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 유아특수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유아의 진전 점검 활동의 실태와 진전 점검 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자료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9516658
2006
Korean
379.405
학술저널
101-133(3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 유아특수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유아의 진전 점검 활동의 실태와 진전 점검 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자료가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 유아특수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유아의 진전 점검 활동의 실태와 진전 점검 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자료가 된 질문지의 응답 대상은 전국의 유아특수교육기관에 재직하고 있는 유아특수교육교사 75명이며, 사용된 연구 도구는 본 연구자가 관련 문헌을 참고로 개발한 설문지로 총54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우리 나라 유아특수교육기관의 교사들은 장애유아의 진전 점검 활동의 필요성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아울러 진전 점검의 목적에 대해서도 잘 인식하고 있었다. 그에 반해 장애유아를 위한 진전 점검 활동의 연간 계획, 진전 점검의 다양하고 구체적인 활동들, 진전 점검 수행을 위한 검사 도구 선정 및 계획, 진전 점검 활동을 위한 교사협의회의 개최와 아울러 진전 점검 결과 자료 처리 등의 수행에 있어서는 미흡함을 나타내고 있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현재 우리 나라 유아특수교육기관의 진전 점검 활동의 문제점으로 장애유아 진전 점검 활동을 위한 타당하고 신뢰로운 평가 도구의 미흡, 유아 평가에 대한 안내서나 도구의 부족, 교사의 과다한 업무로 인한 시간 부족 및 평가의 활용과 방법에 대한 교사 자신의 전문적 지식 및 기술의 부족 등에 주로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실태 조사에 대한 결과와 교사들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actice and teacher`s perception of monitoring children`s progres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ogram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75 teacher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ogra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actice and teacher`s perception of monitoring children`s progres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ogram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75 teacher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ograms.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the ``Practice and teacher`s perception of monitoring children`s progres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ograms`` developed for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PC+ program. Most teachers have a positive perception on necessary and purpose of monitoring children`s progres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ograms. But Most teacher have a difficult to performance to design a annual plan of monitoring children`s progress, select a appropriate instrument for assessment, hold a teacher`s conference and analysis and use monitoring data. Also the problems in monitoring children`s progress suggested by teacher are the follow. a) deficit on a valid and reliable evaluation method of assessment, b) deficit on the guidebook for monitoring children`s progress c) overwork of teacher, d) deficit on teacher`s knowledge and skills of monitoring children`s progress.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ce as an original study in Korea investigating perspectives, practices of monitoring children`s progres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ograms.
정서,행동장애의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 자기조절 모형
발달장애성인들 생활시설의 성 관련 지침과 지원서비스: 서울 지역의 생활시설들을 중심으로
미술치료를 통한 자기통제: ADHD 아동을 위한 소조활동 중심으로