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국 여성 생리대 브랜드의 새로운 패키지디자인 제안 : 한·중·일 생리대 패키지디자인 비교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861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China, along with social progress and rapid economic development, the social status of women is gradually increasing. Accordingly, the demand for aesthetics is also increasing.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the development of the sanitary napkin industry is rapid, and the brand is diversified, and at the same time, the package is becoming more and more diversified.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isual element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sanitary napkin package designs and to study the current brand status. is to present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visual elements of sanitary napkin package design by selecting the top 5 sanitary napkin brands for 2020 in Korea, China, and Japan. and proposed a new sanitary napkin package design. Using the mind map, he created a new brand called 'Cledevie' that was differentiated from other brands in terms of design, and suggested a package design with a clear brand strategy and direction. Finally, a survey was conducted on female consumers living in first-tier cities, and the SPSS program was used to investigate consumer preferences according to frequency analysis, Likert scale, and cross-analysis, and the final proposal for the sanitary napkin package design was select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nese sanitary napkin brands lack brand identity due to the conflict between modernity and conservatives.

      Second, according to the consumer surve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brand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purchasing behavior. It was also confirmed that color and illustration were two important factors in the package when purchasing a sanitary napkin.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consumers prefer the image expression of 'Clear', 'Elegant' and 'Natural' more. Third, looking at the final package design proposal, the brand logo used sans serifs to mainly use English characters and Chinese characters as auxiliary formats to improve readability and internationality of Chinese brands. In order to remind consumers of the brand image and to differentiate them from other brands, one of the English letters was modified with a leaf illustration. By embodying health and nature, consumers' empathy can be increased. To have a certain relationship with the brand, a harmonious tone-on-tone was used similar to the logo color, and the effect of color combination enhances the texture and vitality of the product, which helps to visually enhance the brand's appeal. In the illustration, we used the illustration of flowers and leaves on the front of the package, giving it a high-quality and healthy brand image. The image of flowers is closer to the tastes of female consumers, and intimacy with the brand is also increased. In the layout, a simple left and right arrangement was used on the front side, and the brand logo was applied to each side of the product to enhance brand power so that product information, functions, and size can be seen at a glance. The package container part was opened left and right using LDPE vinyls. It has the storage and practicality of the product itself as well as aesthetics.

      According to th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female consumers place importance on sanitary napkin brands. At present, in a situation where foreign brands are leading the Chinese premium market, it is necessary to effectively promote the brand with a clear brand image so that new brands can express their individuality in order to quickly occupy the marke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product that meets the needs of female consumers by segmenting the market, while constantly developing the package design of the product and identifying social phenomena and consumer trends to form a differentiated brand. Existing domestic sanitary napkin brands in China have not yet formed a prosperous identity and quality, but in a period of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continuous growth of the premium market, if companies can seize the opportunity, they will be able to increase their market competitiveness and gain opportunities for growth.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reference value in terms of design when Chinese sanitary napkin brands enter the premium market in the future. However, this study selected only 15 brands of sanitary napkin brands, and the US and European countries were excluded, so the scope of the study was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women were not considered, future research needs to further broaden the scope of the brand.
      번역하기

      In China, along with social progress and rapid economic development, the social status of women is gradually increasing. Accordingly, the demand for aesthetics is also increasing.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the development of...

      In China, along with social progress and rapid economic development, the social status of women is gradually increasing. Accordingly, the demand for aesthetics is also increasing.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the development of the sanitary napkin industry is rapid, and the brand is diversified, and at the same time, the package is becoming more and more diversified.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isual element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sanitary napkin package designs and to study the current brand status. is to present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visual elements of sanitary napkin package design by selecting the top 5 sanitary napkin brands for 2020 in Korea, China, and Japan. and proposed a new sanitary napkin package design. Using the mind map, he created a new brand called 'Cledevie' that was differentiated from other brands in terms of design, and suggested a package design with a clear brand strategy and direction. Finally, a survey was conducted on female consumers living in first-tier cities, and the SPSS program was used to investigate consumer preferences according to frequency analysis, Likert scale, and cross-analysis, and the final proposal for the sanitary napkin package design was select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nese sanitary napkin brands lack brand identity due to the conflict between modernity and conservatives.

      Second, according to the consumer surve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brand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purchasing behavior. It was also confirmed that color and illustration were two important factors in the package when purchasing a sanitary napkin.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consumers prefer the image expression of 'Clear', 'Elegant' and 'Natural' more. Third, looking at the final package design proposal, the brand logo used sans serifs to mainly use English characters and Chinese characters as auxiliary formats to improve readability and internationality of Chinese brands. In order to remind consumers of the brand image and to differentiate them from other brands, one of the English letters was modified with a leaf illustration. By embodying health and nature, consumers' empathy can be increased. To have a certain relationship with the brand, a harmonious tone-on-tone was used similar to the logo color, and the effect of color combination enhances the texture and vitality of the product, which helps to visually enhance the brand's appeal. In the illustration, we used the illustration of flowers and leaves on the front of the package, giving it a high-quality and healthy brand image. The image of flowers is closer to the tastes of female consumers, and intimacy with the brand is also increased. In the layout, a simple left and right arrangement was used on the front side, and the brand logo was applied to each side of the product to enhance brand power so that product information, functions, and size can be seen at a glance. The package container part was opened left and right using LDPE vinyls. It has the storage and practicality of the product itself as well as aesthetics.

      According to th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female consumers place importance on sanitary napkin brands. At present, in a situation where foreign brands are leading the Chinese premium market, it is necessary to effectively promote the brand with a clear brand image so that new brands can express their individuality in order to quickly occupy the marke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product that meets the needs of female consumers by segmenting the market, while constantly developing the package design of the product and identifying social phenomena and consumer trends to form a differentiated brand. Existing domestic sanitary napkin brands in China have not yet formed a prosperous identity and quality, but in a period of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continuous growth of the premium market, if companies can seize the opportunity, they will be able to increase their market competitiveness and gain opportunities for growth.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reference value in terms of design when Chinese sanitary napkin brands enter the premium market in the future. However, this study selected only 15 brands of sanitary napkin brands, and the US and European countries were excluded, so the scope of the study was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women were not considered, future research needs to further broaden the scope of the bran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은 사회의 진보 및 급속한 경제발전에 따라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 이에 따라 심미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현대 과학 기술의 발전에서는 생리대 업계의 발전이 신속하고 브랜드가 다양해 지는 동시에 패키지도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 은 한· 중· 일 생리대 패키지디자인의 시각요소를 파악하고 현재의 브랜드 현 황을 연구하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하고 경쟁력이 있는 새로운 생리대 브랜드의 패키지디자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 구는 한· 중 ·일 3국의 2020년 상위 5개 생리대 브랜드를 선정해 생리대 패 키지디자인의 시각요소를 비교 분석하며, SWOT 분석과 STP 전략 분석법 을 활용하여 분석 결과를 통해 뉴 브랜드의 포지셔닝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 새로운 생리대 패키지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마인드맵을 활용해 디자인 측면에서 다른 브랜드와 차별화된 'Cledevie'라는 뉴 브랜드를 만들었고 브랜드 전략과 방향성이 뚜렷한 패키지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1선 도시에 거주하는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SPSS 프로 그램을 활용해 빈도 분석, 리커트 척도, 교차 분석에 따른 소비자 선호도를 조사하였고 생리대 패키지디자인 최종 제안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중국 생리대 브랜드는 현대와 보수의 충돌로 브랜드 및 제품의 정 체성이 떨어지고 브랜드 차별성도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표현 방식 이 비슷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부족하다.

      둘째, 소비자 조사에 따라 브랜드가 구매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 소임을 확인할 수 있다. 색채와 일러스트가 생리대 구매 시 패키지에서 중 요하게 여겨지는 두 가지 요소임이라는 것도 확인하였다 . 또 소비자들이 'Clear(깨끗함 )', 'Elegant( 고급스러운 )'과 'Natural(자연스러운 )' 의 이미지 표현을 더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최종 패키지디자인 제안을 보면 , 브랜드 로고는 가독성을 높이고 중국 브랜드의 국제성을 높이기 위해 산세리프를 이용하여 영문문자 위주 로 하고 한자를 보조형식으로 사용하였다. 소비자들이 브랜드 이미지를 연상시키고 다른 브랜드와 차별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영문 자모 중 하나에 나뭇잎 일러스트레이션을 변형한 형태를 사용하였다. 건강과 자연을 구현하여 소비자의 공감을 높일 수 있다. 제품 색채는 브랜드와 일정한 연관성이 갖기 위해 로고 색채와 비슷하게 조화로운 톤온톤을 사용했으며, 색채 조합 의 효과로 제품의 질감과 생동감을 높여 시각적으로 브랜드의 매력을 높이 는 데 도움이 된다. 일러스트에서는 패키지 앞면에 꽃과 잎의 일러스트레이션을 사용했고 고품질과 건강한 브랜드 이미지를 주었다. 꽃의 이미지가 여 성 소비자의 취향에 더욱 가까워지고 브랜드와의 친근함도 더해진다. 레이아웃에서는 앞면에 간단한 좌우 배치를 사용하였고 브랜드 파워를 높이기 위해 제품의 각 측면에 브랜드 로고를 적용하여 제품 정보와 기능, 사이즈 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하였다. 패키지 용기 부분은 LDPE 비닐류를 이용 해 좌우로 열리는 형태를 사용하였다. 제품 자체의 수납성과 실용성은 물론 심미성까지 갖추고 있다. 결과에 따르면 여성 소비자들은 생리대 브랜드에 중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중국 프리미엄 시장은 외국 브랜드가 주도하고 있는 상황에서 뉴 브랜드가 빠르게 시장을 점유하기 위해 자신의 개성을 드러낼 수 있도록 확실한 브랜드 이미지를 갖고 효과적으로 브랜드를 홍보해야 한다. 시장 을 세분화하여 여성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제품을 만드는 한편 제품 의 패키지디자인도 끊임없이 개발하고 사회 현상과 소비자의 트렌드를 파 악하여 차별화된 브랜드를 형성해야 한다. 중국의 기존 국내 생리대 브랜드 는 아직은 성속한 정체성과 품질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지만 급속한 경제발 전 및 프리미엄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기에서는 기업들이 기회를 잡을 수 있다면 시장 경쟁력을 높이고 성장의 기회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를 통해서 향후 중국 생리대 브랜드가 프리미엄 시장으로 진출할 때 디자 인 측면에서 참고가치가 있는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 그렇지만 본 연구는 생리대 브랜드의 종류 중 15개 브랜드만 선택했으며 미국과 유럽 국가의 브랜드들은 제외되어 연구의 범위가 축소되었다 . 또한 중국 여성의 문화적 인 특성은 고려하지 않았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브랜드의 범위를 더욱 넓 혀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중국은 사회의 진보 및 급속한 경제발전에 따라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 이에 따라 심미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현대 과학 기술의 발전에서는 생리대 업계의 발전...

      중국은 사회의 진보 및 급속한 경제발전에 따라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 이에 따라 심미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현대 과학 기술의 발전에서는 생리대 업계의 발전이 신속하고 브랜드가 다양해 지는 동시에 패키지도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 은 한· 중· 일 생리대 패키지디자인의 시각요소를 파악하고 현재의 브랜드 현 황을 연구하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하고 경쟁력이 있는 새로운 생리대 브랜드의 패키지디자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 구는 한· 중 ·일 3국의 2020년 상위 5개 생리대 브랜드를 선정해 생리대 패 키지디자인의 시각요소를 비교 분석하며, SWOT 분석과 STP 전략 분석법 을 활용하여 분석 결과를 통해 뉴 브랜드의 포지셔닝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 새로운 생리대 패키지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마인드맵을 활용해 디자인 측면에서 다른 브랜드와 차별화된 'Cledevie'라는 뉴 브랜드를 만들었고 브랜드 전략과 방향성이 뚜렷한 패키지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1선 도시에 거주하는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SPSS 프로 그램을 활용해 빈도 분석, 리커트 척도, 교차 분석에 따른 소비자 선호도를 조사하였고 생리대 패키지디자인 최종 제안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중국 생리대 브랜드는 현대와 보수의 충돌로 브랜드 및 제품의 정 체성이 떨어지고 브랜드 차별성도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표현 방식 이 비슷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부족하다.

      둘째, 소비자 조사에 따라 브랜드가 구매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 소임을 확인할 수 있다. 색채와 일러스트가 생리대 구매 시 패키지에서 중 요하게 여겨지는 두 가지 요소임이라는 것도 확인하였다 . 또 소비자들이 'Clear(깨끗함 )', 'Elegant( 고급스러운 )'과 'Natural(자연스러운 )' 의 이미지 표현을 더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최종 패키지디자인 제안을 보면 , 브랜드 로고는 가독성을 높이고 중국 브랜드의 국제성을 높이기 위해 산세리프를 이용하여 영문문자 위주 로 하고 한자를 보조형식으로 사용하였다. 소비자들이 브랜드 이미지를 연상시키고 다른 브랜드와 차별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영문 자모 중 하나에 나뭇잎 일러스트레이션을 변형한 형태를 사용하였다. 건강과 자연을 구현하여 소비자의 공감을 높일 수 있다. 제품 색채는 브랜드와 일정한 연관성이 갖기 위해 로고 색채와 비슷하게 조화로운 톤온톤을 사용했으며, 색채 조합 의 효과로 제품의 질감과 생동감을 높여 시각적으로 브랜드의 매력을 높이 는 데 도움이 된다. 일러스트에서는 패키지 앞면에 꽃과 잎의 일러스트레이션을 사용했고 고품질과 건강한 브랜드 이미지를 주었다. 꽃의 이미지가 여 성 소비자의 취향에 더욱 가까워지고 브랜드와의 친근함도 더해진다. 레이아웃에서는 앞면에 간단한 좌우 배치를 사용하였고 브랜드 파워를 높이기 위해 제품의 각 측면에 브랜드 로고를 적용하여 제품 정보와 기능, 사이즈 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하였다. 패키지 용기 부분은 LDPE 비닐류를 이용 해 좌우로 열리는 형태를 사용하였다. 제품 자체의 수납성과 실용성은 물론 심미성까지 갖추고 있다. 결과에 따르면 여성 소비자들은 생리대 브랜드에 중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중국 프리미엄 시장은 외국 브랜드가 주도하고 있는 상황에서 뉴 브랜드가 빠르게 시장을 점유하기 위해 자신의 개성을 드러낼 수 있도록 확실한 브랜드 이미지를 갖고 효과적으로 브랜드를 홍보해야 한다. 시장 을 세분화하여 여성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제품을 만드는 한편 제품 의 패키지디자인도 끊임없이 개발하고 사회 현상과 소비자의 트렌드를 파 악하여 차별화된 브랜드를 형성해야 한다. 중국의 기존 국내 생리대 브랜드 는 아직은 성속한 정체성과 품질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지만 급속한 경제발 전 및 프리미엄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기에서는 기업들이 기회를 잡을 수 있다면 시장 경쟁력을 높이고 성장의 기회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를 통해서 향후 중국 생리대 브랜드가 프리미엄 시장으로 진출할 때 디자 인 측면에서 참고가치가 있는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 그렇지만 본 연구는 생리대 브랜드의 종류 중 15개 브랜드만 선택했으며 미국과 유럽 국가의 브랜드들은 제외되어 연구의 범위가 축소되었다 . 또한 중국 여성의 문화적 인 특성은 고려하지 않았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브랜드의 범위를 더욱 넓 혀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제 3 절 선행연구 고찰 6
      • 제 2 장 이론적 배경 14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제 3 절 선행연구 고찰 6
      • 제 2 장 이론적 배경 14
      • 제 1 절 생리대의 이해 14
      • 1. 생리대의 역할 14
      • 2. 중국 생리대의 발전 16
      • 3. 중국 생리대 업계의 현황 19
      • 3-1). 중국 생리대 시장 현황 19
      • 3-2). 중국 생리대 브랜드 현황 21
      • 3-3). 중국 생리대 패키지디자인 발전 및 현황 23
      • 제 2 절 여성 소비자 행동특징 26
      • 제 3 절 패키지디자인의 이해 29
      • 1. 패키지디자인의 역할 및 기능 29
      • 2. 생리대 브랜드의 패키지디자인 구성 요소 31
      • 제 3장 생리대 패키지디자인의 시각요소 사례 분석 35
      • 제 1 절 사례 선정기준 35
      • 제 2 절 한 중 일 생리대 브랜드 사례 분석 36
      • 1. 한국산 생리대 브랜드 사례 분석 36
      • 2. 중국산 생리대 브랜드 사례 분석 46
      • 3. 일본산 생리대 브랜드 사례 분석 56
      • 제 3 절 한 중 일 생리대 패키지디자인의 시각요소 비교분석 66
      • 1. 한중일 생리대의 브랜드 로고타입 비교 분석 66
      • 2. 한중일 생리대의 브랜드 색채 비교 분석 71
      • 3. 한중일 생리대의 브랜드 일러스트 비교 분석 74
      • 4. 한중일 생리대의 브랜드 레이아웃 비교 분석 77
      • 5. 한중일 생리대의 브랜드 용기 비교 분석 80
      • 6. 한중일 생리대의 사례 종합비교 분석 81
      • 제 4 장 중국 생리대 뉴 브랜드 전략 제안 84
      • 제 1 절 SWOT 분석에 따른 뉴 브랜드 STP 전략 84
      • 1. SWOT 분석 방법 및 STP 전략 84
      • 2. 중국 생리대 뉴 브랜드의 SWOT 분석 85
      • 3. 중국 생리대 뉴 브랜드의 STP 전략 91
      • 제 2 절 중국 생리대 뉴 브랜드의 패키지디자인 제안 97
      • 1. 중국 생리대 뉴 브랜드 네임 도출 97
      • 2. 중국 생리대 뉴 패키지디자인 개발 98
      • 제 5 장 패키지디자인 제안 조사 109
      • 제 1 절 조사의 목적 109
      • 제 2 절 조사의 방법 및 대상 109
      • 제 3 절 조사의 결과 분석 110
      • 제 6 장 결론 및 제언 124
      • 제 1 절 디자인 제안 124
      • 제 2 절 결론 129
      • 참고문헌 133
      • 부록 139
      • 국문초록 150
      • ABSTRACT 15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