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내부 감각 용언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Inner Sensory Predicat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624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classified Inner sensory predicates into verb, adjective, and predicates categorized in both and examine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these three groups. Inner sensory verb is discriminated from Inner sensory adjective by co-occurring prefinal endi...

      I classified Inner sensory predicates into verb, adjective, and predicates categorized in both and examine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these three groups.
      Inner sensory verb is discriminated from Inner sensory adjective by co-occurring prefinal ending ‘-neu-', auxiliary verb ‘o-', verb ‘sijagha-', and adverb ‘jeomjeom'. On the contrary, Inner sensory adjective is discriminated by not co-occurring ‘-neu-'. They are not discriminated from each other whether by co-occurring progressive aspect ‘-go iss-', perfect aspect ‘-eo iss-', imperative ending ‘-eora', modal adverb ‘jal' and degree adverbs or not.
      Inner sensory verbs generally combine with prefinal ending ‘-neu-' in the present, but not generally, they can be used without ‘-neu-' in the present. Inner sensory adjectives generally do not combine with ‘-neu-' in the present but have the exceptional uses. Some adjectives can be used with ‘-neu-', ‘-eo o-', ‘sijagha-', and ‘jeomjeom'. Others can be used with some of them or one. Inner sensory adjectives seem to be awkward to be used with ‘-neu-', but they seem to be normal to be used with ‘-eo o-', ‘sijagha-'. Predicates categorized in both can be used with ‘-neu-' or not in the present. Some of them prefer to being used without ‘-neu-' in the present. They are ‘geunjilgeunjilha-', ‘mareu-', ‘bureu-', 'sseurari-', and ‘himdeul-', et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내부 감각 용언을 동사, 형용사 그리고 동사 겸 형용사의 양용 용언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부류에 나타나는 문법적 특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내부 감각 용언의 품사 ...

      본고에서는 내부 감각 용언을 동사, 형용사 그리고 동사 겸 형용사의 양용 용언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부류에 나타나는 문법적 특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내부 감각 용언의 품사 판별을 위해 동사 판별 기준으로 선어말 어미 ‘-느-’, ‘-어 오-’, ‘시작하-’, ‘점점’과의 통합을 들었으며 형용사 판별 기준으로 ‘-느-’와의 결합 제약을 들었다. 이러한 분류 기준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동사 판별 기준으로 제시되는 명령·청유형 어미, 진행상의 ‘-고 있-’, 완결상의 ‘-어 있-’과의 통합은 내부 감각 용언에서 동사를 판별하는 기준이 되지 못하며 형용사 판별 기준으로 제시되기도 하는 정도 부사의 수식은 내부 감각 용언에서 형용사를 판별하는 기준이 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내부 감각 동사는 평서형과 관형사형 등의 현재 시제에서 선어말 어미 ‘-느-’와 통합되는 일반적인 쓰임을 보이는 한편 ‘-느-’와의 통합 없이 현재를 나타내는 예외적 쓰임이 발견된다. 그러나 ‘-느-’가 통합되지 않은 활용형은 수용성이 떨어지며 실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보기 어려운 주변적인 특징으로 관찰된다. 내부 감각 형용사는 ‘-느-’와의 통합이 제약되는 일반적인 쓰임을 보이는 한편 ‘-느-’, ‘-어 오-’, ‘시작하-’, ‘점점’과 통합된 예외적인 쓰임을 보이기도 한다. 감각 형용사에 따라 네 가지 모두와 결합되기도 하며 이 중 일부와만 결합되기도 하는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느-’와 통합된 감각 형용사의 활용형은 수용성이 떨어지며 실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보기 어렵다. 그러나 ‘시작하-’나 특히 ‘-어 오-’와의 통합은 감각 형용사의 일반적인 용법으로 파악된다. 동사·형용사 양용 감각 용언은 ‘-느-’가 통합된 활용형과 ‘-느-’가 통합되지 않은 활용형 모두 일반적인 용법으로 파악되는 용언이다. 두 용법 중 하나의 용법에 편중되어 쓰이는 용언이 관찰되는데 ‘근질근질하-, 마르-, 부르-, 쓰라리-, 힘들-’ 등으로 이들은 형용사로 편중된 쓰임을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길임, "활용 양용 용언 연구- 말뭉치 용례를 중심으로-" 형태론 6 (6): 221-236, 2004

      2 유현경, "형용사 in: 왜 다시 품사론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148-196, 2006

      3 이호승, "현대국어의 상황유형의 연구" 149 : 1997

      4 한송화, "현대 국어 자동사 연구" 한국문화사 2000

      5 정문수, "한국어 풀이씨의 상적 속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1

      6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7 이영경, "중세국어 형용사의 동사적 용법에 관하여" 형태론 5 (5): 273-295, 2003

      8 고신숙, 조선어리론문법, "조선어리론문법 in: 과학" 백과사전출판사 1987

      9 이기동, "조동사 ‘있다’의 의미 연구 in: 눈뫼 허웅 박사 환갑논문집" 과학사 359-387, 1978

      10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사 1955

      1 남길임, "활용 양용 용언 연구- 말뭉치 용례를 중심으로-" 형태론 6 (6): 221-236, 2004

      2 유현경, "형용사 in: 왜 다시 품사론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148-196, 2006

      3 이호승, "현대국어의 상황유형의 연구" 149 : 1997

      4 한송화, "현대 국어 자동사 연구" 한국문화사 2000

      5 정문수, "한국어 풀이씨의 상적 속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1

      6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7 이영경, "중세국어 형용사의 동사적 용법에 관하여" 형태론 5 (5): 273-295, 2003

      8 고신숙, 조선어리론문법, "조선어리론문법 in: 과학" 백과사전출판사 1987

      9 이기동, "조동사 ‘있다’의 의미 연구 in: 눈뫼 허웅 박사 환갑논문집" 과학사 359-387, 1978

      10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사 1955

      11 한글학회 편, "우리말 큰사전" 어문각 1992

      12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 연구원, "연세한국어사전"

      13 이정민, "심리술어의 상에 관한 문제" 15 : 1-23, 1994

      14 국립국어연구원, "세종전자사전"

      15 정언학, "상 이론과 보조 용언의 역사적 연구" 태학사 2006

      16 강현화, "동사 in: 왜 다시 품사론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93-145, 2006

      17 임홍빈, "규범성과 충실성의 문제- ‘종합국어대사전’ 편찬에 바란다-" 5 (5): 130-142, 1995

      18 도원영, "국어 형용성 동사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19 김정남, "국어 형용사의 연구" 역락 2005

      20 도원영, "국어 형용사의 상태성에 대한 고찰" 민족어문학회 45 : 4-108, 2002

      21 유현경, "국어 형용사 연구" 한국문화사 1998

      22 임홍빈, "국어 품사 분류의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in: 국어연구의 이론과 실제" 국어연구의 이론과 실제 705-761, 2001

      23 이익환, "국어 심리동사의 상적 특성" 15 : 25-45, 1994

      24 임홍빈, "국어 문법의 심층" 태학사 1998

      25 Hochberg, J. E, "知學" 益交社 1980

      26 장경희, "現代國語의 樣態範疇硏究" 塔出版社 1985

      27 이영경, "‘깊다’류 용언의 동사적 성격과 ‘-었-’" 형태론 9 (9): 277-292, 2007

      28 Dixon, R. M. W, "Where have all the adjectives gone?" 1 : 19-80, 1977

      29 Wetzer, H, "The typology of adjectival predication" de Gruyter 1996

      30 Bhat, D. N. S, "The Adjectival Category: Criteria for Differentiation and Identification"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1994

      31 Stassen, L, "Intransitive Predication" Clarendon Press 1997

      32 Dixon, R. M. W, "Adjective Classes: A Cross-Linguistic Typ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33 Dixon, R. M. W, "Adjective Classes in Typological Perspective" 2004

      34 Quirk, R, "A grammar of contemporary English" Longman Group Ltd 197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7 1.02 2.456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