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개정 누리과정의 내용을 근거로 교사가 유아의 놀이, 일상생활, 활동을 4수준으로 평정할 수 있도록 「유아관찰척도」의 개정안을 구성해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913797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24(20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개정 누리과정의 내용을 근거로 교사가 유아의 놀이, 일상생활, 활동을 4수준으로 평정할 수 있도록 「유아관찰척도」의 개정안을 구성해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본 연구의 목적은 개정 누리과정의 내용을 근거로 교사가 유아의 놀이, 일상생활, 활동을 4수준으로 평정할 수 있도록 「유아관찰척도」의 개정안을 구성해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정 누리과정 시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참여한 3-5세 유아 30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계수를 살펴보았으며, 척도의 타당화를 살펴보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 배경변인에 따른 관찰척도점수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중위값을 기준으로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고, 연령, 집단별 상호작용을 살펴보는 2-way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5개 영역별 관찰문항의 Cronbach’s 계수는 0.892-0.942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RMSEA=0.052로 나타나, 비교적 양호한 모형이며, 수렴타당도와 판별 타당도도 확보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유아의 연령이 높을수록, 남아에 비해 여아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KICCE 유아관찰척도 개정안이 양호한 타당도를 갖추고 있으며, 연령에 따라 변별되는 척도임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se and validate the KICCE Child Observation Scale, with which teachers can rate preschoolers’ play, daily life, and activities on a four-point scale based on the revised Nuri Curriculum. For this purpose, data w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se and validate the KICCE Child Observation Scale, with which teachers can rate preschoolers’ play, daily life, and activities on a four-point scale based on the revised Nuri Curriculum.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305 three to five year-old children attending preschools and childcare centers that piloted the revised Nuri Curriculum.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use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check the validity of the scale. In order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scores depending on childrens’ socio-demographic factors, high and low groups were created by median of score distribution and two-way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age and high-low group interac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ronbach"s α coefficients of the observation items from five areas of the scale was found to be high, raging from 0.892 to 0.942. Next, model fitness(RMSEA=0.052), and the value of convergence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all found to satisfy appropriate criteria respectively. Finally, girls were inclined to acquire higher scores than boys as children’s age increas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revised version of the KICCE Child Observation Scale has good validity with distinction by ag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미화, "「5세 누리과정」 운영에 따른 유아평가 연구: 평가척도 개발" 육아정책연구소 2012
2 이정림, "「5세 누리과정 유아관찰척도」의 보급용 전산 구축 사업" 육아정책연구소 2014
3 이정림, "「5세 누리과정 유아관찰척도」 활용을 통한 누리과정 효과 분석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3
4 이정림, "「3-5세 누리과정 유아관찰척도」를 활용한 누리과정 효과 분석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4
5 김미숙, "창의역량 측정지표 및 도구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2
6 이은해, "유치원 교육과정에 기초한 유아관찰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16 (16): 179-199, 1996
7 이정림, "누리과정 효과성 분석 연구: KICCE 누리과정 유아관찰척도 활용을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소 2018
8 이윤진, "누리과정 평가와 향후과제" 육아정책연구소 2017
9 이윤진, "누리과정 정책 성과 분석" 육아정책연구소 2016
10 김은영, "누리과정 개정 정책 연구" 교육부, 충청남도교육청, 육아정책연구소 2019
1 이미화, "「5세 누리과정」 운영에 따른 유아평가 연구: 평가척도 개발" 육아정책연구소 2012
2 이정림, "「5세 누리과정 유아관찰척도」의 보급용 전산 구축 사업" 육아정책연구소 2014
3 이정림, "「5세 누리과정 유아관찰척도」 활용을 통한 누리과정 효과 분석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3
4 이정림, "「3-5세 누리과정 유아관찰척도」를 활용한 누리과정 효과 분석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4
5 김미숙, "창의역량 측정지표 및 도구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2
6 이은해, "유치원 교육과정에 기초한 유아관찰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16 (16): 179-199, 1996
7 이정림, "누리과정 효과성 분석 연구: KICCE 누리과정 유아관찰척도 활용을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소 2018
8 이윤진, "누리과정 평가와 향후과제" 육아정책연구소 2017
9 이윤진, "누리과정 정책 성과 분석" 육아정책연구소 2016
10 김은영, "누리과정 개정 정책 연구" 교육부, 충청남도교육청, 육아정책연구소 2019
11 정선아,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정 실행의 관점에 관한 연구: OECD 6개국의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 10 (10): 147-164, 2014
12 조부경, "교육·보육과정으로서 누리과정의 성과와 내실화 방안" 유아교육연구소 19 (19): 1-22, 2017
13 임은정, "가정과의 연계를 위한 유아관찰 체크리스트 개발 및 분석"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9 (9): 1-21, 2010
14 The New Zealand Ministry of Education, "Te Whariki: Early childhood curriculum"
15 Blaiklock, K., "Te Whariki, the New Zealand early childhood curriculum: Is it effective?" 18 (18): 201-212, 2010
16 Standards & Testing Agency, "Early years foundation stage profile: 2019 handbook"
17 The New Zealand Ministry of Education, "Book 16: An introduction to books 17-20, Symbol systems and technologies for making meaning"
18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Education and Training, "Belong, being & becoming the early years learning framework for Australia"
19 이미화, "3, 4세 누리과정 유아관찰척도 개발" 육아정책연구소 2013
유아 참여권 증진을 위한 학급회의 경험: 어려움과 혼란 그리고 작은 희망의 기록
만5세 행복반 유아들이 경험하는 미술-놀이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질적연구
영유아기 자녀의 일반적인 문제행동 지도를 중심으로 한 부모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1 | 1.61 | 1.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73 | 1.7 | 1.654 | 0.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