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시험전략이 초등학교 학습장애 학생과 일반 학생의 시험불안과 메타인지에 미치는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902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Test-Taking Strategy on test anxiety and metacognition of elementary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LD) and general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sixth-grade students in C Elementary School in Ansan, Gyeonggi-do. Eac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composed of twenty-eight general students and two students with LD. The experimental group was exposed to the strategy instruction of Test-Taking Strategy, and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by a standard curriculum. from March 26 to September 10, 2009, this experimentation was implemented with thirty-five sessions.
      The 'PURES' test-taking strategy, which was used in this study, was originally developed by researchers at the Kansas University Center for Research on Learning (KU-CRL), and it was adopted by Youn Ock Kim for Korean.
      The strategy is composed of seven steps and seventeen substeps. This study consists of eight stages to instruct the strategy. A pretest and posttest was applied to control group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strategy instruction.
      The collection data was analyzed by t-test between groups after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of anxiety and metacognition were taken, and Test-Taking Strategy us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lementary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LD) mastered the strategy fluently.
      Second, the experimentation group with LD and the genaral students displayed a reduction of test anxiety.
      Third, the experimentation group with LD and the general students showed an improvement in metacognition.
      As a result, this Test-Taking Strategy was effective for the reduction of test anxiety and the improvement of metacognition in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general students. However, there seemed to be some limitations to generalize the results due to small samples in this study. Therefore, it implies that more research should be duplicated with more subject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Test-Taking Strategy on test anxiety and metacognition of elementary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LD) and general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nsist...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Test-Taking Strategy on test anxiety and metacognition of elementary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LD) and general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sixth-grade students in C Elementary School in Ansan, Gyeonggi-do. Eac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composed of twenty-eight general students and two students with LD. The experimental group was exposed to the strategy instruction of Test-Taking Strategy, and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by a standard curriculum. from March 26 to September 10, 2009, this experimentation was implemented with thirty-five sessions.
      The 'PURES' test-taking strategy, which was used in this study, was originally developed by researchers at the Kansas University Center for Research on Learning (KU-CRL), and it was adopted by Youn Ock Kim for Korean.
      The strategy is composed of seven steps and seventeen substeps. This study consists of eight stages to instruct the strategy. A pretest and posttest was applied to control group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strategy instruction.
      The collection data was analyzed by t-test between groups after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of anxiety and metacognition were taken, and Test-Taking Strategy us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lementary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LD) mastered the strategy fluently.
      Second, the experimentation group with LD and the genaral students displayed a reduction of test anxiety.
      Third, the experimentation group with LD and the general students showed an improvement in metacognition.
      As a result, this Test-Taking Strategy was effective for the reduction of test anxiety and the improvement of metacognition in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general students. However, there seemed to be some limitations to generalize the results due to small samples in this study. Therefore, it implies that more research should be duplicated with more subjec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서 시험전략을 적용하여 학습장애 학생과 일반학생의 시험불안과 메타인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한 C초등학교 6학년 2개 반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여 각각 학습장애 2명, 일반학생 28명씩으로 하였으며 실험집단에는 시험전략을 지도하였으며, 통제집단은 교육과정내용을 그대로 지도하였다. 실험은 2009년 3월 26일부터 2009년 9월 10일까지, 총 35회기 동안 이루어졌다.
      본 실험에서 이용한 적용 프로그램은 캔사스 대학교 학습장애 연구소(KU-CRL)의 연구진에 의해 개발된 전략을 한국의 실정에 맞게 번안한 김윤옥(1999)의 ‘보물섬후크선장’ 시험전략이다. ‘보물섬후크선장’ 시험전략은 모두 상위 7단계, 하위 17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험전략을 학습전략 교수 8단계 과정을 통하여 적용하였으며 전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로 전략교수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자료의 분석방법은 시험불안, 메타인지의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한 후 이에 대한 집단 간 t검증 비교하였다.
      이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장애 학생들은 시험전략을 완전학습 할 수 있었다.
      둘째, 시험전략을 학습한 실험집단의 학습장애 학생과 일반학생은 시험불안이 감소되었다.
      셋째, 시험전략을 학습한 실험집단의 학습장애 학생과 일반학생은 메타인지가 향상되었다.
      결과적으로 시험전략 훈련은 학습장애 학생과 일반 학생의 시험불안 감소와 메타인지를 신장시켜주는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는 사례수가 적음으로 인한 통계적 처리 및 일반화에 어려움이 있으며, 사례수를 늘려 집단별 효과를 보다 정확히 밝히는 연구가 뒤따라야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서 시험전략을 적용하여 학습장애 학생과 일반학생의 시험불안과 메타인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경기도 안산...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서 시험전략을 적용하여 학습장애 학생과 일반학생의 시험불안과 메타인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한 C초등학교 6학년 2개 반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여 각각 학습장애 2명, 일반학생 28명씩으로 하였으며 실험집단에는 시험전략을 지도하였으며, 통제집단은 교육과정내용을 그대로 지도하였다. 실험은 2009년 3월 26일부터 2009년 9월 10일까지, 총 35회기 동안 이루어졌다.
      본 실험에서 이용한 적용 프로그램은 캔사스 대학교 학습장애 연구소(KU-CRL)의 연구진에 의해 개발된 전략을 한국의 실정에 맞게 번안한 김윤옥(1999)의 ‘보물섬후크선장’ 시험전략이다. ‘보물섬후크선장’ 시험전략은 모두 상위 7단계, 하위 17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험전략을 학습전략 교수 8단계 과정을 통하여 적용하였으며 전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로 전략교수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자료의 분석방법은 시험불안, 메타인지의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한 후 이에 대한 집단 간 t검증 비교하였다.
      이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장애 학생들은 시험전략을 완전학습 할 수 있었다.
      둘째, 시험전략을 학습한 실험집단의 학습장애 학생과 일반학생은 시험불안이 감소되었다.
      셋째, 시험전략을 학습한 실험집단의 학습장애 학생과 일반학생은 메타인지가 향상되었다.
      결과적으로 시험전략 훈련은 학습장애 학생과 일반 학생의 시험불안 감소와 메타인지를 신장시켜주는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는 사례수가 적음으로 인한 통계적 처리 및 일반화에 어려움이 있으며, 사례수를 늘려 집단별 효과를 보다 정확히 밝히는 연구가 뒤따라야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및 문제 2
      • 3. 용어의 정의 3
      • 4. 연구의 제한점 5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및 문제 2
      • 3. 용어의 정의 3
      • 4. 연구의 제한점 5
      • Ⅱ. 이론적 배경 7
      • 1. 시험전략 7
      • 2. 시험불안 14
      • 3. 학습장애 학생의 특성 19
      • 4. 학습장애 학생과 일반 학생의 메타인지 24
      • Ⅲ. 연구방법 27
      • 1. 연구대상 27
      • 2. 실험설계 33
      • 3. 적용프로그램 34
      • 4. 검사도구 37
      • 5. 전략교수 8단계 39
      • 6. 자료의 처리 44
      • Ⅳ. 연구결과 45
      • 1. 시험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 45
      • 2. 메타인지 향상에 미치는 효과 49
      • Ⅴ. 논의 53
      • Ⅵ. 결론 및 제언 58
      • 1. 결론 58
      • 2. 제언 59
      • 참고문헌 60
      • 부록 70
      • ABSTRACT 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