개념을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즉, 민족주의에 있어서 정치적 힘은 충돌적 성격이 있는 반면에 정치적 권위는 통치적 성격이 강하다. 그리고 힘과 권위는 모두 국민적 합의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개념을 전제로 중국 민족주의의 발생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편전쟁 이후로, 청 정부는 제국주의에 대항할 통치기반이 약화되었다. 이에 새로운 국가를 세우고자 하는 혁명가와 지식인들에 의해 반전통적이며 반제국주의적인 성격을 지닌 중국 민족주의가 발생하였다. 즉, 서구 열강에 대항하여 실추된 국가의 권위를 회복하고 낡고 무능한 청 정부를 대신 할, 보다 부강하고 자주적인 민족국가를 건설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중국 민족주의가 발생한 것이다.
      한편, 1990년 이후로 중국은 그 급속한 경제 발전과 이로 인한 국력신장에 힘입어 또 다시 민족주의적 색채를 띠며 국제정치무대에서 부상하였다. 이로 인하여, 또한 세계 정치 학계는 중국이 머지 않아 세계적 강국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하게 되었다. 이렇게 중국에서 민족주의가 부상하게 된 원인을 분석해 보면, 중국 민족주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첫째, 중국 민족주의는 현재 안정화 단계에 있다. 둘째, 중국 민족주의는 계속적이며 안정적 성장을 이끌어야 하는 공산당의 주도의 정치적 주의이며, 정치적 운동이다. 셋째, 중국 정부는 이미 국제적으로 퇴조한 사회주의 이념에 대한 대체 이데올로기로써 그리고 계속적으로 중국 정부를 괴롭혀 왔던 소수 민족의 분리주의운동에 대한 대응 방편으로써 정치이데올로기로써의 민족주의운동을 주도하고 있다. 현재 이와 같은 정부 주도형의 중국 민족주의는 본토주의와 애국주의로 표출 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중국 지도부는 민족주의의 안정화를 통해서 자신들의 정치체제를 본토주의적으로 고수할 것이며, 더불어 이러한 당 주도적인 정치시스템에 대한 국민적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해서 정부주도의 애국주의운동은 중국 정치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남아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CHAPTER Ⅰ INTRODUCTION = 1
      • 1.1 Conceptual Framework = 2
      • 1.2 Purpose = 4
      • 1.3 Methodology = 7
      • CHAPTER Ⅱ THE SYSTEM ANALYSIS OF CHINESE NATIONALISM = 9
      • CHAPTER Ⅰ INTRODUCTION = 1
      • 1.1 Conceptual Framework = 2
      • 1.2 Purpose = 4
      • 1.3 Methodology = 7
      • CHAPTER Ⅱ THE SYSTEM ANALYSIS OF CHINESE NATIONALISM = 9
      • 2.1 The System of Nationalism as a Political Concept = 9
      • 2.2 The Analysis of Chinese Nationalism = 16
      • CHAPTER Ⅲ STABLIZATION OF CHINESE NATIONALISM = 18
      • 3.1 The Phases of Chinese Nationalism = 18
      • 3.1.1 Formation and Development = 18
      • 3.1.2 Stabilization = 23
      • 3.2 Prerequisites for the Stabilization = 25
      • CHAPTER Ⅳ THE IMPLICATIONS OF THE SATBILIZATION = 33
      • 4.1 The Analysis of Interior Prerequisites = 33
      • 4.2 The Analysis of Exterior Prerequisites = 40
      • CHAPTER Ⅴ CONCLUSION = 46
      • BIBLIOGRAPHY = 49
      • APPENDIX = 56
      • ABSTRACT = 57
      • 국문초록 = 5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