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한민국 임시정부 기록물의 일실에 대한 고찰 = Loss of Records from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KPG) produced many records for 27 years from 1919 to 1945 as it maintained and operated its organizations. However, after Yun Bong-gil’s heroic deed, the imperial Japanese confiscated the records, and many of the records were lost in Korean War.
      After Yun Bong-gil’s heroic deed performed on April 29, 1932, the imperial Japanese abruptly confiscated the records of the KPG, and they were stored at Japanese Consulate in Shanghai. This is the incident that took place in 1932 in which the police of Office of Japanese Consul General raided the building of the KPG to take away the records.
      The KPG which was liberated in August 1945 carried a total of 13 large leather bags of KPG’s records. But efforts have yet to be made to search for the records of the KPG.
      번역하기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KPG) produced many records for 27 years from 1919 to 1945 as it maintained and operated its organizations. However, after Yun Bong-gil’s heroic deed, the imperial Japanese confiscated the records, and many of the re...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KPG) produced many records for 27 years from 1919 to 1945 as it maintained and operated its organizations. However, after Yun Bong-gil’s heroic deed, the imperial Japanese confiscated the records, and many of the records were lost in Korean War.
      After Yun Bong-gil’s heroic deed performed on April 29, 1932, the imperial Japanese abruptly confiscated the records of the KPG, and they were stored at Japanese Consulate in Shanghai. This is the incident that took place in 1932 in which the police of Office of Japanese Consul General raided the building of the KPG to take away the records.
      The KPG which was liberated in August 1945 carried a total of 13 large leather bags of KPG’s records. But efforts have yet to be made to search for the records of the KP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19년부터 1945년까지 27년 동안 정부 조직을 유지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많은 기록물을 생산했다. 하지만 현재 남아 있는 임시정부 기록물은 결코 많다고 할 수 없다. 윤봉길의거 이후 일제의 압수와 6·25전쟁이라는 두 차례에 걸친 역사의 격변기 동안 일실되었기 때문이다.
      1932년 4월 29일 윤봉길의거 이후 일제에 의해 전격적으로 압수된 임시정부 기록물은 상해 일본영사관에 보관되고 있었다. 바로 1932년 일본총영사관 경찰이 임시정부 청사를 급습하여 탈취해간 임시정부 기록물이었다. 그런데 이 임시정부 기록물이 3년 뒤인 일제패망 후 어떻게 되었는지는 여전히 확인되지 않고 있다.
      1945년 8월 광복을 맞은 임시정부는 그동안 생산했던 정부 기록물을 13개의 대형 가죽 가방에 담아 귀국하였다. 이 임시정부 기록물은 6·25전쟁 통에 모두 사라져 버리고 말았다.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는 이 시점에서도 1932년 일제가 압수한 임시정부 기록물이나 6·25전쟁의 와중에 사라져버린 임시정부 기록물을 찾는 것은 여전히 숙제로 남아 있다.
      번역하기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19년부터 1945년까지 27년 동안 정부 조직을 유지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많은 기록물을 생산했다. 하지만 현재 남아 있는 임시정부 기록물은 결코 많다고 할 수 없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19년부터 1945년까지 27년 동안 정부 조직을 유지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많은 기록물을 생산했다. 하지만 현재 남아 있는 임시정부 기록물은 결코 많다고 할 수 없다. 윤봉길의거 이후 일제의 압수와 6·25전쟁이라는 두 차례에 걸친 역사의 격변기 동안 일실되었기 때문이다.
      1932년 4월 29일 윤봉길의거 이후 일제에 의해 전격적으로 압수된 임시정부 기록물은 상해 일본영사관에 보관되고 있었다. 바로 1932년 일본총영사관 경찰이 임시정부 청사를 급습하여 탈취해간 임시정부 기록물이었다. 그런데 이 임시정부 기록물이 3년 뒤인 일제패망 후 어떻게 되었는지는 여전히 확인되지 않고 있다.
      1945년 8월 광복을 맞은 임시정부는 그동안 생산했던 정부 기록물을 13개의 대형 가죽 가방에 담아 귀국하였다. 이 임시정부 기록물은 6·25전쟁 통에 모두 사라져 버리고 말았다.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는 이 시점에서도 1932년 일제가 압수한 임시정부 기록물이나 6·25전쟁의 와중에 사라져버린 임시정부 기록물을 찾는 것은 여전히 숙제로 남아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시준, "홍진" 탐구당 2006

      2 국회도서관, "한국민족운동사료(중국편)" 1976

      3 한시준, "한국독립운동사의 역사 25" 독립기념관 2008

      4 한상도, "한국독립운동사의 역사 24" 독립기념관 2008

      5 김희곤, "한국독립운동사의 역사 23" 독립기념관 2008

      6 정상우, "조선총독부의 『조선사』 편찬 사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7 김희곤, "임시정부 시기의 대한민국 연구" 지식산업사 2015

      8 우남이승만문서편찬위원회, "이화장소장 우남이승만문서 동문편, 6·7·8, 대한민국임시정부 관련문서(1~3)"

      9 김자동, "영원한 임시정부 소년: 김자동 회고록" 푸른역사 2018

      10 김구, "백범일지" 돌베개 1997

      1 한시준, "홍진" 탐구당 2006

      2 국회도서관, "한국민족운동사료(중국편)" 1976

      3 한시준, "한국독립운동사의 역사 25" 독립기념관 2008

      4 한상도, "한국독립운동사의 역사 24" 독립기념관 2008

      5 김희곤, "한국독립운동사의 역사 23" 독립기념관 2008

      6 정상우, "조선총독부의 『조선사』 편찬 사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7 김희곤, "임시정부 시기의 대한민국 연구" 지식산업사 2015

      8 우남이승만문서편찬위원회, "이화장소장 우남이승만문서 동문편, 6·7·8, 대한민국임시정부 관련문서(1~3)"

      9 김자동, "영원한 임시정부 소년: 김자동 회고록" 푸른역사 2018

      10 김구, "백범일지" 돌베개 1997

      11 선우진, "백범 선생과 함께한 나날들" 푸른역사 2009

      12 한시준, "독립운동사 연구의 정립(해방 이전~1960년대)" 9 : 2012

      13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1~45, 별책 1~6" 2011

      14 국회도서관, "대한민국임시정부의정원문서"

      15 박걸순,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80주년기념논문집 하" 1999

      16 국가보훈처,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80주년기념논문집 상·하" 1999

      17 대한민국임시의정원, "대한민국임시의정원기사록(제1회집~제6회집)" 1919

      18 김학명, "대한민국 임시정부 기록관리의 제도와 실제" 서울대학교 2016

      19 김광재, "근현대 상해 한인사 연구" 경인문화사 2018

      20 최재호, "국가지정기록물 관리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한국기록학회 (47) : 51-91, 2016

      21 韓國臨時政府 宣傳委員會 編印, "韓國獨立運動文類 第1集" 1942

      22 趙擎韓, "白岡回顧錄" 韓國宗敎協議會 1979

      23 金正明, "朝鮮獨立運動 2" 原書房 1967

      24 "日本外務省陸海軍省文書"

      25 陳祖恩, "戰後上海日本資産的接收與處理" 3 : 2016

      26 崔鍾健, "大韓民國臨時政府文書輯覽" 知人社 1976

      27 趙擎韓, "大韓民國 前臨時政府 文獻 被災 顚末記"

      28 外務省外交史料館藏, "外務省警察史編纂委員日誌"

      29 外務省外交史料館藏, "外務省警察史編纂委員日誌"

      30 "外務省警察史: 支那の部 第18篇 在上海總領事館"

      31 荻野富士夫, "外務省警察史 - 在留民保護取締と特高警察機能" 校倉書房 2005

      32 外務省外交史料館藏, "外務省警察史" 不二出版 2001

      33 外務省外交史料館藏, "外務省警察史" 不二出版 2001

      34 田保橋潔, "北支及中支出張復命書" 朝鮮史編修會 1942

      35 김광재, "上海居留朝鮮人會'(1933~1941) 硏究" 한국근현대사학회 (35) : 142-188,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2 1.67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