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안보와 러시아 극동의 이주문제:연방관계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 ‘Societal Security’ and Migration Issues in the Russian Far East: Implications for federal rel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748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ssue of ‘Yellow Peril’ in the Russian Far East and to analyse the implication of the issue to the development of federal relations in Russia. A brief review
      suggests that federal relations of the Russian Federation have seldom been discussed in the field of
      foreign policy. In particular, contradictory evaluations have been made for the issue of Chinese
      immigrants in the Russian Far East.
      This study employs societal security concept to analyse the issue of Chinese immigrants in the
      Russian Far East, which leads us to a couple of conclusions. First, there exists a huge gap on estimation of the numbers of Chinese popul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particularly of illegal immigrants. Second, conflicting interests of the centre and peripheries are reflected in the views of immigrants in the regions. The centre appears to place a higher priority upon its strategic relationship with China, while the regions tended to regard immigrants as a societal threat. Finally, vehement debates between various political actors including the centre and peripheries suggests that federal relations are under adjustment in the field of foreign polic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ssue of ‘Yellow Peril’ in the Russian Far East and to analyse the implication of the issue to the development of federal relations in Russia. A brief review suggests that federal relations of the Russ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ssue of ‘Yellow Peril’ in the Russian Far East and to analyse the implication of the issue to the development of federal relations in Russia. A brief review
      suggests that federal relations of the Russian Federation have seldom been discussed in the field of
      foreign policy. In particular, contradictory evaluations have been made for the issue of Chinese
      immigrants in the Russian Far East.
      This study employs societal security concept to analyse the issue of Chinese immigrants in the
      Russian Far East, which leads us to a couple of conclusions. First, there exists a huge gap on estimation of the numbers of Chinese popul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particularly of illegal immigrants. Second, conflicting interests of the centre and peripheries are reflected in the views of immigrants in the regions. The centre appears to place a higher priority upon its strategic relationship with China, while the regions tended to regard immigrants as a societal threat. Finally, vehement debates between various political actors including the centre and peripheries suggests that federal relations are under adjustment in the field of foreign polic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극동지역을 사례로 중국인 이주문제를 둘러싼 중앙과 지방정부의 관계를 재조명함으로써 러시아 연방관계의 변화를 고찰하고 향후 발전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 데 있다. 러시아 연방관계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가 있으나 외교정책 영역에서 연방관계를 고찰하려는 시도는 많지 않다. 특히 중국계 이주민에 대한 우려는 극동지역의 인구감소문제와 맞물려 민감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으나 그 실체에 대해서는 다양한 평가가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안보 논의를 적용하여 중국계 이주민을 둘러싼 중앙-지방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이주민의 수자와 이들의 기여에 대해 이견이 있다. 특히 불법이주민에 대해서는 집계에서도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둘째, 이주문제를 보는 입장 차이가 이주문제 자체만큼이나 심각한 안보위협으로 대두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견은 중앙-지방의 이해차이를 반영하고 있다. 중앙정부는 중국과의 전략적 관계를 우선시하고 있으며, 지방정부는 러시아계 인구 감소와 중국계 이주민 증대에 따른 사회 이질화 등을 안보위협으로 인식하고 있다. 끝으로 이주문제를 둘러싼 중앙-지방의 갈등은 연방관계의 조정이 외교정책의 영역에서도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의 목적은 극동지역을 사례로 중국인 이주문제를 둘러싼 중앙과 지방정부의 관계를 재조명함으로써 러시아 연방관계의 변화를 고찰하고 향후 발전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 데 있다. 러...

      이 글의 목적은 극동지역을 사례로 중국인 이주문제를 둘러싼 중앙과 지방정부의 관계를 재조명함으로써 러시아 연방관계의 변화를 고찰하고 향후 발전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 데 있다. 러시아 연방관계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가 있으나 외교정책 영역에서 연방관계를 고찰하려는 시도는 많지 않다. 특히 중국계 이주민에 대한 우려는 극동지역의 인구감소문제와 맞물려 민감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으나 그 실체에 대해서는 다양한 평가가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안보 논의를 적용하여 중국계 이주민을 둘러싼 중앙-지방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이주민의 수자와 이들의 기여에 대해 이견이 있다. 특히 불법이주민에 대해서는 집계에서도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둘째, 이주문제를 보는 입장 차이가 이주문제 자체만큼이나 심각한 안보위협으로 대두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견은 중앙-지방의 이해차이를 반영하고 있다. 중앙정부는 중국과의 전략적 관계를 우선시하고 있으며, 지방정부는 러시아계 인구 감소와 중국계 이주민 증대에 따른 사회 이질화 등을 안보위협으로 인식하고 있다. 끝으로 이주문제를 둘러싼 중앙-지방의 갈등은 연방관계의 조정이 외교정책의 영역에서도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신화, "평화의 새로운 위협: 환경, 난민, 분쟁의 역학" 서울: 풀빛 255-291, 2002

      2 "주권과 글로벌 안보: 세계화시대 주권과 안보의 개념적 재구성" 35 (35): 455-474, 2001

      3 "연해주 개발과 한국의 참여: 현황과 전망" 2007

      4 "시베리아 지역주의의 역사적 고찰: 제정말기를 중심으로" 1 (1): 29-47, 2001

      5 이채문, "러시아 극동지역의 중국이민: 중국인 위협론을 중심으로" 한림대학교국제학대학원대학교 2007

      6 이채문, "러시아 극동지역의 발전과정에서 나타난 황화론에 관한 연구" 4 (4): 73-108, 2000

      7 "러시아 극동지역의 민족관계와 유입 이주민의 민족적 특성" (17) : 147-184, 2001

      8 한종만, "러시아 극동ㆍ시베리아의 지역주의와 지역통합: 인적 자원의 중요성정치경제적 시각" 19 (19): 1-34, 2004

      9 전웅, "국가안보와 인간안보" 44 (44): 25-49, 2004

      10 최태강, "구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인구문제" 2 (2): 81-102, 2002

      1 이신화, "평화의 새로운 위협: 환경, 난민, 분쟁의 역학" 서울: 풀빛 255-291, 2002

      2 "주권과 글로벌 안보: 세계화시대 주권과 안보의 개념적 재구성" 35 (35): 455-474, 2001

      3 "연해주 개발과 한국의 참여: 현황과 전망" 2007

      4 "시베리아 지역주의의 역사적 고찰: 제정말기를 중심으로" 1 (1): 29-47, 2001

      5 이채문, "러시아 극동지역의 중국이민: 중국인 위협론을 중심으로" 한림대학교국제학대학원대학교 2007

      6 이채문, "러시아 극동지역의 발전과정에서 나타난 황화론에 관한 연구" 4 (4): 73-108, 2000

      7 "러시아 극동지역의 민족관계와 유입 이주민의 민족적 특성" (17) : 147-184, 2001

      8 한종만, "러시아 극동ㆍ시베리아의 지역주의와 지역통합: 인적 자원의 중요성정치경제적 시각" 19 (19): 1-34, 2004

      9 전웅, "국가안보와 인간안보" 44 (44): 25-49, 2004

      10 최태강, "구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인구문제" 2 (2): 81-102, 2002

      11 제9권 313-334, "고르바초프의 국내정책과 외교정책의 연계" 1994

      12 Wood, "“Siberian Exile in the Eighteenth Century A Journal of North PacificStudies 1" 38-63, 1990

      13 "“ The Renaissance of Security Studies" 211-239, 1991

      14 Larin, Victor, "hinese in the Russian Far East: Regional Views" New York: United Nations University Press. 47-67, 2005

      15 "The Nature of the Manpower Problems in the Development of Siberia Russian Federalism in Comparative Perspective" 689 133-715 176, 1986-20000406

      16 Kim, "Sino-Russian Relations and Chinese Workers in the Russian Far East" 1064-1076, 1994

      17 Hill, Finna, "Siberian Curse: How Communist Planners Left Russia Out inthe Cold."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03

      18 Buzan, Barry, "Security: A New Framework for Analysis" London:Lynne Rienner Publishers. 1998

      19 Weiner, Myron, "Security, Stability, and International Migration" 17 (17): 91-126,

      20 Terriff, Terry, "Security Studies Today" 1999

      21 "Russian Vector in the Global Chinese Migration" 34 (34): 47-61, 2006

      22 Goskomsta, "Rossiiskii statisticheskii ezhegodnik 2004" Moscow: Goskomstat 2004

      23 Goskomstat, "Rossiiskii statisticheskii ezhegodnik 2003" Moscow: Goskomstat 2003

      24 Goskomstat, "Rossiiskii statisticheskii ezhegodnik 2001" Moscow: Goskomstat 2001

      25 Goskomstat, "Rossiiskii statisticheskii ezhegodnik 1996" Moscow: Goskomstat 1996

      26 Gelbras, V. G, "Rossiia v usloviiakh globalinoi kitaiskoi migratsii" Moskva 2004

      27 King, Gary, "Rethinking Human Security" 116 (116): 585-610, 2002

      28 Goskomstat, "Regiony Rossii: Sotsial’no-ekonomicheskie pokazateli" Moscow: Goskomstat 2002

      29 Hahn, Gordon, "Reforming the Federation" Durham: Durham University Press 6 : 148-167, 2005

      30 Moon, David, "Peasant Migration and the Settlement of Russia’s Frontiers, 1550-1897" 40 (40): 859-893, 1997

      31 Pilkington, Hilary, "Migration, Displacement and Identity in Post-Soviet Russia" London:Routledge 1998

      32 New York, "Migration and the New Security Agenda in Europe" Martin’s Press 1993

      33 Heisler, "Migration and the Links between Social and SocietalSecurity and the New Security Agenda in Europe" 148-164, 1993

      34 Wishnick, Elizabeth, "Migration and Economic Security: Chinese Labour Migrants in the RussianFar East" New York: United Nations University Press 68-92, 2005

      35 Biddulph, "Local Interest Articulation at CPSU Congresses" 28-52, 1983

      36 Lee, Jeanyoung, "Korean-Chinese Migration into the Russian Far East: Human Security Perspective" 6 (6): 67-93, 2005

      37 "Khoziaistvennaia deiatel’nost’kitaiskikh poddannykh na Dal’nem Vostoke Rossiii politika administratsii Priamurskogo kraia: konets XIX-nachalo XX vv" Omsk: Izdanie OmGU 1999

      38 Ball, "Internal Migration in the Soviet Union" eco (eco): 95-114, 1978

      39 "Internal Migration and the Flight from the Land in the USSR, 1939-1959" 18 (18): 131-152, 1996

      40 Skilling, "Interest Groups in Soviet Politic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1

      41 Alexseev, Mikhail A, "Immigration Phobia and the Security Dilemma: Russia, Europe, and theUnited Stat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42 "Federalism" Washington D.C.: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213-238, 2004

      43 "Economic Migration to Western Siberia" 1 (1): 45-47, 2007

      44 Alexseev, Mikhail A, "Chinese Migr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Security Threats andIncentives for Cooperation in Primorskii Krai" Seatt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319-347, 2002

      45 Krause, Keith, "Broadening the Agenda of Security Studies: Politics and Methods" 40 (40): 229-254, 1996

      46 Buzan, "An Agenda for International Security Studies in the Post-Cold War Era" Lynne Rienner Publishers 1991

      47 Mearsheimer, John, "A Realist Reply" 20 : 82-93,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8 0.98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8 1.03 1.653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