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상학으로 바라본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정신장애인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의미 연구 = A Study on Meaning of Culture & Art Education for the Mentally Disabled from Perceptions of Mental Health Workers: Perspective on Phenomen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625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analyze the meaning that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consider for culture & art programs related to art, music, drama, film, other arts, etc, conducted for social rehabilitation and recovery of the mentally disabled and the education through the Hermeneutic phenomenology and seek measures of culture & art education and fulfillment program for the normaliza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first, culture & art education for the mentally disabled, planned, fulfilled and considered by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is absolutely necessary for the rehabilitation and recovery of the mentally disabled. Culture & art education can contribute for the improvement of human rights enjoyed by healthy people by normaliza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and local community integration and preparing the conditions of cultural life for the mentally disabled. The second, culture & art education for the mentally disabled should be the right that the mentally disabled can select by their desires. The third, culture & art education for the mentally disabled is necessary for the maintainment of mental health constancy of the mentally disabled and their ego-growth among the previous programs for rehabilitation and recovery of the mentally disabled. The fourth,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should make an effort to expand professionalism and develop contents during the conceptual establishment, designing and operation of culture & art education for the rehabilita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번역하기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analyze the meaning that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consider for culture & art programs related to art, music, drama, film, other arts, etc, conducted for social rehabilitation and recovery of the mentally di...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analyze the meaning that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consider for culture & art programs related to art, music, drama, film, other arts, etc, conducted for social rehabilitation and recovery of the mentally disabled and the education through the Hermeneutic phenomenology and seek measures of culture & art education and fulfillment program for the normaliza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first, culture & art education for the mentally disabled, planned, fulfilled and considered by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is absolutely necessary for the rehabilitation and recovery of the mentally disabled. Culture & art education can contribute for the improvement of human rights enjoyed by healthy people by normaliza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and local community integration and preparing the conditions of cultural life for the mentally disabled. The second, culture & art education for the mentally disabled should be the right that the mentally disabled can select by their desires. The third, culture & art education for the mentally disabled is necessary for the maintainment of mental health constancy of the mentally disabled and their ego-growth among the previous programs for rehabilitation and recovery of the mentally disabled. The fourth,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should make an effort to expand professionalism and develop contents during the conceptual establishment, designing and operation of culture & art education for the rehabilita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과 회복을 위해 실시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이 바라보는 의미를 현상학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로서 정신장애인의 정상화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한 주요결과는 네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바라본 정신장애인의 ‘문화’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과 효과는 기능적인 치료보다는 스스로 변화의 주체가 되어 행복과 삶의 질을 추구하는 것으로 바라본다라는 것이다. 둘째, 인터뷰에 응답한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은 정신장애인에 대한 문화예술교육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기 위해서는 공공전달체계의 적극성있는 이해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려는 마인드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셋째,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은 정신장애인의 회복을 위하여 문화예술교육의 개념정립과 기획 및 운영을 위한 문화예술적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넷째,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문화예술적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정신장애인의 재활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개념정립과 기획 및 운영에 대한 전문성을 확충, 컨텐츠 개발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과 회복을 위해 실시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이 바라보는 의미를 현상학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로서 정신장애인의 정상화를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과 회복을 위해 실시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이 바라보는 의미를 현상학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로서 정신장애인의 정상화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한 주요결과는 네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바라본 정신장애인의 ‘문화’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과 효과는 기능적인 치료보다는 스스로 변화의 주체가 되어 행복과 삶의 질을 추구하는 것으로 바라본다라는 것이다. 둘째, 인터뷰에 응답한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은 정신장애인에 대한 문화예술교육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기 위해서는 공공전달체계의 적극성있는 이해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려는 마인드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셋째,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은 정신장애인의 회복을 위하여 문화예술교육의 개념정립과 기획 및 운영을 위한 문화예술적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넷째,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문화예술적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정신장애인의 재활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개념정립과 기획 및 운영에 대한 전문성을 확충, 컨텐츠 개발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지연, "학습도시·문화도시·창조도시 연계 모형에 따른 문화예술교육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2 김기홍, "포스트모던 문화사회에서 문화교육의 사회적 역할에 관한 연구" 9 (9): 31-45, 1999

      3 Flick, U., "질적 연구방법" 한울 2009

      4 이영실, "중복장애자녀의 부모교육을 통한 임파워먼트 향상에 관한 연구; 지적 및 자폐성장애와 정신장애의 중복장애를 중심으로" 6 (6): 127-146, 2009

      5 이근희, "정신장애인평생계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서울시정신건강증진센터 2013

      6 김미영, "정신장애인의 회복에 기초한 삶의 질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38) : 205-236, 2011

      7 성희자, "정신장애인의 임파워먼트 형성 방안" 한국보건사회학회 18 : 115-133, 2005

      8 박미은, "정신장애인에 대한 임파워먼트 실천의 필요성과 개입방안에 관한 연구" 5 (5): 32-55, 2001

      9 강희원, "정신장애인과 기본적 인권"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35) : 5-50, 2010

      10 채완순, "정신장애인 행복과정" 31 (31): 173-206, 2009

      1 박지연, "학습도시·문화도시·창조도시 연계 모형에 따른 문화예술교육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2 김기홍, "포스트모던 문화사회에서 문화교육의 사회적 역할에 관한 연구" 9 (9): 31-45, 1999

      3 Flick, U., "질적 연구방법" 한울 2009

      4 이영실, "중복장애자녀의 부모교육을 통한 임파워먼트 향상에 관한 연구; 지적 및 자폐성장애와 정신장애의 중복장애를 중심으로" 6 (6): 127-146, 2009

      5 이근희, "정신장애인평생계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서울시정신건강증진센터 2013

      6 김미영, "정신장애인의 회복에 기초한 삶의 질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38) : 205-236, 2011

      7 성희자, "정신장애인의 임파워먼트 형성 방안" 한국보건사회학회 18 : 115-133, 2005

      8 박미은, "정신장애인에 대한 임파워먼트 실천의 필요성과 개입방안에 관한 연구" 5 (5): 32-55, 2001

      9 강희원, "정신장애인과 기본적 인권"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35) : 5-50, 2010

      10 채완순, "정신장애인 행복과정" 31 (31): 173-206, 2009

      11 고미영, "정신장애인 사회복귀시설에서의 임파워먼트 실천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31 (31): 66-99, 2009

      12 최명민, "정신보건전문가의 경험을 통한 만성정신질환자의 레질리언스 강화전략 탐색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40 (40): 202-230, 2012

      13 송지영,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Empowerment)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

      14 이인숙,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상담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8) : 96-125, 2008

      15 고경화, "예술교육의 역사와 이론" 학지사 2003

      16 이동연, "예술교육을 넘어서 열 개의 문화고원" 한길아트 2008

      17 김기홍, "실천적 문화교육학의 체계화에 대한 논고" 1 (1): 29-46, 2006

      18 서울시정신보건사업지원단, "서울시 정신보건지표"

      19 홍현미라, "사회복지 질적 연구방법론의 실제" 학지사 2008

      20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통계포털에서"

      21 서보람, "문화복지정책 발달사 연구" 한국행정사학회 (29) : 95-124, 2011

      22 김문환, "문화교육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23 이은희, "만성정신분열병 환자 및 가족에 대한 임파워먼트 모델에 기반한 개입" 19 (19): 215-244, 2005

      24 유성구정신보건센터, "대전시 유성구정신보건센터 지역정신보건사업실행보고서" 2008

      25 강현석, "내러티브 탐구를 위한 연구방법론" 교육과학사 2011

      26 한명희, "교육의 미학적 탐구" 집문당 2002

      27 Staples, L. H., "Powerful ideas and empowerment" 14 (14): 1990

      28 Cox, E. O., "Empowerment oriented social work practice with the elderly"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1994

      29 Powers, P., "Empowerment as treatment and the role of health professionals" 26 (26): 227-237, 2003

      30 Salzer, M. S., "Consumer empowerment in mental health organization: Concept, benefits, and impediments" 24 (24): 425-434, 1997

      31 Chamberlin, J., "A working definition of empowerment" 20 (20): 43-46, 1997

      32 문화관광부, "2004 문화정책백서"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4-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화교육학회 -> 한국문화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Education (KSCE)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1.01 1.133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