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총독부 학무국의 삼일운동 대응 양상 = The response aspects about the March 1st Movement of the Education Bureau of the Japanese Goverment-General of Chos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290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삼일운동에 대한 조선총독부 내무부 산하 학무국의 조치와 그에따른 관공사립학교들의 대응을 살펴보았다. 그동안 삼일운동에 대한 연구에서학교와 학생은 운동의 공간이자 주체로서 해석되어 왔지만, 또 한편으로는 조선총독부의 통치정책이 세밀하게 반영되고 개입될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였음을확인할 수 있었다. 학무국은 1919년 2월 8일 일본의 수도 도쿄에서 재일본조선인유학생들의2.8독립선언이 이루어지면서 독립운동 조짐에 대한 대응을 본격화했다. 학무국은 경무관헌과의 연락을 강화하고 각급 학교들에 학생들을 관리할 것을 지시했고 학생들의 주소록을 만들었다. 학무국장은 2월 19일부터 3월 16일까지 도쿄를 방문하여 일본제국 본국의 관헌들과 협의를 강화하고 2.8독립선언의 영향이삼일운동에 미치는 것을 막고자 하였다. 그러나 삼일운동이 시작되면서 이 같은 예비 대응은 실패로 돌아갔다. 삼일운동이 시작된 이후 학무국에서는 관립학교, 도 단위의 학무 당국자들과의 연락을 강화하고 만세시위에 참가한 학교 직원 및 학생들에 대해 조치하고동맹휴교와 만세시위를 예방하라는 지시내리고, 외국인 경영의 종교학교들을단속했다. 4월 이후에는 조선총독부에서 조직적으로 삼일운동에 대응하기 위해임시조직개편을 단행하며, 학무국이 언론보도 관련 분야를 담당했다. 1919년 삼일운동 이후 학무국은 조선총독부 내무부에서 분리되어 그 위상이상승했다. 종교와 학교를 관리하는 부서가 되면서 삼일운동의 사후 처리를 담당하게 되었다. 1920년 3월 1일 삼일운동 1주년 기념 만세시위에 대응하기 위하여 사립학교 규칙을 개정하면서 학무국은 이전보다 자의적이고 막강하게 사립학교 운영 주체에 대한 제재를 가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를 기반으로사립 종교학교의 외국인 교장 3명을 인가 취소 처분하면서 삼일운동 대응 실패를 만회하려고 하였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삼일운동에 대한 조선총독부 내무부 산하 학무국의 조치와 그에따른 관공사립학교들의 대응을 살펴보았다. 그동안 삼일운동에 대한 연구에서학교와 학생은 운동의 공간이자 주...

      본고에서는 삼일운동에 대한 조선총독부 내무부 산하 학무국의 조치와 그에따른 관공사립학교들의 대응을 살펴보았다. 그동안 삼일운동에 대한 연구에서학교와 학생은 운동의 공간이자 주체로서 해석되어 왔지만, 또 한편으로는 조선총독부의 통치정책이 세밀하게 반영되고 개입될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였음을확인할 수 있었다. 학무국은 1919년 2월 8일 일본의 수도 도쿄에서 재일본조선인유학생들의2.8독립선언이 이루어지면서 독립운동 조짐에 대한 대응을 본격화했다. 학무국은 경무관헌과의 연락을 강화하고 각급 학교들에 학생들을 관리할 것을 지시했고 학생들의 주소록을 만들었다. 학무국장은 2월 19일부터 3월 16일까지 도쿄를 방문하여 일본제국 본국의 관헌들과 협의를 강화하고 2.8독립선언의 영향이삼일운동에 미치는 것을 막고자 하였다. 그러나 삼일운동이 시작되면서 이 같은 예비 대응은 실패로 돌아갔다. 삼일운동이 시작된 이후 학무국에서는 관립학교, 도 단위의 학무 당국자들과의 연락을 강화하고 만세시위에 참가한 학교 직원 및 학생들에 대해 조치하고동맹휴교와 만세시위를 예방하라는 지시내리고, 외국인 경영의 종교학교들을단속했다. 4월 이후에는 조선총독부에서 조직적으로 삼일운동에 대응하기 위해임시조직개편을 단행하며, 학무국이 언론보도 관련 분야를 담당했다. 1919년 삼일운동 이후 학무국은 조선총독부 내무부에서 분리되어 그 위상이상승했다. 종교와 학교를 관리하는 부서가 되면서 삼일운동의 사후 처리를 담당하게 되었다. 1920년 3월 1일 삼일운동 1주년 기념 만세시위에 대응하기 위하여 사립학교 규칙을 개정하면서 학무국은 이전보다 자의적이고 막강하게 사립학교 운영 주체에 대한 제재를 가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를 기반으로사립 종교학교의 외국인 교장 3명을 인가 취소 처분하면서 삼일운동 대응 실패를 만회하려고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d the measures taken by the Education Bureau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choseon to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responses of schools. Until now, schools have been understood as a space for independence movement. However, on the other hand, it was a space where the governance policy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choseon could be reflected in detail. With the 2.8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the Education Bureau began to respond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earnest. The Education Bureau strengthened contact with the police officer and instructed schools at all levels to manage students. The director of the Education Bureau visited Tokyo to prevent the influence of the 2.8 Declaration of Independence from affecting colonial choseon. However, this preliminary response failed. After the start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the Education Bureau strengthened contact with the school authorities at provincial level and the government school. the Education Bureau crack down the school staff an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prevent school students strike and Independence Movement. In addition, foreign-run religious schools were cracked down.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the Education bureau's status rose. As it became a department that manages religion and schools, it was in charge of post-processing of the March 1st Movement. On March 1, 1920, the private school regulations were revised to respond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to commemorate the first anniversary of the March 1st Movement. Based on these changes, three foreign principals of private religious schools were canceled.
      번역하기

      This article examined the measures taken by the Education Bureau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choseon to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responses of schools. Until now, schools have been understood as a space for independence movem...

      This article examined the measures taken by the Education Bureau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choseon to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responses of schools. Until now, schools have been understood as a space for independence movement. However, on the other hand, it was a space where the governance policy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choseon could be reflected in detail. With the 2.8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the Education Bureau began to respond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earnest. The Education Bureau strengthened contact with the police officer and instructed schools at all levels to manage students. The director of the Education Bureau visited Tokyo to prevent the influence of the 2.8 Declaration of Independence from affecting colonial choseon. However, this preliminary response failed. After the start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the Education Bureau strengthened contact with the school authorities at provincial level and the government school. the Education Bureau crack down the school staff an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prevent school students strike and Independence Movement. In addition, foreign-run religious schools were cracked down.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the Education bureau's status rose. As it became a department that manages religion and schools, it was in charge of post-processing of the March 1st Movement. On March 1, 1920, the private school regulations were revised to respond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to commemorate the first anniversary of the March 1st Movement. Based on these changes, three foreign principals of private religious schools were cancel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학무국의 삼일운동 초기 대응과 ‘임시소요 사건신문계’의 운영
      • 3. 학무국 조치에 따른 개별 학교들의 대응과 맞대응
      • 4. 1919년 조선총독부 개편과 1920년 일주년 만세시위 대응
      • 5, 맺음말
      • 1. 머리말
      • 2. 학무국의 삼일운동 초기 대응과 ‘임시소요 사건신문계’의 운영
      • 3. 학무국 조치에 따른 개별 학교들의 대응과 맞대응
      • 4. 1919년 조선총독부 개편과 1920년 일주년 만세시위 대응
      • 5, 맺음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