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성재, "한국의 소리 커뮤니케이션: 쇠북(鐘) 소리의 메시지" 한국언론학회 48 (48): 258-283, 2004
2 조동일, "판소리의 이해" 창작과비평사 1992
3 송수권, "퉁" 서정시학 2013
4 성기옥, "의성어, 의태어의 시적 위상과 기능" 국립국어연구원 3 (3): 1993
5 오세영, "우리나라의 숲과 새들" 고요아침 2005
6 송수권, "우리나라의 숲과 새들" 고요아침 2005
7 송수권, "아도" 창비 1984
8 이승하, "시 창작에 있어 사투리 구사의 효과" 어문연구학회 38 : 2002
9 송수권, "수저통에 비치는 저녁노을" 시와시학사 1998
10 김교은, "송수권 시의 토속적 서정성 연구" 동신대학교 2020
1 김성재, "한국의 소리 커뮤니케이션: 쇠북(鐘) 소리의 메시지" 한국언론학회 48 (48): 258-283, 2004
2 조동일, "판소리의 이해" 창작과비평사 1992
3 송수권, "퉁" 서정시학 2013
4 성기옥, "의성어, 의태어의 시적 위상과 기능" 국립국어연구원 3 (3): 1993
5 오세영, "우리나라의 숲과 새들" 고요아침 2005
6 송수권, "우리나라의 숲과 새들" 고요아침 2005
7 송수권, "아도" 창비 1984
8 이승하, "시 창작에 있어 사투리 구사의 효과" 어문연구학회 38 : 2002
9 송수권, "수저통에 비치는 저녁노을" 시와시학사 1998
10 김교은, "송수권 시의 토속적 서정성 연구" 동신대학교 2020
11 이진영, "송수권 시의 창작방법론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12 김수영, "송수권 시의 전통성 연구 : 김소월과의 대비를 통해"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13 강선례, "송수권 시의 서정성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4 김선태, "송수권 시의 가락 연구" 현대문학이론학회 (39) : 69-902, 2009
15 김종덕, "송수권 시 창작방법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8
16 김수형, "송수권 시 연구-문학적 지향성과 구현 양상을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2021
17 유은희, "송수권 시 연구 : 시적 어조의 특성과 서정성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8
18 소영란, "송수권 시 연구"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9 문채열, "송수권 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0 홍영, "송수권 詩 깊이 읽기" 나남출판 2005
21 송수권, "소리, 가락을 품다" 열음사 2007
22 송수권, "새야 새야 파랑새야" 나남출판 1987
23 송수권, "산문에 기대어" 문학의전당 2006
24 송수권, "사구시의 노래" 고요아침 2013
25 박윤우, "민족적 삶의 곡진한 가락 혹은 서정 언어의 육화에 이르는 길" 시와시학사 (가을) : 2003
26 Sansot, Pierre, "느리게 사는 것의 의미" 공명 2014
27 송수권, "남도의 밤식탁" 작가 2012
28 송수권, "꿈꾸는 섬" 문학과지성사 1982
29 Bachelard, Gaston, "공간의 시학" 동문선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