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럽의 코비드-19 전개와 대응: 통합에의 시사점 = Covid-19 and Welfare Models in Europe: Unfolding, responses and comparis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973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and compares the responses of the key EU member states amid Covid-19. Adopting welfare models of Andre Sapir, it presented a hypothesis that more efficient economies might confront better in relation to those inefficient ones. Further on, this study classified two different health care systems in Europe: Beveridge Model with national health system and Bismarck model with social security system.
      From what have attained throughout the research, efficient economies did not show relative edge compared to those southern economies. It is true that Mediterranean countries suffered most, but Scandinavian countries, in particular Sweden, also did not perform well as expected. By WHO standards, France and Italy have been considered as most qualified health care system. Nevertheless, these countries exposed serious defect in the course of Covid-19 responses. It is also contending that authoritarian states performed relatively well as Chinese authority argues.
      Covid-19 has caused not only medical and health consequences, but also socio-economic repercussions. European leaders could have reached to a consensus in establishing European Recovery Fund, but it remains to be seen the final outcome considering accountability and efficiency issues in terms of implementation of the fund. On the one hand, Covid-19 caused a necessity of more integration rather than centrifugal dissolution. Still, on the other hand, the rationale which governed thus far in the course of European integration may not be a panacea in the forthcoming years.
      번역하기

      This paper explores and compares the responses of the key EU member states amid Covid-19. Adopting welfare models of Andre Sapir, it presented a hypothesis that more efficient economies might confront better in relation to those inefficient ones. Furt...

      This paper explores and compares the responses of the key EU member states amid Covid-19. Adopting welfare models of Andre Sapir, it presented a hypothesis that more efficient economies might confront better in relation to those inefficient ones. Further on, this study classified two different health care systems in Europe: Beveridge Model with national health system and Bismarck model with social security system.
      From what have attained throughout the research, efficient economies did not show relative edge compared to those southern economies. It is true that Mediterranean countries suffered most, but Scandinavian countries, in particular Sweden, also did not perform well as expected. By WHO standards, France and Italy have been considered as most qualified health care system. Nevertheless, these countries exposed serious defect in the course of Covid-19 responses. It is also contending that authoritarian states performed relatively well as Chinese authority argues.
      Covid-19 has caused not only medical and health consequences, but also socio-economic repercussions. European leaders could have reached to a consensus in establishing European Recovery Fund, but it remains to be seen the final outcome considering accountability and efficiency issues in terms of implementation of the fund. On the one hand, Covid-19 caused a necessity of more integration rather than centrifugal dissolution. Still, on the other hand, the rationale which governed thus far in the course of European integration may not be a panacea in the forthcoming yea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코로나 사태는 중국에서 시작되었으나 전개과정에서 남유럽국가들에서 심각한 사태를 유발하였다. 유럽의 사례는 우리에게 반면교사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마스크의 착용이 필요하지만 절대적인 공급 부족으로 이를 의무화하지 못하는 유럽의 현실은 분명 유감스럽다. 반면 한국의 경우 아직 이 사태가 종식된 상황은 아니지만 현재 상태에서 하나의 준거로 삼을 수 있다는 것이 국제적인 시각이다. 즉 국경을 폐쇄하지 않은 상태에서 빠른 속도로 전수조사를 통해 감염자을 파악하고 중증환자들을 별도로 처치한 경험은 사실 유럽이나 타국가들이 따라하기 어려운 방식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번 사태를 통해 한국은 의료제도의 선진성과 효율성을 확인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
      유럽은 사회모델을 발전시켜왔는데, 효율과 형평의 측면에서 내부적으로 다양한 양태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의료제도의 운영에서 국가가 책임지는 방식과 사회보험 중심의 제도로 양분되는데, 이번 사태를 통해 사회보험 방식이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하였다는 잠정적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코비드-19 현상은 건강의료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정치 및 사회경제적으로 다양한 파급현상을 야기하고 있는데, 이들 변수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번 사태가 과연 유럽통합에 순기능적 요소로 작동할 것인가는 이론적으로도 관심의 대상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유럽적 해결책이 요구되지만 기존의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전망하였다. 즉 회원국들의 목소리가 다양하게 분출되고 있어 단일의 방식을 강요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유럽구제기금의 합의는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지만, 그 시행 과정에서 책무성과 효율성의 잣대가 새로운 갈등과 분열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번역하기

      코로나 사태는 중국에서 시작되었으나 전개과정에서 남유럽국가들에서 심각한 사태를 유발하였다. 유럽의 사례는 우리에게 반면교사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마스크의 착용이 필요...

      코로나 사태는 중국에서 시작되었으나 전개과정에서 남유럽국가들에서 심각한 사태를 유발하였다. 유럽의 사례는 우리에게 반면교사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마스크의 착용이 필요하지만 절대적인 공급 부족으로 이를 의무화하지 못하는 유럽의 현실은 분명 유감스럽다. 반면 한국의 경우 아직 이 사태가 종식된 상황은 아니지만 현재 상태에서 하나의 준거로 삼을 수 있다는 것이 국제적인 시각이다. 즉 국경을 폐쇄하지 않은 상태에서 빠른 속도로 전수조사를 통해 감염자을 파악하고 중증환자들을 별도로 처치한 경험은 사실 유럽이나 타국가들이 따라하기 어려운 방식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번 사태를 통해 한국은 의료제도의 선진성과 효율성을 확인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
      유럽은 사회모델을 발전시켜왔는데, 효율과 형평의 측면에서 내부적으로 다양한 양태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의료제도의 운영에서 국가가 책임지는 방식과 사회보험 중심의 제도로 양분되는데, 이번 사태를 통해 사회보험 방식이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하였다는 잠정적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코비드-19 현상은 건강의료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정치 및 사회경제적으로 다양한 파급현상을 야기하고 있는데, 이들 변수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번 사태가 과연 유럽통합에 순기능적 요소로 작동할 것인가는 이론적으로도 관심의 대상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유럽적 해결책이 요구되지만 기존의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전망하였다. 즉 회원국들의 목소리가 다양하게 분출되고 있어 단일의 방식을 강요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유럽구제기금의 합의는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지만, 그 시행 과정에서 책무성과 효율성의 잣대가 새로운 갈등과 분열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규엽, "코로나바이러스감염중(COVID)-19의 국제적 확산이 경제에 미치는영향" 20 (20): 2020

      2 도종윤, "유럽은 코로나19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 도전과 과제"

      3 김시홍, "유럽사회모델과 유럽연합의 사회적 차원" 한국유럽학회 25 (25): 359-377, 2007

      4 김시홍, "미중 갈등과 EU의 선택: 다자주의의 보루인가 일방주의로의 편승인가"

      5 Cerqua, Augusto, "When did coronavirus arrive in Europe?"

      6 Greer, Scott L., "The comparative politics of COVID-19: The need to understand government reponses" 15 (15): 1413-1417, 2020

      7 Andersen, Gøsta Esping, "The Three Worlds of Western Capital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0

      8 de Weck, Joseph, "The Pandemic Is Showing What the EU Is Good For" 2020

      9 Cristiani, Dario, "The Chinese Charm Offensive Towards Italy as the Coronavirus Crisis Deepe"

      10 Morgan, Sam, "The Brief – Know your role"

      1 이규엽, "코로나바이러스감염중(COVID)-19의 국제적 확산이 경제에 미치는영향" 20 (20): 2020

      2 도종윤, "유럽은 코로나19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 도전과 과제"

      3 김시홍, "유럽사회모델과 유럽연합의 사회적 차원" 한국유럽학회 25 (25): 359-377, 2007

      4 김시홍, "미중 갈등과 EU의 선택: 다자주의의 보루인가 일방주의로의 편승인가"

      5 Cerqua, Augusto, "When did coronavirus arrive in Europe?"

      6 Greer, Scott L., "The comparative politics of COVID-19: The need to understand government reponses" 15 (15): 1413-1417, 2020

      7 Andersen, Gøsta Esping, "The Three Worlds of Western Capital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0

      8 de Weck, Joseph, "The Pandemic Is Showing What the EU Is Good For" 2020

      9 Cristiani, Dario, "The Chinese Charm Offensive Towards Italy as the Coronavirus Crisis Deepe"

      10 Morgan, Sam, "The Brief – Know your role"

      11 Gotev, Georgi, "The Brief – Is Eastern Europe more resilient to COVID-19?"

      12 Georgieva, Kristalina, "Some say there is a trade-off: save lives or save jobs – this is a false dilemma"

      13 Anderson, Julia, "Rebooting Europe: A Framework for a Post COVID-19 Economic Recovery" (1) : 1-8, 2020

      14 UN, "Policy Brief: The Impact of COVID-19 on older persons"

      15 Chazan, Guy, "Oversupply of hospital beds helps Germany to fight virus"

      16 Johnson, Miles, "Italy’s harsh lessons help keep second wave at bay"

      17 Borrelli, Silvia Sciorilli, "Italy’s future is in German hands"

      18 Tocci, Nathalie, "International Order and the European Project in Times of COVID19" 20 (20): 2020

      19 Krastev, Ivan, "How the virus has changed the public’s worldview" 1-28, 2020

      20 Schout, Adriaan, "How the Netherlands can choose opt-outs from the EU coronavirus recovery fund"

      21 Braw, Elisabeth, "How Italy Snatched Health From the Jaws of Death" 2020

      22 Ministry of Health, Consumer Affairs and Social Welfare of Spain, "Health care systems in the European Union countries. Health characteristics and indicators 2019"

      23 Sapir, Andre, "Globalisation and the Reform of European Social Models" 44 (44): 369-390, 2006

      24 Meunier, Thomas, "Full lockdown politics in Western Europe countries have no evident impacts on the Covid-19 epidemic"

      25 EURATIV, "Finland considers shutting completely border with Sweden"

      26 Otero-Iglesias, Miguel, "Europe’s coronavirus identity crisis"

      27 Kleinfeld, Rachel, "Do Authoritarian or Democratic Countries Handle Pandemics Better?"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2020

      28 Hermann, Christoph, "Crisis, structural reform and the dismantling of the European Social Model(s)" 38 (38): 51-68, 2014

      29 Young, Richard, "Coronavirus and Europe’s New Political Fissures"

      30 Ghirett, Francesca, "China, Italy and COVID-19: Benevolent Support or Strategic Surge?" (20) : 2020

      31 Karnitschnig, Matthew, "China is winning the coronavirus propaganda war"

      32 World Economic Forum,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the Post-COVID-19World" WEF 1-54, 2020

      33 Deutsche Bank, "COVID-19 and the EU. A new Europe of borders?"

      34 Coratella, Teresa, "COVID-19 and Europe: Looking for a geopolitical megaphone" MOFA 2020

      35 DAAD, "COVID-19 Impact on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Studies and Forecast"

      36 Demertzis, Maria, "An effective economic response to the coronavirus in Europe" (6) :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5-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uropean Union Studie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37 0.549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